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John Galliano 작품에 나타난 란제리룩의 특성
Characteristics in the Lingerie Looks Designed by John Galliano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51 no.2, 2013년, pp.147 - 159  

김선영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nd producing the creative design of a lingerie look after reviewing the aesthetic value about lingerie look featured in John Galliano's works.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selection process from the works was followed together with literature review for empirical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패션에서 혁명가로 평가받고 있는 존 갈리아노의 작품을 중심으로 란제리룩의 형태적 특징을 고찰하여 그가 작품을 통해 나타내는 란제리룩의 표현방법과 특성을 가늠해보고, 향후 란제리룩의 창작디자인 전개 및 연출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해 란제리의 개념과 특성, 갈리아노의 작품세계를 고찰하고, 갈리아노 작품에 나타난 란제리룩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2001S/S부터 2010F/W까지의 갈리아노 컬렉션과 그가 수석디자이너를 맡고 있는 Christian Dior의 컬렉션을 포함하여 총 60회를 조사하였다.
  • 속옷을 이용한 란제리룩은 현대패션에 있어 의복과 관련된 관습적 주제인 성뿐만 아니라 신체적, 심리적 압박감과 만족감 사이의 유기적 연관성을 보여주며, 보다 가시화되고 물신화되고 있는 인체의 미적가치를 역설적으로 강조하게 하는 현상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해체와 왜곡, 혼성 등 실험 적이고 창조적 역동성을 표방하는 존 갈리아노가 작품을 통해 추구하는 란제리룩의 미적가치를 가늠해보고 향후 란제 리룩의 창작디자인 전개와 연출에 활용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과 함께 란제리룩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2001S/S부터 2010F/W까지의 갈리아노 프레타포르테 컬렉션과 그가 수석디자이너를 맡고 있는 Christian Dior 의 오트쿠튀르와 프레타포르테 컬렉션을 포함한 전체 2764 점의 작품 중 란제리룩의 이미지가 표현된 291점을 선별하여 란제리룩의 조형적 표현을 살펴보고 그 특성을 도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로맨틱 리얼리 스트의 혁명가라고 불리는 디자이너는 누구인가요? 현대패션에 있어‘로맨틱 리얼리 스트의 혁명가(p. 340)[26]라고 불리는 존 갈리아노(John Galliano)는 데뷔 초부터 역사주의와 로맨티시즘을 주테마로 하여, 영국의 보수적인 전통과 전위적이며 해체적인 스트리트 패션의 특성이 혼재된 강한 개성적인 작품을 매 시즌 발표함 으로써 혁신적이며 독창적인 디자이너로 인정받고 있다. 무엇 보다도 관능적이고 낭만적인 이미지로 대표되는 그의 작품에 있어 속옷에 대한 노골적인 표현과 해체는 갈리아노 특유의  디자인 특성과 함께 어우러져 파격적인 란제리룩의 표현을 나타내고 있다.
언더웨어란 무엇인가요? Fairchild’ s 복식사전에 의하면‘언더웨어는 피부 바로 위  에 입혀지는 옷으로 여자의 란제리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란제리는 슬립, 나이트가운, 팬티, 브라를 포함하여 이외에 콤비네이션, 코르셋, 파운데이션, 뷔스티에, 페티코트 등의 속옷이다(p.
속옷은 현대 패션에 있어 더 이상의 언더웨어로서의 기능만이 아닌 겉옷의 형태로 표현되어지는데 그에 관련한 용어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즉 속옷은 현대패션에 있어 더 이상의 언더웨어로서의 기능만이 아닌 겉옷의 형태로 표현되어 속옷과 겉옷에 대한 경계초월의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속옷의 겉옷화, 코르셋 룩, 란제리 룩, 속옷 패션, 뷔스티에 룩 등 다양한 용어로 일컬어지며 현대패션에 다양한 패션의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복식 사전에도 란제리룩이란‘속옷 룩, 즉 속옷 종류의 여러 가지 스타일에서 힌트를 얻은 옷차림을 말한다(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S. R., & Kang, B. S. (2006).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fun in modern fashion.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7(2), 359-369. 

  2. Bang, S. R. (2009). The works of John Galliano in haute cou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9(5), 19-40. 

  3. Bordo, S. (2004). Unbearable weight. (O. B. Park, Trans.). Seoul: Alternative Culture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993) 

  4. Calasibetta, C. M. (1988). Fairchild's dictionary of fashion. New York: Fairchild pub. 

  5. Cho, Y. R., & Park, H. S. (2004). A study on the expressional method of the eroticism in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4(2), 47-61. 

  6. Choi, E. H., & Song, M. R. (2001). Development of dress design using infra-syndrom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9(4), 549-561. 

  7. Ga, J. C. (1995). Fashion designer199. Seoul: Jeong Eun Books. 

  8. Gu, J. Y. (2004).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the corset look in contemporary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9. Jang, A. R. (2006). The comic expression depicted on John Galliano's wor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6(3), 129-142. 

  10. Jin, K. O. (2005).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fashion coordination in the John Galliano's fashion show.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5(6), 51-66. 

  11. Jung, J. H., & Ko, H. Z. (2009). The study on the design identity of Dior fashion hou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9(6), 126-139. 

  12. Kim, H. J., & Lim, Y. J. (1993). A study on the eroticism appearing in the fashion advertising of post-modernis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21, 101-112. 

  13. Kim, H. S., & Kim, H. R. (1990). Arts and philosophy.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4. Kim, S. Y. (2008). Characteristics of corsets in modern fash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6(5), 924-936. 

  15. Kim, S. Y. (2008). A study of playfulness shown in the haute couture collection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6(3), 475-787. 

  16. Kim, S. Y., & Lee, B. H. (2004).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for body expressed by modern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4(3), 129-143. 

  17. Kim, S. Y., & Shim, J. Y. (2008). Intertextuality of materials in the contemporary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5), 741-752. 

  18. Ko, Y. A., & Choy, H. S. (2000). Fashion design for applying supra syndrome of cors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0(4), 165-180. 

  19. Kong, M. R. (2006). Inner wear design. Seoul: Gyeongchunsa. 

  20. Kong, M. S., & Chae, K. S. (2003). Design originality of Christian Dior's haute cou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3(2), 57-70. 

  21. Lee, K. Y., & Cho, K. H. (2009). A study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s in John Galliano collectio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3(2), 50-65. 

  22. Lee, S. H. (2009). A study on the body perception of modern fash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3. Lee, S. R. (1997). The vogue about outwearization of underwear in a tendency to the century-e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35, 325-341. 

  24. Lim, S. M. (2004). The study of exposure and concealment in fashion: Focusing on the Freuds psycho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1), 1395-1403. 

  25. Martin, R., & Koda, H. (1991). The body transformed, the metropolitan of art. New York: Yale university press. 

  26. Mcdowell, C. (2000). Fashion today. London: Phaidon. 

  27. Nam, M. H., & Lee, S. H. (2000). A study on underwe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0(1), 129-144. 

  28. Park, H. W. (1999). A study on the designs of John Galliano. Journal of Fashion Business, 3(2), 19-29. 

  29. Rasara Educational Development. (1991). The illustrated dictionary of fashion. Seoul: Rasara Publishing Co. 

  30. Shin, H. N., & Lee, M. S. (2010). Women's body in the fashion of John Galliano and Martin Margiel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60(7), 14-30. 

  31. Tucker, A. (1988). The london fashion book. London: Thames & Hudson. 

  32. Willett, C., & Cunnington, P. (1992). The history of underclothes. London: Dover pub. 

  33. Yoon, J. A., & Lee, M. H. (2006). Design analysis and apparel patternmaking of lingerie lo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6(7S), 152-16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