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튬 덴드라이트의 성장 반응에 미치는 공용매의 영향
Effects of Co-solvent on Dendritic Lithium Growth Reaction 원문보기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 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24 no.2, 2013년, pp.172 - 178  

강지훈 (순천향대학교 나노화학공학과) ,  정순기 (순천향대학교 나노화학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lectrochemical deposition and dissolution of lithium on nickel electrodes in 1 mol $dm^{-3}$ (M) $LiPF_6$ dissolved in propylene carbonate (PC) containing different 1,2-dimethoxyethane (DME) concentrations as a co-solvent. The DME concentration was fo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이와 같은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용매화된 리튬 이온의 구조를 바꾸기 위하여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 이전 연구에서는 리튬염의 농도 제어를 통해 용매화 리튬 이온의 구조를 바꾸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주 용매인 탄산 프로필렌(propylene carbonate, PC)에 혼합되는 공용매의 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용매화 리튬 이온의 구조 변화와 리튬 덴드라이트의 성장 반응 사이의 상관성에 관해 기초적인 실험적 해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용량 이차전지의 음극재료로 리튬을 이용하는 것이 지연되고 있는 이유는? 045V) 중량 에너지 밀도가 크다는(3,860mAhg-1) 특성을 가지고 있어 고용량 이차전지의 음극재료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음극 소재로 리튬 금속을 사용할 경우 안전성이 취약하고 수명이 짧다는 문제가 있어 실용화가 늦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전지의 충방전 과정에서 생성되는 리튬 덴드라이트(dendritic lithium) 의 성장으로 인한 전지의 단락과 고립 리튬(dead lithium)이 그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1,2),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리튬의 특징은? 원자번호가 3이며 알칼리 금속에 속하는 리튬은 산화환원전위가 낮고(표준수소전극에 대해 -3.045V) 중량 에너지 밀도가 크다는(3,860mAhg-1) 특성을 가지고 있어 고용량 이차전지의 음극재료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음극 소재로 리튬 금속을 사용할 경우 안전성이 취약하고 수명이 짧다는 문제가 있어 실용화가 늦어지고 있다.
수지상 리튬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의 예는? 이러한 문제는 전지의 충방전 과정에서 생성되는 리튬 덴드라이트(dendritic lithium) 의 성장으로 인한 전지의 단락과 고립 리튬(dead lithium)이 그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1,2),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보고를 살펴보면 수지상 리튬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신규 전해질 및 첨가제의 탐색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그 외에도 리튬염의 농도, 전류밀도,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는 완전한 문제 해결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3-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K. Kanamura, S. Shiraishi, and Z. Takehara, "Electrochemical deposition of lithium metal in nonaqueous electrolyte containing $(C_2H_5)_4NF(HF)_4$ additive", Journal of Fluorine Chemistry, Vol. 87, 1998, pp. 235-243. 

  2. K. Shin, K. Jung, S. Yoon, S. Yeon, J. Shim, J. Joen, C. Jin, Y. Kim, K. Park, and S. Jeong,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ous modified silicon impregnated with metal as anode material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Tra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23, No. 4, 2012, pp. 390-396. 

  3. L. Yang, C. Smith, C. Patrissi, C. R. Schumacher, and B. L. Lucht, "Surface reactions and performance of non-aqueous electrolytes with lithium metal anodes",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185, 2008, pp. 1359-1366. 

  4. S. -K. Jeong, H. -Y. Seo, D. -H. Kim, H. -K. Han, J. -G. Kim, Y. B. Lee, T. Abe, and Z. Ogumi, "Suppression of dendritic lithium formation by using concentrated electrolyte solutions", Electrochemistry Communications, Vol. 10, 2008, pp. 635-638. 

  5. C. M. Lopez, J. T. Vaughey, and D. W. Dees, "Insights into the role of interphasial morphology on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lithium electrodes", Journal of The Electrochemical Society, Vol. 159, No. 6, 2012, pp. A873-A886. 

  6. R. Mogi, M. Inaba, T. Abe, and Z. Ogumi, "In situ atomic force microscopy observation of lithium deposition at an elevated temperature",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97-98, 2001, pp. 265-268. 

  7. M. Ishikawa, M. Kanemoto, and M. Morita, "Control of lithium metal anode cycleability by electrolyte temperature",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81-82, 1999, pp. 217-220. 

  8. V. R. Koch, S. B. Brummer, "The effect of desiccants on the cycling efficiency of the lithium electrode in propylene carbonate-based electrolytes", electrochimica acta, Vol. 23, No. 1, 1978, pp. 55-62. 

  9. S. -K. Jeong, M. Inaba, Y. Iriyama, T. Abe, and Z. Ogumi, "Surface film formation on a graphite negative electrode in lithium-ion batteries: AFM study on the effects of co-solvents in ethylene carbonate-based solutions", Electrochimica Acta, Vol. 47, 2002, pp. 1975-1982. 

  10. Y. Kameda, Y. Umebayashi, M. Takeuchi, M. A. Wahab, S. Fukuda, S. Ishiguro, M. Sasaki, Y. Amo, and T. Usuki, "Solvation structure of $Li^+$ in concentrated $LiPF_6$ -propylene carbonate solutions", 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B, Vol. 111, 2007, pp. 6104-6109. 

  11. C. S. Kim and S. M. Oh, "Importance of donor number in determining solvating ability of polymers and transport properties in gel-type polymer electrolytes", electrochimica acta, Vol. 45, No. 13, 2000, pp. 2101-21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