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 신증후군 환자에서 데플라자코트 치료 중 발생된 다형 홍반 3례
Three Cases of Erythema Multiforme Developed during Deflazacort Therapy in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e 원문보기

대한소아신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v.18 no.2, 2014년, pp.123 - 127  

이승진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강봉화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조민현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형 홍반은 피부, 구강, 입술 및 생식기 등을 침범하는 급성 피부점막 질환으로 점막 침범 여부에 따라 다형 홍반 minor와 다형 홍반 major로 분류된다. 스티븐스-존슨 증후군과 독성표피괴사용해는 다형 홍반 major에 속하는데, 이들은 증상이 심하고 진행성이며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현재 다형 홍반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신증후군을 가진 소아 환자에서 경구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인 데플라자코트를 사용하던 중 발생된 3개의 다형 홍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rythema multiforme (EM) is an acute mucocutaneous disorder involving the skin, mouth, eyes, and genital organs. It is classified into EM minor and EM major according to the involvement of the mucosal membrane. Stevens-Johnson syndrome (SJS) and toxic epidermal necrosis (TEN) belong to EM major. C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현재 다형 홍반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신증후군을 가진 소아 환자에서 경구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인 데플라자코트를 사용하던 중 발생된 3개의 다형 홍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Huff JC, Weston WL, Tonnesen MG. Erythema multiforme: a critical review of characteristics, diagnostic criteria, and causes. J Am Acad Dermatol 1983;8:763-75. 

  2. Farthing P, Bagan JV, Scully C. Mucosal disease series. Number IV. Erythema multiforme. Oral dis 2005;11:261-7. 

  3. Roujeau JC. Stevens-Johnson syndrome and toxic epidermal necrolysis are severity variants of the same disease which differs from erythema multiforme. J Dermatol 1997;24:726-9. 

  4. Mockenhaupt M.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Stevens-Johnson syndrome and toxic epidermal necrolysis. Expert Rev Clin Immunol 2011;7:803-15. 

  5. Roujeau JC, Kelly JP, Naldi L, Rzany B, Stern RS, Anderson T, et al. Medication use and the risk of Stevens-Johnson syndrome or toxic epidermal necrolysis. N Engl J Med 1995; 333:1600-7. 

  6. Araki Y, Sotozono C, Inatomi T, Ueta M, Yokoi N, Ueda E, et al. Successful treatment of Stevens-Johnson syndrome with steroid pulse therapy at disease onset. Am J Ophthalmol 2009;147:1004-11. 

  7. Joshi N, Rajeshwari K. Deflazacort. J Postgrad Med 2009;55:296-300. 

  8. Nayak S, Acharjya B. Deflazacort versus other glucocorticoids: a comparison. Indian J Dermatol 2008;53:167-70. 

  9. Del Pozzo-Magana BR, Lazo-Langner A, Carleton B, Castro-Pastrana LI, Rieder MJ. A systemic review of treatment of drug-induced Stevens-Johnson syndrome and toxic epidermal necrolysis in children. J Popul Ther Clin Pharmacol 2011;18:121-33. 

  10. Jo DS, Yang JW, Hwang PH, Lee DY. Stevens-Johnson syndrome in a boy with nephritic syndrome during prednisolone therapy. Pediatr Nephrol 2003;18:959-6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