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 식물의 내건성 평가
Assessment of Plant Drought Tolerance for Extensive Green Roof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4 no.4, 2016년, pp.787 - 795  

박성식 (충북대학교 대학원 원예학전공) ,  최재혁 (충북대학교 산림학과) ,  박봉주 (충북대학교 응용생명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drought tolerance of groundcover plants for extensive green roof. Form July to November 2013, plant height, chlorophyll content, soil moisture, evapotranspiration and survival rate was measured. As results, after unirrigation started, Aster koraiensis reach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특히, 옥상녹화의 경우에는 강한 일사와 낮은 토심으로 인해 여러 환경 내성 중 내건성이 뛰어난 식물 선정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옥상녹화 식물로 이용되고 있는 몇 가지 초본식물을 대상으로 무관수 처리에 따른 내건성을 평가하여 향후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edum속 식물이 건조에 대한 내성이 높은 이유는? , 2003). 이는 Sedum속 식물이 CAM (crassulacean acid metabolism)형 식물의 특성을 지녀 증발산이 높은 주간에 기공을 닫고, 야간에 기공을 열어 수분이용효율을 높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Sedum속 식물만 식재할 경우 곤충과 조류의 단일화로 생물다양성을약화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Wolf and Lundholm, 2008).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 확대를 위한 대표적인 건조 내성 식물종은?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 확대를 위하여 건조에 대한 내성이 높은 식물종 탐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은 Sedum속 식물에 대한 연구이다(Dunnett and Nolan,2004; Huh et al., 2003).
한 가지 종의 식물로 옥상녹화의 단일화를 할 경우 단점은? 이는 Sedum속 식물이 CAM (crassulacean acid metabolism)형 식물의 특성을 지녀 증발산이 높은 주간에 기공을 닫고, 야간에 기공을 열어 수분이용효율을 높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Sedum속 식물만 식재할 경우 곤충과 조류의 단일화로 생물다양성을약화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Wolf and Lundholm, 2008). 따라서 환경 내성이 높은 식물의 적용이 가능하다면 옥상녹화의 단일화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생물다양성의 단순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관적 가치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ousselot, J. M., J. E. Klett, and R. D. Koski. 2011. Moisture content of extensive green roof substrate and growth response of 15 temperate plant species during dry down. Hort-Science 46: 518-522. 

  2. Chen, F., S. Chen, W. Fang, and J. Liu. 2001. Determining heat tolerance for Chrysanthemum vestitum and for Ch morifolium cultivars with samll flowers. Acta Agr. Shanghai 17: 80-82. 

  3. Dunnett, N. and A. Nolan. 2004. The effect of substrate depth and supplementary watering on the growth of nine herbaceous perennials in a semi-extensive green roof. Acta Hort. 643: 305-309. 

  4. Durhman, A. K., B. D. Rowe, and C. L. Rugh. 2006. Effect of watering regimen on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growth of selected green roof plant taxa. HortScience 41: 1423-1628. 

  5. Getter, K. L. and D. B. Rowe. 2006. The role of extensive green roofs in sustainable development. HortScience 41: 1276-1285. 

  6. Huh, K. Y., I. H. Kim, and H. C. Kang. 2003. Effects of artificial substrate type, soil depth, and drainage type on the growth of Sedum sarmentosum grown in a shallow green rooftop system. J. Korean Inst. Landsc. Archit. 31(2): 102-112. 

  7. Kim, I. H., K. Y. Huh, H. C. Shin, and N. C. Park. 2010. Assessment of plant growth and soil properties of extensive green roof system for Rhododendron indicum Sweet. Korean J. Hortic. Sci. Technol. 28: 1057-1065. 

  8. Kim, S. C., S. Y. Hwang, H. J. Lee, and B. J. Park. 2012. Effects of substrate depth and types on initial growth of three native deciduous shrubs in a green roof. J. Korean Inst. For. Rec. 16(4): 85-92. 

  9. Kim, S. C. and B. J. Park. 2013. Assessment of temperature reduction and heat budget of extensive modular green roof system.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1: 503-511. 

  10. Kim, S. C., H. J. Lee, and B. J. Park. 2013. Assessment of temperature reduction and evapotranspiration of green roof planted with Zoysia japonica. J. Environ. Sci. Int. 22: 1443-1449. 

  11. Lee, D. G., S. W. Yoon, S. H. Oh, and S. W. Jang. 2005. The effect of temperature reduction as influenced by rooftop greening. J. Korea Soc. Environ. Restor. Technol. 8(6): 34-44. 

  12. Million, J. T. Yeager, and C. Larsen. 2007. Water use and fertilizer response of azalea using several no-leach irrigation methods. HortTechnology. 17: 21-25. 

  13. Mori, I. C., S. Utsugi, S. Tanakamaru, A. Tani, T. Enomoto, and M. Katsuhara. 2009. Biomakers of green roof vegetation: anthocyanin and chlorophyll as stress marker pigments for plant stresses of roof environments. J. Environ. Eng. Manage. 19: 21-27. 

  14. Oberndorfer, E., J. Lundholm, B. Bass, R. R. Coffman, H. Doshi, N. Dunnett, S. Gaffin, M. Kohler, K. K. Y. Liu, and B. Rowe. 2007. Green roofs as urban ecosystems: Ecological structures, funcitons, and services. BioScience 57: 823-833. 

  15. Park, Y. M. 2013. Characteristic of matter allocation of Calystegia soldanella under water stress. J. Environ. Sci. Int. 22: 187-193. 

  16. Wolf, D. and J. T. Lundholm. 2008. Water uptake in green roof microcosms: Effects of plant species and water availability. Ecol. Eng. 33: 179-186. 

  17. Yoon, P. S., J. H. Lee, and B. Y. Ryu. 2007. Study on the plants adaptation of rooftop garden. J. Korean Soc. People Plant Environ. 10(2): 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