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자책 DRM을 위한 자동화된 표준정합성 검사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utomated Compatibility Standard Test System for eBook DRM 원문보기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13 no.2, 2013년, pp.127 - 136  

김태현 ,  강호갑 ,  안창주 ,  조성환 (금강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저작권위원회의 CT R&D 과제로 진행되고 있는 EPUB DRM 호환성 기술 연구(과제명 : 국제표준의 EPUB 기반 전자책 DRM 표준 레퍼런스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는 2011년 전자책 시장의 사실상표준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EPUB 표준을 기반으로 암호화 및 전자서명 프로파일 표준안과 인증서 프로파일 표준안, 그리고 권리정보 용어에 대한 표준안을 개발하였다. 이들 4개의 표준안들은 각각 '전자책 DRM 암호화 명세서', '전자책 DRM 전자서명 명세서', '전자책 DRM 인증서 명세서', '전자책 DRM 권리용어 정의' 라는 제목으로 전자출판물표준화포럼(ODPF)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를 통해 2012년 국내 산업표준으로 제정이 완료되었다. 또한 동일 연구과제에서는 이들 4개의 표준이 전자책 DRM의 실질적인 호환성을 위해 적용될 수 있도록 전자책 DRM 라이선스 프로토콜에 대한 표준안도 2012년에 수립하였다. 기술 표준들은 해당 표준 명세서를 기반으로 개발된 구현물들이 표준에 부합되게 구현되었는지를 검사하는 표준정합성 검증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논문은 전자책 DRM 표준기술 명세서를 기반으로 한 자동화된 표준 정합성 검증 방법 및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of the compatibility of EPUB DRM, granted by the Korea Copyright Commission, as a CT R & D project (Project Title: The Development of the standard reference software technology for International Standard EPUB-based eBook DRM) developed standards such as profile standards for encryption d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라이선스 획득 프로토콜 명세서는 HTTP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로 구성되어 있다. 라이선스 획득 프로토콜의 규정 근거는 전자책 서비스 사업자들 간에 라이선스 발급 과정을 표준화하여 최종 소비자의 사용 편리성을 높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전자책 DRM에 관련된 포맷이 EPUB 표준과 위에서 서술한 인증서 표준, 전자서명 표준, 인증서 표준을 준수하여 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이에 대한 정보를 전달과정이 표준화 되어 있지 않다면 전자책 DRM 단말기는 서비스 사업자간에 호환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상존한다.
  • 본 논문에서는 2011년 한국 저작권위원회 주관으로 진행된 4개의 전자책 DRM 표준들과, 2012년에 개발된 전자책 DRM 라이선스 발급 프로토콜을 분석하고 이들 표준들에 대한 적용 결과물들을 검증해 주는 자동화된 표준 정합성 검증 모델을 다룬다.
  • 본 논문은 2012년 TTA와 ODPF에 등록된 4건의 전자책 DRM 표준들과 이들 표준을 기반으로 제작된 전자책 DRM 라이선스 획득 프로토콜에 대한 개략적인 기술을 분석한 후, 이들 표준들을 기반으로 구현된 전자책 DRM 콘텐츠, 뷰어, 클라이언트, 서버에 대한 표준 정합성 검증 방법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모델은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의 CT R&D 연구과제(과제명 : 국제표준의 EPUB 기반 전자책 DRM 표준 레퍼런스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를 통해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상 전자책 DRM 뷰어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가? 가상 전자책 DRM 뷰어는 데이터 검증에 사용된다. 데이터 검증에서는 검증대상이 되는 전자책 DRM 콘텐츠를 입력 받아 데이터 검증 항목에 대해 자동으로 검증을 완료한 후의 결과를 보고서 형식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상 전자책 뷰어는 암호화된 콘텐츠의키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가상 전자책 DRM 클라이언트를 이용한다.
프로파일의 규정 근거는 무엇에 있는가? 이 표준은 IDPF EPUB 표준에서 암호화 방식으로 권고하고 있는 W3C XML Encryption에 대한 프로파일을 규정하고 있다. 프로파일의 규정 근거는 구현범위에 대한 축소와 보안성 강화에 있다. 현재 W3C 표준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암호화 알고리즘과 키 길이, 키 저장 방식은 매우 다양한 종류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W3C Encryption 표준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보안 취약성이 있는 알고리즘과 키 길이가 사용될 수있어 보안적인 허점이 존재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IDPF에서는 전자책 기술규격으로 무엇을 제시하고 있는가? IDPF (International Digital Publishing Forum)[1]에서는 전자책 기술규격으로 2011년 10월, EPUB (Electronic Publication) 3.0 표준을 발표하여 PDF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전자책 산업에 새로운 기술표준을 제시하고 있다[2]. IDPF의 기술 표준화에 힘입어 2009년 이후부터 스마트 패드기기를 포함한 다양한 모바일 기기들이 EPUB 포맷을 지원하는 전자책 열람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출시하고 있고, 국내외 전자책 서비스 제공자들도 대부분 EPUB을 필수 지원 포맷으로 제공하고 있는 추세에 있어 이제 EPUB은 전자책 산업 표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IDPF, Available: http://www.idpf.org 

  2. Tae-Hyun Kim et al., "A Study of License acquisition Method Supporting Mutual Compatibility of EPUB-based eBook DRM", Vol 13, No. 1,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pp.205-214, 2013 

  3. W3C, W3C XML Encryption, 2002 

  4. W3C, W3C XML Signature, 2008 

  5. ITU-T Recommendation X.509 | ISO/IEC 9594-8: Information Technology. 

  6. ODPF KR 02-1:2012, Definitions of Right Terms for EPUB DRM 

  7. ODPF KR 02-2:2012, Encryption specification for EPUB DRM 

  8. ODPF KR 02-3:2012, Digital signature specification for EPUB DRM 

  9. ODPF KR 02-4:2012, Certificate specification for EPUB DRM 

  10. TTAK.OT-10.0332, Encryption specification for EPUB DRM 

  11. TTAK.OT-10.0333, Digital signature specification for EPUB DRM 

  12. TTAK.KO-10.0624, Certificate specification for EPUB DRM 

  13. TTAK.KO-10.0625, Definitions of Right Terms for EPUB DRM 

  14. ODPF, Available: http://odpf.or.kr/ 

  15. TTA, Available: http://www.tta.or.kr/ 

  16. IDPF EPUB Validator, Available: http://validator.idpf.org/ 

  17. IDPF OCF3.0 Available: http://idpf.org/epub/30/spec/epub30-ocf.html 

  18. ODPF KR xx-x:2013, License Acquisition Protoco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