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영재 탐구활동에 제시된 과학탐구능력 분석 및 개발을 위한 제안
Analysis of Science Process Skills and Suggestions for Developing Scientific-Inquiry of Secondary Science Gifted Student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3 no.2, 2013년, pp.289 - 310  

신미영 (서울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 프로그램의 탐구활동에서 다루고 있는 과학탐구능력을 토대로 과학영재들에게 적합한 탐구활동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학영재프로그램의 탐구활동을 분석하고, 상위 수준의 과학탐구능력인 문제인식, 문제발견, 탐구계획이 다루어진 횟수를 근거로 탐구활동을 평가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탐구활동에 이 과학탐구능력들이 다루어지도록 수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탐구주제마다 다루어지는 과학탐구능력의 종류와 수가 조금씩 다르다. 둘째, 본 연구에서 과학영재들에게 적합한 과학탐구능력이라고 정한 문제인식과 문제발견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탐구계획은 일부 활동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셋째, 일부 탐구활동은 수정 후에 문제인식, 문제발견, 탐구계획을 다루게 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과학영재프로그램의 탐구활동들은 다수의 다양한 주제들로 구성되어야 하며 각 주제의 탐구활동에 문제인식, 문제발견, 탐구계획과 같은 상위 수준의 과학탐구능력을 더 다루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탐구활동 개발자가 과학영재학생에게 적합한 과학탐구능력을 미리 정하고 이를 구안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개발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uggest several considerations about developing scientific inquiries for secondary science gifted students. To do this, we analyzed scientific inquiries of science gifted programs and evaluated them on the quantity of problem per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재교육은 어떠한 형태에서 운영 되고 있는가?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이 고시되면서 국가적 차원의 뒷받침을 받고 영재교육이 시작되었다. 현재는 영재학교, 영재학급, 방과후학교 영재학급 그리고 교육청 및 대학 영재교육원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타당한 선발도구를 개발하여 잠재력을 지닌 영재를 판별하고 이들의 지적 정의적 특성에 따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영재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면서 영재교육의 양적 확대와 질적인 도약을 추구하고 있다.
우리나라 영재교육이 시작 된 것은 언제인가?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이 고시되면서 국가적 차원의 뒷받침을 받고 영재교육이 시작되었다. 현재는 영재학교, 영재학급, 방과후학교 영재학급 그리고 교육청 및 대학 영재교육원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타당한 선발도구를 개발하여 잠재력을 지닌 영재를 판별하고 이들의 지적 정의적 특성에 따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영재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면서 영재교육의 양적 확대와 질적인 도약을 추구하고 있다.
과학영재프로그램의 탐구활동을 분석하고, 상위 수준의 과학탐구능력인 문제인식, 문제발견, 탐구계획이 다루어진 횟수를 근거로 탐구활동을 평가 한 결과는? 이를 위하여 과학영재프로그램의 탐구활동을 분석하고, 상위 수준의 과학탐구능력인 문제인식, 문제발견, 탐구계획이 다루어진 횟수를 근거로 탐구활동을 평가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탐구활동에 이 과학탐구능력들이 다루어지도록 수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탐구주제마다 다루어지는 과학탐구능력의 종류와 수가 조금씩 다르다. 둘째, 본 연구에서 과학영재들에게 적합한 과학탐구능력이라고 정한 문제인식과 문제발견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탐구계획은 일부 활동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셋째, 일부 탐구활동은 수정 후에 문제인식, 문제발견, 탐구계획을 다루게 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과학영재프로그램의 탐구활동들은 다수의 다양한 주제들로 구성되어야 하며 각 주제의 탐구활동에 문제인식, 문제발견, 탐구계획과 같은 상위 수준의 과학탐구능력을 더 다루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탐구활동 개발자가 과학영재학생에게 적합한 과학탐구능력을 미리 정하고 이를 구안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개발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2006년도 서울시 성북교육청 영재교육원 자료집. 서울시 성북교육청. 

  2. 2007년도 중등과학영재 심화교수학습자료. 한국교육개발원. 

  3. 2009년도 과학(기초반) 자료집. 서울대학교 관악영재교육원. 

  4. 2009년도 과학(심화반) 자료집. 서울대학교 관악영재교육원. 

  5. 2009년도 서울영재교육과정/중등과학. 서울시교육청. 

  6. 2010년도 영재교수.학습표준화자료. 서울시과학전시관. 

  7. 강은주, 김선자, 박종욱 (2009). 초등과학 영재학생의 개방적 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참과학 탐구의 특징 분석. 영재교육연구, 19(3), 647-667. 

  8. 김순식 (2010). 문제발견 중심의 과학 탐구수업이 영재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9(2), 37-63. 

  9. 김정훈, 박영신 (2012). 중등 예비 과학교사들의 지구과학영역 탐구문제 개발 능력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33(3), 294-305. 

  10. 박종원, 이종백, 오원근, 박종석 (2000).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연구 I -물리 영역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10(1), 75-104. 

  11. 신명렬, 이용섭 (2011a). I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 개발?적용이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21(2), 337-356. 

  12. 신명렬, 이용섭 (2011b). SG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 개발?적용이 초등과학영재의 메타인지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21(3), 719-739. 

  13. 신명렬, 이용섭 (2012). 과학캠프 운영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22(4), 967-983. 

  14. 신미영, 전미란, 최승언 (2005). 서울대학교 과학영재 프로그램의 학습 목표, 과학적 모형, 과학탐구의 인지 과정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6(5), 387-398. 

  15. 심규철, 김현섭, 김여상, 최선영 (2004). 생물 분야 과학영재들의 학습 양식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32(4), 267-275. 

  16. 유미현 (2010). SSC(Small-Scale Chemistry)실험이 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 창의적 성격특성 및 과학탐구 능력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20(2), 487-502. 

  17. 정원우, 권용주, 황석근 (1999). 과학영재교육센터 교육체제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9(2), 73-101. 

  18. Betts, G. T. (1985). The Autonomous Learner Model for the Gifted and Talented. In J. S. Renzulli (Ed.), Systems and models for developing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pp. 27-56). CT: Creative learning Press. 

  19. Chin, C., Brown, D. E., & Bruce, B. C. (2002). Student-generated questiona: A meaningful aspect of leraning in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5), 521-549. 

  20. Chinn, C. A., & Brewer, W. F. (1996). Mental models in data interpretation. Philosophy of Science. 63(3). S211-S219. 

  21. Cropper, C. (1998). Is competition an effective classroom tool for the gifted student?. Gifted Child Quarterly, May/June, 28-30. 

  22. Jacobs, H. H., & Borland, J. H. (1986). The interdisciplinary concept model: Theory and practice. Gifted Child Quarterly, 30(4), 159-163. 

  23. Johnson, D. T., Boyce, L. N., & VanTassel-Baska, J. (1995). Science curriculum review; Evaluating materials for high-ability learners. Gifted Child Quarterly, 39(1), 36-43. 

  24. Kaplan, S. N. (1982). Myth: There is an single curriculum for the gifted! Gifted Child Quarterly, 26(1), 32-33. 

  25. Renzulli, J. S. (1977). The enrichment triad. Wethersfield, CT: Creative Learnign Press. 

  26. Renzulli, J. S. (1982). What makes a problem real: Stalking the illusive meaning of qualitative differences in gifted education. Gifted Child Quarterly, 26(4), 170-182. 

  27. Roychyoudhury, A., & Roth, W. (1996). Interactions in an open-inquiry physics laborator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8(4), 423-445. 

  28. Treffinger, D. J. (1986). Fostering effective, independent learning through individualized programming. In J. S. Renzulli (Ed.), Systems and models for developing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pp. 429-460). CT: Creative learning Press. 

  29.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3). Creative giftedness: A multivariate investment approach. Gifted Child Quarterly, 37(1). 7-15. 

  30. VanTassel-Baska, J. (1986), Effectiv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odels for talen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0(40), 164-169. 

  31. VanTassel-Baska, J., & Kulieke, M. (1987). The role of community-based resources in developing scientific talents; A case study. Gifted Child Quarterly, 31(3), 111-115. 

  32. VanTassel-Baska, J., & Kulieke, M. (2005). Domain-Specific Giftedness; Applications in School and Life. In R. J. Sternberg and J. E. Davidson (Ed.), Conceptions of Giftedness (2nd Ed., pp. 358-375).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Weatley, G. H. (1983). A mathematics curriculum for the gifted and talented. Gifted Child Quarterly, 27(2), 77-8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