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2년 7월부터 2012년 9월까지 부산대학교치과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하여 측두하악장애로 진단받은 후 행동치료, 약물치료, 물리치료, 교합안정장치 등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137명을 대상으로 초진 시와 치료 3개월 후의 증상 및 임상소견을 비교,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측두하악장애는 행동치료, 물리치료, 약물치료, 교합안정장치 등의 보존적 치료에 의해 통증, 관절잡음, 개구제한 및 최대편이개구량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2. 보존적 치료에 따른 결과는 성별 및 급, 만성별로 유의한 차이 없이 개선되었다. 3. 측두하악장애의 치료에서 물리치료와 약물치료만 시행한 경우보다 교합안정장치를 병행한 경우에서 임상 증상들의 개선이 현저하였다. 4. 치료 3개월 후 근육장애군은 통증과 개구제한이 유의하게 개선되었고, 관절원판변위군은 통증, 개구제한 및 관절잡음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골관절염군에서는 통증, 관절잡음, 개구제한 및 최대편이개구량이 모두 개선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conservative treatment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TMD), 137 patients were subjected at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June 2012 to Sept. 2012. They were treated conservatively with behavioral therapy, physical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행동조절, 약물치료, 물리치료 및 교합 안정장치 등으로 증상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보존적 가역적인 치료기간을 약 3개월로 간주하고, 측두하악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초기 3개월 간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이에 따른 증상의 개선여부와 그 정도를 비교평가하고 대상 환자에서 성, 만성도, 치료방법, 진단명에 따른 증상의 변화를 평가하여 치료 상의 유의점을 찾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2년 7월부터 2012년 9월까지 부산대학교치과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하여 측두하악장애로 진단받은 후 행동치료, 약물치료, 물리치료, 교합안정장치 등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137명을 대상으로 초진 시와 치료 3개월 후의 증상 및 임상소견을 비교, 평가한 결과는? 2012년 7월부터 2012년 9월까지 부산대학교치과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하여 측두하악장애로 진단받은 후 행동치료, 약물치료, 물리치료, 교합안정장치 등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137명을 대상으로 초진 시와 치료 3개월 후의 증상 및 임상소견을 비교,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측두하악장애는 행동치료, 물리치료, 약물치료, 교합안정장치 등의 보존적 치료에 의해 통증, 관절잡음, 개구제한 및 최대편이개구량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2. 보존적 치료에 따른 결과는 성별 및 급, 만성별로 유의한 차이 없이 개선되었다. 3. 측두하악장애의 치료에서 물리치료와 약물치료만 시행한 경우보다 교합안정장치를 병행한 경우에서 임상 증상들의 개선이 현저하였다. 4. 치료 3개월 후 근육장애군은 통증과 개구제한이 유의하게 개선되었고, 관절원판변위군은 통증, 개구제한 및 관절잡음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골관절염군에서는 통증, 관절잡음, 개구제한 및 최대편이개구량이 모두 개선되었다.
측두하악장애란? 측두하악장애는 저작근 또는 측두하악관절에서의 통증을 특징으로 하는 근골격통증질환1)이다. 일반적인 임상증상으로는 악안면부의 동통, 하악운동제한, 비대칭적인 하악운동형태 및 관절음(clicking), 거대 관절음(popping) 또는 염발음(crepitus)등으로 표현되는 관절잡음 등이 나타나고 이갈이와 같은 구강악습관, 비동통성 저작근 비대와 비정상적 교모등도 나타날 수 있다2).
측두하악장애의 원인은? 측두하악장애의 원인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요인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교합과 관절을 포함하는 해부학적 요인, 근신경요인, 그리고 심리적 요인 등과 같은 다원성 원인이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증상의 다양성은 이러한 원인 인자의 차이로써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이 더욱 발전하여 기여요인에 관해서도 언급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기여요인에는 교합상태, 외상, 정서적 스트레스, 심부통증유입, 이상기능활동 등이 포함 된다3). 측두하악 장애의 성공적인 치료는 이러한 기여요인들을 발견하고 조절하는데 달려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대한안면통증 구강내과학회 편저. 구강안면통증과 측두 하악장애. 서울, 2012, (주)예낭아이앤씨, pp. 96-101. 

  2. 정성창, 김영구, 고명연 외. 구강안면동통과 측두하악장 애. 개정판, 서울, 2006, 신흥인터내셔날, pp. 13. 

  3. 정성창, 김영구, 고명연 외. 악관절장애와 교합의 치료. 6판, 서울, 2009, 대한나래출판사, pp. 146-147. 

  4. McNeill, C. Temporomandibular disorders guidelines for classifica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Chicago, 1993, Quintessence Publ. Co., pp. 81-83. 

  5. Greene CS, Laskin DM. TMDs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3th ed., 2006, Quintessence Publ Co. Inc., pp. 222-223. 

  6. Fricton, JR. Clinical care for myofascial pain. Dent Clin North Am. 1991;35(1):1-28. 

  7. Greene CS, Laskin DM. Long-term evaluation of conservative treatment for myofascial pain dysfunction syndrome. JADA 1974;89:1365-1368 

  8. Greene CS, Markovic MA. Response to nonsurgic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positive radiographic findings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J. Oral Surg. 1976;34:692-687. 

  9. Okeson JP, Hayes DK. Long-term results of treatment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an evaluation by patients. J Am Dent Assoc. 1986;122: 473-478. 

  10. Wedel A, Carlsson G. Factors in influencing the outcome of treatment in patients referred to a temporomandibular joint clinic. J. Prothet. Dent. 1985;54:420-426. 

  11. 정성창, 김연중, 이지원. 악관절장애의 보존적 치료효과 (II). 대한구강내과 학회지, 1989;14:113-121. 

  12. Ekberg E, Nilner M. A 6-and 12- month follow up of appliance therapy in TMD patients: a follow-up of controlled trial. J Prosthodont. 2002;15:564-570. 

  13. Forssell H, Kalso E. Appliance of principles of evidence based medicine to occlusal treatment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are there lessons to be learned. J Orofac Pain. 2004;18:9-22. 

  14. Guarda-Nardini L, Masiero S, Marioni G. Conservative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osteoarthrosis: intra-articular injection of sodium hyaluronate. J Oral Rehabil. 2005;32(10):729-734. 

  15. Major PW, Nebbe B. Use and effectiveness of splint appliance therapy:review of literature. Cranio. 1997; 15:156-166. 

  16. Tanaka EE, Arita ES, Shibayama B. Occlusal stabilization appliance: evaluation of its efficacy in the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 Appl Oral Sci. 2004;12(3):238-243. 

  17. Laskin DM, Block S. Diagnosis and treatment of myofascial pain-dysfunction(MPD) syndrome. J Prosthet Dent. 1986;56:75-84. 

  18. Detamore MS, Athanasiou KA.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disc: implications for tissue engineering. J. Oral Maxillofac. Surg. 2003;61 (4):494-506. 

  19. Shirish Ingawale, Tarun Goswami.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Treatments, and Biomechanics. J. Biomech. 2009;37:976-996. 

  20. 정성창, 이승우, 현기용. 악관절기능장애환자의 하악운 동 및 임상적 증상.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89;14:25. 

  21. Wedell A, Carlsson GE. A four year follow-up, by means of a questionnaire, of patients with functional disturbances of the masticatory system. J. Oral Rehabil. 1986;13:105-113. 

  22. Lipton JA, Marbach JJ. Predictors of treatment outcome in patients with myofascial pain-dysfunction syndrome and organic temporomandiblur joint disorders, J Prosthet Dent. 1984;51:297-393. 

  23. Ekberg EC, Vallon D, Nilner M. The efficacy of appliance therapy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of mainly myogenous origin. A randomized, controlled, short term study. J Orofac pain 2003;17: 133-139. 

  24. Marchon V, Hirjak D, Lukas J. Therapy of the osteoarthriti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J cranio-maxillary-fac Surg. 2011;39(2):127-130. 

  25. Wahlund K, List T, Larsson B.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mong adolescents: a comparison between occlusal appliance, relaxation training, and brief information. Acta Odontol Scand. 2003;61(4):203-211. 

  26. Conti PC, dos Santos CN, Kogawa EM. The treatment of painful temporomandibular joint clicking with oral splint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 Am Dent Assoc. 2006;8:1108-1114. 

  27. Wassell RW, Adams N, Kelly PJ.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by stabilizing splints in general dental practice: results after initial treatment. Br Dent J. 2004;197(1):35-41. 

  28. 박준상, 고명연. 두개하악장애 환자의 보존적 치료에 관 한 장기평가.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3;18:81-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