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와 AHP분석에 의한 생태습지의 생성 및 유지조건 도출
Elicitation of Ecological Wetland's Creating & Maintaining Conditions through GIS & AHP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1 no.1, 2013년, pp.29 - 40  

엄대용 (한국교통대학교 건설교통대학 토목공학과) ,  심미영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건설공학과) ,  신계종 (한국교통대학교 건설교통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남한강 유역내 자연적으로 생성되어 오랜 시간 습지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습지들을 대상으로 습지가 가지는 공통적 특성을 GIS와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에 의해 분석함으로써 습지의 생성 및 유지 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습지에 대한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지형학적, 지질학적, 수리 수문학적, 토양학적, 환경 생태학적 측면의 5개 카테고리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각 카테고리별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중첩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각 연구대상 습지들에 연계하여 충족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연구대상 습지들이 갖는 공통적인 생성 및 유지조건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요인들에 대해 AHP분석기법을 적용해 요인별 가중치를 산출함으로써 보다 신뢰성이 높은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습지총량제의 도입에 있어 습지의 복원 및 유지, 인공습지의 조성을 위한 적지선정에 효과적으로 적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습지의 단순한 보존을 넘어 가치의 재인식과 함께 자연형 습지에 대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elicit the ecological wetland's creating and maintaining conditions through GIS an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on common characteristics of wetland, by exploring the function of the long-standing and naturally created wetlands in South Han-river basin. Geomorp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습지의 생성과 안정적인 유지를 위한 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현재 안정적으로 습지가 발달한 자연형 습지를 대상으로 지형, 지질, 수리·수문, 토양 및 환경·생태학적 측면에서 공통된 특성을 분석하고, 도출한 공통 특성들을 대상으로 습지의 생성 및 유지에 대한 평가 항목별 기여도를 AHP 기법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 습지는 퇴적작용이 활발한 곳에서 발달하므로 연구 대상지의 지질분포 현황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으로부터 수집한 지질도를 정밀 분석하여 지질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지질도는 암층의 분포, 성질, 상대적 연대, 습곡, 단층, 절리의 발달 및 광상과 화석 산지의 기록 등 지질학적 정보를 기록한 지도이므로 연구대상 습지의 생성조건을 도출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하였다(Resources Information System, 2012).
  • 이를 통해 향후 습지 복원을 위한 대체습지의 조성계획 수립 단계에서 지역의 자연·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지역맞춤형 대체습지 로서의 입지결정 방법론을 제시하고 체계적인 유지관리 대책의 수립에 활용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습지로서의 제 기능을 할 수 있는 최적의 입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습지는 주변 지역의 자연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가지게 됨으로 대체습지의 생성 및 유지를 위한 조건은 해당 지역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어 오랜 기간 습지로서의 제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자연 생성형 습지에서 그 해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Campbell et al, 2002).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한강 유역내 자연적으로 생성되어 오랜 시간 습지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습지들을 대상으로 습지의 분포와 공통적 특성을 GIS와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에 의해 다각도로 분석함으로써 습지의 생성 및 유지 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습지의 토양은 습윤 토양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습지가 유지되며 토양특성에 따라 물의 흐름 및 집적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Song et al, 2006; Anderson et al, 2004; Bruland et al, 2004).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양의 상태에 따라 습지의 생성 및 유지조건이 달라진다는 판단하에 토양의 특성과 침식 정도, 자갈의 함량, 배수등급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정밀토양도를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공받아 분석하였다(Korean Soil Information System, 2012). 정밀토양도의 속성정보는 토양통의 코드값만을 제공하므로 범례를 다운받아 토양통의 코드값을 기준으로 테이블 조인 작업을 수행하여 표토의 특성(Figure 4(a)), 표토의 침식정보(Figure 4(b)), 배수등급(Figure 4(c)) 및 지형특성(Figure 4(d)) 등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습지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습지는 일정기간 또는 정기적으로 범람의 영향을 받은 수역과 인접해 있는 공간 또는 인간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생활하는 물과 육지간의 경계면에 위치한 공간이라 정의할 수 있다. 한때는 버려진 땅으로 인식되었으나 최근 들어 습지는 각종 수생식물과 곤충, 어류, 철새들이 살아가는 터전이자 생물 다양성의 보고로서 생명의 땅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생태적 기능과 수질 및 토양의 정화기능, 담수 및 홍수조절 기능 및 문화적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습지에 대한 인식이 크게 바뀌고 있다(Yoo, 2001).
안정적으로 습지가 발달한 자연형 습지를대상으로 습지의 생성 및 유지에 대한 평가 항목별 기여도를 AHP 기법을 적용하여 검증한 결과 얻은 결론은 무엇인가? 첫째, 습지의 생성 및 유지조건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형, 지질, 수리·수문, 토양, 환경·생태 특성을 반영하는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중첩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각 연구대상 습지들에 연계하여 충족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연구대상 습지들이 갖는 공통적인 생성 및 유지조건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하천 습지의 생성 및 유지를 위해서는 경사와 고도가 낮은 내륙 평탄한 지형, 제4기 충적층의 지질을 포함하며, 세사양토와 양토의 토양특성을 지녀야 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직접적인 물의 공급과 배수가 원활하며 다양한 생물의 분포와 희귀성으로 환경생태학적으로 높은 등급에 포함되는 등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AHP분석에 의해 카테고리별(Level 2) 가중치를 산출하고 이를 적용하여 습지의 생성 및 유지에 기여하는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지질특성 0.503, 수리·수문특성 0.260, 환경·생태특성 0.134, 토양특성 0.068, 지형특성 0.035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습지의 생성 및 유지조건의 도출을 위한 세부 평가항목 8개(Level 3)에 대하여 상대적 중요도, 순위 및 일관성을 검증한 결과, 일관성비는 0.028로 논리적인 일관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평가 항목 중 지질항목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상대적으로 지형특성 중 표고항목이 가장 낮은 중요도를 나타내었다.
다양한 종류의 식생 및 수생식물 서식의 유·무는 어떤 척도인가? 다양한 종류의 식생 및 수생식물 서식의 유·무는 습지로 정의 및 분류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습지로서의 제 기능을 판가름하는 척도이다(Lee et al, 1997;Lu et al, 2007). 즉, 생물의 다양성이 풍부하면 그만큼 습지의 가치가 높다는 의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derson, C. J., Kettlewell, C. I. and Mitsch, W. J. (2004), Soil development of two wetland creation areas at the Olentangy River Wetland Research Park in Columbus, Ohio, Annual report (Olentangy River Wetland Research Park), pp. 51-56. 

  2. Bruland, G. L. and Richardson, C. J. (2004), comparison of Soil Organic Matter in Created, Restored and Paired Natural Wetlands in North Carolina, Wetlands Ecology and Management, Vol. 14, pp. 245-251. 

  3. Campbell, D. A., Cole, C. A. and Books, R. P. (2002), A comparison of created and natural wetlands in Pennsylvania, Wetlands Ecology and Management, Vol. 10, pp. 41-49. 

  4. Environmen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inistry of Environment, http://egis.me.go.kr/egis/home/webgis/metasearch/meta_search.asp (last date accessed: 14 November. 2012) 

  5. Kang, H., Song, K., Xuan Que and Kim, S. (2007), Effects of water level fluctuations on wetland biogeochemistry in relation to wetland restoration and management,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pp. 1474-1475. 

  6. Kim, B. and Ku, C. (2005), Establishing Management District for Inland Wetlands Using Digital Eleveation Model, Journal of GIS, The Korean Society for GIS, Vol.13 No.2, pp. 167-183. 

  7. Kim, G. and Gu, B. (2001), Classifying a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Wetlands in Korea, J. Korean Env, Res. Tech,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ol.4 No.2, pp. 11-25. 

  8. Ko, C., Jin, D. and Ha, S. (2008), An Analysis of Suitable site of Constructed Wetland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and GI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Korean Wetlands Society, Vol.10 No.2, pp. 115-128. 

  9. Korea Institute fo Policy Evaluation (2007), Introduction Plans Constuction of No Net Loss of Wetlands, Ministry of Environment, pp. 164-170. 

  10. Korean Soil Information System,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ttp://soil.rda.go.kr/soil/community/application.jsp (last date accessed: 11 October. 2012) 

  11. Lee, M. (1997), Analysis of land Suitability and Ecological Environment Using GIS Focused on the Evaluation Model for Designating of Natural Ecological Preservation Zone,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6 No.2, pp. 61-80. 

  12. Lee, S. and Yoon, M. (1994), Marketing decision-making using the AHP technique, Publishing seokjeong. 

  13. Lim, Y. and Kim, G. (2009), A Study on selecting suitable abandoned farmland site for wetland restoration to promote biodiversity : focusing on Gounpo Ban-wol river watershed, . Korean Env, Res. Tech,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ol.12 No.1, pp. 52-66. 

  14. Lu, J., Wang, H., Wang, W. and Yin, C. (2007),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in restored wetlands near Lake Taihu, China, Hydrobiologia, Vol. 581, pp. 151-159. 

  1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2), National Inland Wetland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16. National Wetlands Center, http://www.wetland.go.kr/ (last date accessed: 20 September. 2012) 

  17. Resources Information Syste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http://www.kigam.re.kr/public/public_06_view.asp?selcategory20 (last date accessed: 22 November. 2012) 

  18. Song, H., Park, G., Park, H., So, S., Kim, H. and Kim, M. (2006),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a Forest Wetland in Jangdo, Sinan-Gu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Vol.20 No.4, pp. 407-414. 

  19. Stolt M. H., Genthner M. H., Daniels W. L., Groover V. A., Nagle S. and Haering K. C. (2008), Comparison of soil and other environmental condition in costructed and adjacent palustrine reference wetlands, Wetlands Ecology and Management, Vol. 20, pp. 671-683. 

  20. Um, D. (2010), The Suitability Analysis of National Environmental Zoning Map for Selection of Location Possibility about Specific Development Proje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28 No.6, pp. 595-604. 

  21.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http://www.wamis.go.kr/WKW/WL_DUBWLOBS.ASPX (last date accessed : 20 september 2012) 

  22. Yoo, H. (2001), Geographical dist ribut ion and environment of the Korean wetlands, MA, Kyung Hee University. 

  23. Yoo, J., Na, J., Jung, S. and Jo, H. (2010), Restoration and Construction Based on Ecological Environment of Forest Wetland, Gyeongsangbuk-do, Journal of KIFR,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Vol.14 No.2, pp. 33-4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