$\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단O/D기반 및 P/C기반 화물수요추정방식의 실증적 비교: 우리나라 컨테이너 화물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Comparative Analysis of Freight Demand Estimation Methods - Unimodal O/D Based Method and P/C Based Method : Focus on Korean Import/Export Container Freight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1 no.2, 2013년, pp.45 - 59  

김현승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박동주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김찬성 (한국교통연구원 국가교통DB센터) ,  최창호 (전남대학교 경상학부 물류교통학과) ,  조한선 (한국교통연구원 도로정책기술연구실)

초록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현재까지 사용되어 온 (수단O/D기반)화물수요추정법의 문제점 인식을 바탕으로 P/C기반 화물수요추정법과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리나라 화물수단O/D는 화물의 최초기점과 최종종점 간 운송을 수단별 통행으로 나누어 인식하면서 접근트럭통행(Access/Egress Truck Trip)에 대한 정보가 누락되어있다. 이러한 이유로 수단O/D기반 화물수요추정법은 화물의 복합수단운송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컨테이너 화물을 중심으로 P/C표와 복합수단선택모형을 추정하여 P/C기반 화물수요추정법을 제시하고, 기존 사용되어 오던 수단O/D기반 화물수요추정법과 기종점쌍 간 전환량, 수단통행물동량, 링크물동량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P/C기반 화물수요추정법은 복합운송을 제대로 모사하지 못하는 기존 수단O/D기반 화물수요추정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als with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wo freight demand estimation methods : Unimodal O/D based method and P/C based method. The data of access/egress truck trips has been omitted from the Korean freight unimodal O/D of KTDB. This is because KTDB's unimodal O/D has not marked the 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일수단모형은 주로 무엇을 모형화하였는가? 화물 수단선택모형개발 연구는 모형에서 고려하는 수단구분에 따라 단일수단(singular mode)모형과 복합수단(plural mode)모형으로 나눌 수 있다. 단일수단(singular mode)모형들은 주로 공로부문의 트럭을 세분화하여 자가용트럭과 영업용트럭, 또는 여러 규모의 트럭 간 선택행태를 모형화 하였다(Lee et al., 1998; Choi, 1999, 2002, 2004).
해외의 화물수요모형은 1990년대 후반부터 기존 전통적 4단계 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어떤 접근법을 시도하고 있는가? 반면 해외의 화물수요모형은 1990년대 후반부터 기존 전통적 4단계 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접근법을 시도하고 있다. 첫째, 경제활동과 화물 이동 간의 연계를 반영하는 연구로 통행발생과 통행분포를 하나의 단계로 통합하고자 한다(Bröcker, 1998). 둘째, 화물 이동에 관련된 물류활동의 의사결정문제(유통경로선택, 물류시설선택 등)를 반영하고자 한다(Tavasszy, 2006; Park, 2009; Park et al., 2010, Kim et al., 2010). 셋째, 복합운송(intermodal transport)을 모형화 하기 위해 수단선택과 노선선택을 통합하고 있다(Swahn, 2001; Park, 2010; Pattanamekar et al., 2011). 이러한 새로운 접근은 경제활동과 화물 이동 간의 연계를 반영하기 위해 통행 기종점표(O/D) 기준이 아닌 생산-소비표(P/C, production-consumption) 기준으로 화물 흐름을 집계하고, 물류활동의 의사결정문제, 수단선택 및 노선선택 문제를 반영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수단 O/D기반 화물수요추정법은 어떤 단점이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상기한 수단O/D와 수단선택모형을 활용한 화물교통수요추정방법을 편의상 ‘수단O/D기반 화물수요추정법’이라고 명명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수단 O/D기반 화물수요추정법은 KTDB가 구축·배포하고 있는 자료의 한계로 인하여 화물의 복합수단선택행태를 제대로 구현해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KTDB에서 배포하는 수단O/D는 크게 두 가지의 문제점이 있는데, 첫째는 목적 통행(linked trip)을 수단통행(unlinked trip)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rocker J. (1998), Operational Spatial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Ann. Reg. Sci., Vol.32, No.3, pp.367-387. 

  2. Choi C. H. (2002), Value of Travel-Time Savings in Metropolitan Road Freight Transportation with Freight Classification Code, J. Korean Soc. Transp., Vol.20, No.7,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p.167-175. 

  3. Choi C. H. (2004), A Study on Estimating the Value of Travel Time of Freight Transportation for Toll Roads Investment Evaluation, The Korea Spat. Plan. View, Vol.43,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pp.109-125. 

  4. Choi C. H. (2005), An Estimation of the Value of Travel Time of Freight Transportation (화물수송의 통행시간가치 범위 산정),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 

  5. Choi C. H., Lim K.W. (1999), Development of A Behavioral Mode Choice Model for Road Goods Movement, J. Korean Plan. Assoc., Vol.34, No.5, Korean Planners Association, pp.103-115. 

  6. Chun S. H. (2010), Development of a smart card data-based stochastic transit assignment model on integrated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s, Doctoral Thesis,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 

  7. De Jong G., Ben-Akiva M. (2007), A Micro-Simulation Model of Shipment Size and Transport Chain Choice, Transp. Res. Part B, Vol.41, No.9, pp.950-965. 

  8.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1996), Quick Response Freight Manual, Final Report, September. 

  9. Ha W. I., Nam K. C. (1996), Mode Choice Models for Freight Transportation Using SP Data, J. Korean Soc. Transp., Vol.14, No.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p.81-99. 

  10. Ham H. J., Kim Tschangho John, Boyce David (2005), Implementation and Estimation of a Combined Model of Interregional, Multimodal Commodity Shipments and Transportation Network Flows, Transp. Res. Part B, Vol.35, pp.65-79. 

  11. Jiang F., Johnson P., Calzada C. (1999), Freight Demand Characteristics and Mode Choice: An Analysis of the Results of Modeling with Disaggregate Revealed Preference Data, J. Transp. and Stat. 

  12. Kim C. S., Lee J. Y., Chung K. H. (2008), A Study on Intercity Freight Mode Choice modeling,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13. Kim E., Park D. J., Kim C., Lee J. (2010), A New Paradigm for Freight Demand Modeling: The Physical Distribution Channel Choice Approach, Int. J. Urban Sci., Vol.14, No.3, pp.240-253. 

  14. Korea Maritime Institute(KMI) (2002), A Study on Transporting Time of Container Freight between Inland Origin/Destination and the Kwangyang port and Busan port (내륙기종점에서 광양항과 부산항의 컨테이너 수송시간). 

  15. Korea Maritime Institute(KMI) (2008), Maritime Import/Export Freight OD Actualizing (해상 수출입화물의 기종점 자료 현행화). 

  16. Korea Rail Network Authority(KRNA) (2007), Korea Rail Network Improvement for Synergy Effect Optimization of Korea Train Express(KTX) (고속철도 개통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위한 철도시설개량 방안). 

  17. Korea Railroad(KR) (2005), A Study on Improving Freight Tariff Improvement and Developing Customer Satisfaction Index(CSI) (화물운임 제도개선 및 고객만족도(CSI) 지수개발 연구). 

  18. Korea Transport Institute(KOTI) (1998), 21C National Rail Network Mater Plan (21세기 국가철도망 구축 기본계획 수립: 최종보고서). 

  19. Korea Transport Institute(KOTI) (2003), A Study on the Korean Logistic System Innovation and International Logistic Competitiveness Improvement (물류체계 혁신 및 물류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20. Korea Transport Institute(KOTI) (2006), the Weighting and Expansion of Sample OD Freight Data on the National Area (전국지역간 화물기종점통행량(OD) 자료의 전수화). 

  21. Korea Transport Institute(KOTI) (2008), National Transportation Demand Survey and Database Establishment in 2007:Maritime Import/Export Freight OD Actualizing (2007년 국가교통DB구축 사업 중 해상수출입화물 OD 현행화). 

  22. Korea Trucking Association(KTA) (2008), Table of Container Freight Trucking fare tariff (컨테이너 육상운임요율표) 

  23. Lee H. A., Kang K.W. (1998), A Study of Road Freight Mode Choice Model, The 34th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p.496-505. 

  24. Markus Friedrich, Thomas Haupt, Klaus Nokel (2003), Freight Modelling: Data Issues, Survey Methods, Demand and Network Models,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ravel Behaviour Research Lucerne, 10-15. August. 

  25. MDS-Transmodal Ltd (2003), The GB Freight Model Documentation Project Document 1: Methodology, September. 

  26. Nam K. C. (1997), A Study on the Estimation and Aggregation of Disaggregate Models of Mode Choice for Freight Transport, Transp. Res. Part E, Vol.33, No.3, pp.223-231. 

  27. Norojono O., Young W. (2003), A Stated Preference Freight Mode Choice Model, Transp. Plan. and Technol., Vol.26, No.2, pp.195-212. 

  28. Park D. J. (2009),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Estimating Freight Demand using Analysing Distribution Channel (유통경로분석을 통한 화물수요추정방법의 개선에 관한 연구),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The Univ. of Seoul. 

  29. Park D. J. (2010), Container Freight Intermodal Policy Simulation (컨테이너 화물의 인터모달 정책시뮬레이션),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The Univ. of Seoul. 

  30. Park D. J., Shin S. J., Choi C. H., Shon E. Y., Kim H. S. (2009), Development of Freight Mode Choice Model using SP Data, The 57th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p.201-209. 

  31. Park M. Y., Kim C. S., Kim E.M., Park D. J., Pattanamekar P. (2010), Physical Distribution Channel Choice according to Commodity Types, J. Korean Soc. Transp., Vol.28, No.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p.77-86. 

  32. Park J. K. (1995), Railroad Marketing Support System Based on the Freight Choice Model, MIT Ph.D doctoral thesis. 

  33. Pattananmekar P., Park D. J., Lee K., Kim C. S. (2011), Estimating commodity OD matrix using sample commodity OD matrix from CFS and mode-specific OD matrices, submitted to Transportation. 

  34. Picard G. (1998), Exploration of a Box Cox Logit Model of Intercity Freight Mode Choice, Transp. Res. Part E, Vol.34, No.1, pp.1-12. 

  35. Shin S. J. (2008), Development of Freight Mode Choice Model using SP Data, thesis of M.D., Univ. of Seoul. 

  36. Swahn H. (2001), The Swedish National Mode System for Goods Transport: A Brief Introductory Overview, Swedish Institute for Transport and Communications Analysis Stockholm. 

  37. Tavasszy L. (2006), Freight Demand Modeling Tools for Public-Sector Decision Making, Conference Proceedings, ed. Hancock, K.L. Transp. Res. Board, Washington D.C., 25-27 September 2006, pp.47-55. 

  38.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05), Statewide Travel Demand Modelling, Transp. Res. Circular, Number E-C075, August. 

  39.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10), Freight-Demand Modeling to Support Public-Sector Decision Making, NCFRP REPORT 8,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40.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02), Derivation of the FAF Database and Forecast, Freight Analysis Framework, Office of Freight Management and Operations,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Washington, D.C., April 2002. 

  41. Univ. of Seoul(UOS) (2008), Preliminary Study on Supply Chain-based Freight Demand Modeling. 

  42. Winston C. (1981), A Disaggregate Model of the Demand for Intercity Freight Transportation, Econometrica, Vol.49, pp.981-1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