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호 호환성을 위한 홈 도메인 DRM 설계
Design of Interoperable DRM System in Home Domain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15 no.12, 2010년, pp.117 - 123  

문주영 (부천대학 전산정보처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홈 도메인에서 상이한 DRM 규격의 콘텐츠 재배포가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홈 도메인 기반의 상호 호환성을 위한 DRM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DRM 규격이 다른 디바이스간의 콘텐츠 재배포에 대한 어려움을 해결함으로서, 사용자의 콘텐츠 사용상의 제약과 불편을 해소하고 동시에 콘텐츠 제작자 및 제공자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는 홈 도메인 내의 콘텐츠 재배포를 위한 DRM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사용자가 구입한 콘텐츠를 자신이 소유한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에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디바이스들을 하나의 홈 도메인으로 묶어 상호 호환성있는 DRM을 위한 홈 도메인을 구축했다. 이로서 엑스포트 및 임포트 디바이스 각각 HADM에 의하여 홈도메인에서 인증되면, DIM을 이용하여 엑스포트 디바이스의 콘텐츠 및 라이선스를 임포트 디바이스의 DRM 규격에 맞게 변환한 후 재패키징하여 임포트 디바이스에게 재배포할 수 있게 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interoperable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that allows to redistribute contents safely based on home domain. We tried to solve the problem about contents redistribution between devices under different DRM regime so that we suggested a interoperable DRM syste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장에서 소개한 홈 도메인 기반의 DRM 시스템에 대하여 상이한 DRM 규격의 디바이스 상호간의 콘텐츠 재배포가 가능하도록 개선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상호 호환성을 가진 DRM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저작권 보호에 관한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상호 호환성이 지원되는 홈 도메인 DRM 시스템 모델을 제안한다.
  • 본 장에서는 홈 도메인 기반의 DRM 시스템의 기존 연구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DRM의 상호 호환성을 위한 접근 방식에 대해 살펴본다.
  • 본 논문에서는 가정과 같은 소집단에서 상호 호환성을 지원하는 디지털 디바이스간의 콘텐츠 공유가 가능한 홈 도메인을 위한 프레임 워크를 제안하였다. 특히 도메인 기반 시스템에서도 지속적으로 콘텐츠 저작권이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콘텐츠의 불법 배포를 막을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등록된 장치들 상호간의 콘텐츠 전송이 가능한 홈 도메인을 제안한다. 특히, 각 장치간의 DRM 규격의 상이한 경우에도 콘텐츠 전송과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호 호환성을 가진 홈 도메인내의 DRM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 마지막으로, 기존 시스템은 콘텐츠 및 라이선스를 재배포할 때마다 도메인 서버에 재배포 내역인 RDL(Re-Distribution List)을 전송하는데, 이는 RDL에 의한 콘텐츠 사용료 산정을 위한 것으로 데이터 전송량 및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의존성이 증가되어 시스템에 부담을 가중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콘텐츠 및 라이선스 재배포를 전제로 책정된 콘텐츠 구매가로 콘텐츠를 구입하는 Usage Rule 방식을 도입함으로서 RDL을 DRM 서버에 보고하지 않아도 되므로 콘텐츠 재배포를 위한 프로토콜이 경량화되었다.
  • 특히 도메인 기반 시스템에서도 지속적으로 콘텐츠 저작권이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콘텐츠의 불법 배포를 막을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특히 상이한 규격의 DRM 하의 디바이스간의 콘텐츠 재배포를 위한 콘텐츠 및 라이선스의 변환 및 재패키징을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홈 도메인 시스템는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따라서 홈 도메인 기반의 DRM 시스템은 도메인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등록과 인증과정을 거쳐 콘텐츠와 재패키징한 라이선스를 전달함으로서 홈 도메인 내의 콘텐츠 재배포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홈 도메인 시스템은 HADM(Home Authorized Domain Manager), Active 디바이스 그리고 Passive 디바이스로 구성된다[5].
완전 포맷 방식의 장단점은? 완전 포맷 방식은 콘텐츠 제공자 모두가 같은 DRM 플랫폼을 채택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사용자의 편의성 측면에서는 가장 우수하다고 할 수 있으나 어플리케이션이나 비즈니스 모델 측면에서는 매우 실현하기 어려운 방식이다.
DRM 상호 호환성이 보장되지 못함으로 어떤 불편함이 따르는가? 이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제공자의 권리와 이익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불법 복제와 유통을 막고 체계적으로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를 위한 것이 암호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DRM : Digital Rights Management) 기술이다[1]. 한편,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하여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여러 장치에서 호환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불편이 따르게 되는 데, 이는 DRM 기술이 업체별 독자적인 기술 규격과 서비스를 실시함에 따라 DRM 상호 호환성이 보장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DRM 분야는 개발업체의 기술간 상호 연관성을 갖지 못한 채 플랫폼 별로 독자적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Joshua Duhl, "Digital Rights Management : A Definition," IDC 2001. 

  2. Brad Cox, Superdistribution: Objects As Property on the Electronic Frontier, Addision-Wesley, May. 1996. 

  3. Carlos Serrao, Victor Torres, Jaime Delgado, Miguel Dias, "Interoperability Mechanisms for registration and authentication on different Open DRM platform", IJCSN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and Network Security, VOL. 6 NO.12, Dec. 2006. 

  4. Natali. Helberger, Nicole, Dufft, Margreet Groene nboom, Kristof Kerenyi, Carsten, Orwat, Ulrich Riehm, "Digital rights management and consumer acceptability," A multi-disciplinary discussion of consumer concerns and expectations, State-of-the-art report, Amsterdam, pp.104 et seq..., 2004. 

  5. 이창보, 김정재, 문주영, 이경석, 전문석, "홈 도메인에서 안전한 콘텐츠 전송을 위한 DRM 시스템의 설계," 한국정보처리학회 논문지 C, VOL. 14-C NO. 03, 2007년 4월. 

  6. 문주영, 이창보, 김정재, 전문석, "홈 도메인에서 콘텐츠 재배포를 위한 DRM 시스템 설계",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VOL. 12 NO. 3, 2007년 7월. 

  7. 이창보, "홈 도메인에서 안전한 콘텐츠 전송을 위한 DRM 시스템의 설계," 숭실대학교 석사논문, 2007년 2월. 

  8. 성민규,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현황 분석", 동향과 분석, 통권 240호, 2006년. 

  9. R. H. Koenen, J. Lacy, M. Mackey, D. Mitchell, "The Long March to Interoperable Digital Rights Management," Proceedings of the IEEE, VOL. 92(6), Jun. 2004. 

  10. D. W. Kravitz, T. S. Messerges, "Achieving Media Portability through Local Content Translation and End-to-End Rights Management," Proceedings of the ACM Digital Rights Management workshop DRM'05, pp 27-36, Nov. 2005. 

  11. Bogdan C. Popescu, Bruno Crispo, Frank L.A.J. Kamperman, Andrew S. Tanenbaum "A DRM Security Architecture for Home Networks," Proc. 4th ACM Workshop on DRM, pp. 1-10, 2004. 

  12. 김정재, 박재표, 전문석, "동영상 데이터 보호를 위한 공유키 풀 기반의 DRM 시스템," 한국정보처리학회 논문지 C, VOL. 12-C NO. 02 pp. 0183-0190 2005년 4월. 

  13. M. Blaze, G. Bleumer, M. Strauss. "Divertible Protocols and Atomic Proxy Cryptography," In EUROCRYPT, pp. 127-144, 1998. 

  14. Benoit Libert, Damien Vergnaud, "Multi-Use Unidirectional Proxy Re-Signatures," CCS '08: Proceedings of the 15th ACM conference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s security, pp 511-520, Oct.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