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피식물을 이용한 우수저장형 옥상녹화 시스템 및 식물 내건성 평가
Assessment of Roof-rainwater Utilization System and Drought Resistance of Ground Cover Plant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1 no.5, 2013년, pp.1 - 8  

강태호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  조홍하 (중국료성대학 농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2종의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시스템(세덤박스와 우수저장형 옥상녹화시스템)을 대상으로 옥상녹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옥상의 건조한 조건에 잘 견딜 수 있는 내건성 식물 12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우수저장형 옥상녹화시스템의 기초 연구를 위해 식물의 내건성을 평가하였다. 식물의 내건성 평가를 위해 무관리 조건에서 12종 식물의 건조스트레스의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내건성 평가는 처리 시간에 따라 12종 식물의 상대수분함량의 변화, 전해질 용출 평가, 엽록소 함량의 변화, 토양수분과 건조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건조처리 시간이 길수록 식물들의 상대수분 함량과 엽록소 함량이 감소하면서, 전해질 용출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식물의 내건성 평가 결과, Pulsatilla koreana, Ainsliaea acerifolia를 제외한 10종이 내성이 강하여 옥상녹화에 적용 가능한 종으로 판단되며, 우수저장형 옥상녹화 시스템에서 식물들의 내건성은 식생박스의 식물들보다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수저장형 옥상녹화 시스템이 식물의 생육과 건조조건에 대한 저항성 증진 효과가 있는 것이 증명되어 도시 옥상녹화에 이용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valuate 2 extensive green roof systems(Sedum Box Roof System and Roof-rainwater Utilization System) for urban greening and select ground-cover plants, which can adapt well to the drought tolerance in an extensive green roof system on 12 spec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옥상녹화용 식물 종들을 옥상녹화시스템에서의 생육 특성과 적합성을 검토하였고, 저관리경량형 옥상녹화시스템 개발의 다양화 및 보급에 활용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에서 평가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 식재 재료, 환경 변수를 고려하여 실험을 실시하였지만, 전국에 걸친 현장 적용 실험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 기존의 연구에서 우수이용과 관련된 내용은 있으나, 우수활용의 효과와 관련된 연구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저수형 옥상녹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기존의 저관리형 옥상녹화 시스템과 대비하며, 식물의 저항성 평가를 통하여 무관리 조건에서 적용 가능한 식물 선발 및 우수저장형 옥상녹화 시스템의 종합적 평가로 구성된다.
  • 연구를 위한 식재기반은 저관리경량형 세덤박스((주)이텍)와 저관리 옥상녹화를 위해 개발된 우수저장형 녹화시스템을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국내 도시 환경에 적용 가능한 최적의 저관리 옥상녹화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토양의 배합비는 무엇을 기준으로 만들었는가? 인공토양의 배합비는 토양의 보수성과 배수성을 고려하고 식물 성장에 적합한 유기물 요소를 기준으로 만들었다. 옥상녹화용 토양은 시장성이 좋은 펄라이트와 원예용 상토 배합으로 대비하여 실험용 토양을 만들었다.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도시환경이 악화되었고, 도심열섬화 현상이 증가되었다. 도시내 녹지면적이 감소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옥상녹화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저관리형 옥상녹화시스템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옥상은 복사열에 의한 상층부의 고온화 현상과 폭우에 의한 식물의 생존능력이 저하된다. 또한 바람이 강하고 건조하여 항상 수분이 부족하며 증발로 인한 식물의 탈수를 가증시키는 등의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식물의 생육을 건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저관리형 옥상녹화시스템의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김기형(2008) 대도시의 옥상조경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이은희, 강규이, 신상희, 남미아, 이광우(2005) 옥상녹화용 식생매트에 적합한 토양과 토심 선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8(4): 12-22. 

  3. 이정식, 김유선, 정가영, 인영림(2003) 저관리경량형옥상녹화표준모델 피복용 지피식물 선발. 한국원예학회 춘계학술논문발표회초록집. p. 102. 

  4. 이춘우, 김수봉, 문혜식(2011)옥상녹화의 녹화유형별 기온저감효과.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3): 25-33. 

  5. 조용현, 한규희(2009) (알아야 할)옥상녹화의 Q&A. 서울: 기문당. pp.75-80. 

  6. 최진우, 김학기, 이경재, 강현경(2009) 저토심 인공지반 녹화공법의 경제성 및 도입 가능한 지피식물의 생육특성. 한국조경학회지37(5): 98-108. 

  7. Fadi, Chen, Chen Sumei and Fang Wwimin(2001)Determining heat tolerance for Chrysanthemum vestitum and four chmorifolium cultitivars with small flowers. Acta. Agriculturae Shanghai 17(3): 80-82. 

  8. Huang, Weichang, Jun Qin, Yonghong Hu and Yuting Zhao(2007)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edums on roof garden in Shanghai. Journal of Anhui Agri. Sci. 33(6): 1041-1043. 

  9. Jie, Lu, Peng Li, Ni Xilu and Shen Xiaodong(2011) Comprehensive evaluation of five landscape plants in sedum on drought resistance. Chinese Agricultural Science Bulletin 27(4): 108-114. 

  10. Zhang, Jie, Yonghong Hu and Haiying Li(2007) Study on drought resistance of 9 sedums for light roof greening. Chinese Agricultural Science Bulletin 1: 122-124. 

  11. Zhao, Ge, Hongyan Yuan, Lingzhi Wei, Ruixie Tang, Xiaofeng Zhaang and Xiaoping Lu(2011) A study of stress tolerance of a candidate plant- Sedum aizoon L. for green roof. Acta. Agriculturae Universitatis Jiangxiensis 33(2): 335-339. 

  12. Zhou, Weiwei, Yan Wang and Jing Du(2009) Influences of drought stress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edums species. Forest Research 22(6): 829-8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