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관리·경량형 옥상녹화를 위한 지피식물의 내건성 평가
Drought Resistance Assessment of Ground Cover Plants for Low Management and Light Weight Green Roof System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6 no.1, 2013년, pp.83 - 97  

조홍하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강태호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an experimental base in selecting the drought resistance of plants. Adopting the natural drought method, this paper studies the drought resistance of 12 kinds of ground cover plants. focusing on analyzing the changes of relative water content on leaf, relative 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식물의 내건성 평가는 어떤 위주로 연구하였나? 기존의 식물의 내건성 평가는 세덤류 위주로 연구하였고, 건조스트레스를 받아 토양의 수분함량, 상대함수량(RWC), 전해질 용출, SOD(Superoxide Dismutase)와 엽록소 함량 등의 함량 변화 측정을 통하여 식물의 내건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Zhang, et.al, 2005; Zhou, Weiwei, et.
저관리형 옥상녹화 식물은 어떤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적용 식물에 대한 실증 연구가 필요한가? 특히 저관리형 옥상녹화 식물은 고온 및 건조에 의한 식물의 생존능력 저하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적용 식물에 대한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 이들 옥상녹화 시스템에 도입된 식물종에 대하여 여름철 고온과 건조를 거친 후 생육평가가 필요하다.
여름철 도시 내에서 지속적인 환경정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지피식물 도입을 위한 내건성 검토가 요구되는 이유는? 최근 급격한 기후 변화로 인해 옥상이나 벽면녹화에 있어 식물 고사 현상이 많이 발생하여 경제적 피해가 크다. 따라서 여름철 도시 내에서 지속적인 환경정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지피식물 도입을 위한 내건성 검토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en, S. G. and Ding, Y. F. 2011. Measurement of drought Tolerance Based on REC and the Logistic Equation in 5 spiece of sedum. Jiangsu Agricultural Sciences. 3 : 227-230. 

  2. Guo, Y. Q?Tang, S. M?Zhang, Y. H?Wang, K. M?Xu, J. C. 2008. Study on Drought Resistance of Some Greenning Plants Grown on Roofs. Chinese Journal of Tropical Acriculture. 28(3) : 29-31. 

  3. Huang, W. C?Qin, J?Hu, Y. H?Zhao, Y. T. 2005.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edums on Roof Garden in Shanghai. Journal of Anhui Agri.Sci. 33(6) : 1041-1043. 

  4. Kim, I. H. 2006. Development of shallow-extensive green roof system for urban greening. PhD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 Jinju. (in korean) 

  5. Lee, J. S?Kim, Y. S?Jeong, G. Y?In, Y. L. 2003. Selection of Ground Cover Plants for Low Management and Light Weight Rooftop Afforestation.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1(SUPPL. ll) : 10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6. Li, H. S. 2000. Plant Physiology and Biochemistry experimental principles and techniques. Beijing. Higher Education Press. pp : 105-263. 

  7. Liu, X. L?Gao, L. H.?Liu, M. C. 2005. Improvement on Measurement of Free Water and Bound Water in Plant Tissues.China Vegetables.(4) : 9-11. 

  8. Lu, J.?Peng, L.?Ni, X. L.?Shen, X. D. 2011. Comprehensive Evaluation of Five Landscape Plants in Sedum on Drought Resistance. Chinese Agricultural Science Bulletin. 27(04) : 108-114. 

  9. Suh, J. T?Yoo, D. L?Lee, H. S?Lee, H. K? Nam, C. W?Ryu, S. Y?Song, J. S. 2006. Selection of Drought Tolerance Wild-flowe rs Using of Flowerpot and Rooftop Plant.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 ronment. 9(3) : 1-5. 

  10. Zhang, B.?Hu, Y. H?Liu, Q. H. 2008. Study on the Drought Tolerance of Several Sedums on Roof Garden. Chinese Agricultural Science Bulletin.124(5) : 272-276. 

  11. Zhang, J.?Hu, Y. D?Li, H. Y. 2007. Study on Drought Resistance of 9 Sedums for Light Roof Greening. Chinese Agricultural Science Bulletin. 1 : 122-124. 

  12. Zhao, D. G?Li, J.?Ai, X.?Xu, X. N?Hu, R. H?Jia, K.? Gao, L. 2001. A Good Plant Suitable for Roof Greening Preliminary Investigation Sedum lineare. 17(4) : 58-59. 

  13. Zhao, G. E?Yuan, H. Y?Wei, L. Z?Tang, R. X? Zhang, X. F?Lu, X. P. 2011. A Study of Stress Tolerance of a Candidate Plant-Sedum aizoon L. for Green Roof. Acta Agriculturae Universitatis Jiangxiensis. 33(2) : 335-339. 

  14. Zhang, Y. L?Gao, H. D?Wu, J. H. 2010. Drought resistance of four kinds of Sedum Greening Roof Plants. http://www.paper.edu.cn 

  15. Zhou, W. W?Wang, Y.?Du, J. 2009. Influences of Drought Stress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edums Species. Forest R esearch. 22(6) : 829-8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