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다형 홍반은 피부 혹은 점막에 영향을 미치는 수포성, 궤양성의 염증성 질환이다. 이는 단순포진 바이러스와 같은 감염이나, 항생제나 진통제와 같은 약물에 의해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으로는 피부에 과녁모양의 전형적인 병소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구강 내에 증상이 발현 될 경우, 입술, 볼, 혀에 미란성의 병소가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는 다른 구강내 병소와의 감별을 필요로 한다. 본 증례에서 트리코모나스 감염 또는 메트로니다졸 투여로 인해 유발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구강에 발생한 다형홍반의 사례를 소개하고, 다형홍반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rythema multiforme(EM), a blistering and ulcerative inflammatory disorder, affect skins or mucosa, and is thought to be triggered mainly by preceding infection, such as Herpes simplex virus, or exposure to drugs and medication, particular antibiotics or analgesics. Symptoms include typical cutane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증례는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다형홍반의 환자에 대한 증례보고를 통해 구강 발생한 다형홍반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형홍반은 증상의 심도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나? 다형홍반(Erythema multiforme; EM)은 염증성 질환으로 피부 혹은 점막에 영향을 미치는 수포성, 궤양성 병변이다. 다형홍반은 증상의 심도에 따라 EM minor, EM major, 스티븐스 존슨 증후군(StevensJohnson syndrome; SJS), 독성 표피 괴사융해증 (Toxic epidermal necrolysis; TEN)로 분류된다.
다형 홍반이란? 다형 홍반은 피부 혹은 점막에 영향을 미치는 수포성, 궤양성의 염증성 질환이다. 이는 단순포진 바이러스와 같은 감염이나, 항생제나 진통제와 같은 약물에 의해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형 홍반이 유발되는 원인은? 다형 홍반은 피부 혹은 점막에 영향을 미치는 수포성, 궤양성의 염증성 질환이다. 이는 단순포진 바이러스와 같은 감염이나, 항생제나 진통제와 같은 약물에 의해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으로는 피부에 과녁모양의 전형적인 병소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구강 내에 증상이 발현 될 경우, 입술, 볼, 혀에 미란성의 병소가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는 다른 구강내 병소와의 감별을 필요로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l-Johani KA, Fedele S, Porter SR. Erythema multiforme and related disorder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7;103(5):642- 654. 

  2. Huff JC, Weston WL, Tonnesen MG. Erythema multiforme: a critical review of characteristics, diagnostic criteria, and causes. J Am Acad Dermatol 1983;8(6):763-775. 

  3. Thomas BA. The so-called Stevens-Johnson syndrome. . Br Med J 1950 17;1(4667):1393-1397. 

  4. Bastuji-Garin S, Rzany B, Stern RS, et al, Clinical classification of cases of toxic epidermal necrolysis, Stevens-Johnson syndrome, and erythema multiforme. Arch Dermatol 1993;129(1):92-96. 

  5. Assier H, Bastuji-Garin S, Revuz J, Erythema Multiforme With Mucous Membrane Involvement and Stevens-Johnson Syndrome Are Clinically Different Disorders With Distinct Causes. Arch Dermatol 1995;131(5):539-543. 

  6. C. Scully, J. Bagan, Oral mucosal diseases: Erythema multiforme. British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2008;46:90-95. 

  7. Ng PP, Sun YJ, Tan HH, Tan SH. Detection of herpes simplex virus genomic DNA in various subsets of Erythema multiforme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Dermatology 2003;207(4):349-353. 

  8. Schofield JK, Tatnall FM, Leigh IM. Recurrent erythema multiforme: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in a large series of patients. Br J Dermatol 1993;128(5):542-545. 

  9. Brad W. Neville, Douglas D. Damm, Carl Allen, et al.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2008, 3 edition. Saunders, pp 776-779. 

  10. Sokumbi O, Wetter DA. Clinical features, diagnosis, and treatment of erythema multiforme: a review for the practicing dermatologist. Int J Dermatol 2012;51(8):889-902 

  11. Lozada-Nur F, Gorsky M, Silverman S Jr. Oral erythema multiforme clinical observations and treatment of 95 patient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9;67:36-40. 

  12. Bean SF, Quezada RK, Recurrent oral erythema multiforme. Clinical experience with 11 patient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83; 249: 2810-2812. 

  13. 정원, 이경은, 변진석, 서봉직, 다형홍반과 스티븐스-존 슨 신드롬의 증례보고.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11; 36 (4):207-213.. 

  14. 홍성주, 강승우, 안종모. 구강에 발생한 급성 및 만성 궤 양성 병소의 치료 : 증례보고.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9 ;34(1):55-62. 

  15. Farthing PM, Maragou P, Coates M et al. Characteristics of the oral lesions in patients with cutaneous recurrent erythema multiforme. J Oral Pathol Med 1995;24(1):9-13. 

  16. Joseph TI, Vargheese G, George D. et al. Drug induced oral erythema multiforme: A rare and less recognized variant of erythema multiforme. J Oral Maxillofac Pathol 2012;16(1):145-148. 

  17. Auquier-Dunant A, Mockenhaupt M, Naldi L et al. Correlations between clinical patterns and causes of erythema multiforme majus, Stevens-Johnson syndrome, and toxic epidermal necrolysis: results of an international prospective study. Arch Dermatol 2002;138(8):1019-1024. 

  18. March CH. Erythema multiforme bullosum associated with Trichomonas infection. Arch Dermatol 1965;92 (6):674-675. 

  19. Chen KT, Twu SJ, Chang HJ, Lin RS. Outbreak of Stevens-Johnson syndrome/toxic epidermal necrolysis associated with mebendazole and metronidazole use among Filipino laborers in Taiwan. Am J Public Health 2003;93(3):489-92. 

  20. Piskin G, Mekkes JR. Stevens-Johnson syndrome from metronidazole. Contact Dermatitis 2006;55(3): 192-1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