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 요인에 따른 중년 남성의 음주 및 흡연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actors and Drinking/Smoking among Middle-Aged Men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0 no.1, 2013년, pp.13 - 25  

송예리아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  김진영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amily factors on drinking and smoking of middle-aged men.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fourth-wave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which was collected by the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the So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음주나 흡연과 같은 개인의 건강행위가 개인의 선택과 노력만으로 달라질 수 있는 것이기 보다는 가족이라고 하는 관계의 맥락, 공동체의 맥락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확인하고 제시하는 함의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결혼생활을 잘 유지하는 것은 배우자라는 사회적 지지를 통해 음주나 흡연에 있어서도 혜택을 가져오게 되며, 다른 가족구성원과 함께 사는 것 역시 혼자 사는 것에 비해 혜택이 있다.
  •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중년 남성을 연구대상으로 하고자 하였으며, 이 연구가 18세 미만 자녀 동거를 고려하고 있으므로 성인 중에서도 여기에 해당하는 경우가 매우 적은 연령층을 제외한 30-59세 응답자를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가족 요인이 중년 남성의 음주 및 흡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이를 통해 음주 및 흡연 예방사업을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가족관계의 형식적 측면과 관련해서는 결혼상태와 가족 동거가 중년 남성의 음주 및 흡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며, 둘째, 가족관계의 내용적 측면과 관련해서는 가족관계 만족도와 가족 갈등이 중년 남성의 음주 및 흡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4차년도 자료 중 연령이 만 30세 이상이며 59세 이하인 남성 3,084명을 대상으로 가족 요인이 음주 및 흡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이를 통해 음주 및 흡연 예방 사업을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족의 관계를 형식적인 측면(결혼상태, 가족 동거)과 내용적인 측면(가족관계 만족도, 가족 갈등)으로 나누어 연구결과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가족관계의 형식적 측면과 음주 및 흡연의 관계에는 역할에 대한 사회적인 기대가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
  •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중년 남성을 연구대상으로 하고자 하였으며, 이 연구가 18세 미만 자녀 동거를 고려하고 있으므로 성인 중에서도 여기에 해당하는 경우가 매우 적은 연령층을 제외한 30-59세 응답자를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가족 요인이 중년 남성의 음주 및 흡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이를 통해 음주 및 흡연 예방사업을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가족 요인이 중년 남성의 음주 및 흡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이를 통해 음주 및 흡연 예방사업을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가족관계의 형식적 측면과 관련해서는 결혼상태와 가족 동거가 중년 남성의 음주 및 흡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며, 둘째, 가족관계의 내용적 측면과 관련해서는 가족관계 만족도와 가족 갈등이 중년 남성의 음주 및 흡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 요인과 음주나 흡연의 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가족 요인과 음주나 흡연의 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연구대상이 주로 아동이나 청소년인 경우가 많고, 이에 비하여 성인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은 편이다. 우선 성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음주나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가족 요인으로 가족 내 역할이나 갈등을 제시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가족 내 역할로는 배우자나 부모 역할이 변수로 사용되었는데, 이 역할의 획득이나 상실과 같은 변화가 음주나 흡연의 증가나 감소에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Hajema & Knibbe, 1998). 또한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할 때 발생하는 가족 내 갈등에 따라서도 음주나 흡연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Roos, Lahelma, & Rahkonen, 2006). 우리나라에서 음주나 흡연의 예측요인으로 가족 요인을 고려하여 성인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는 많지 않았으나, Kim et al. (2009)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에서는 부모의 음주 행동 및 음주에 대한 태도가 자녀의 음주문제에 관련이 있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 외에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에서도 가족의 음주나 흡연 및 부적절한 가족기능이 연구대상자의 음주나 흡연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있다(Myung, Song, & Kim, 2011; Sohn, 2002).
가족의 기능은 무엇인가? 그러나 형태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가족이란 결혼, 혈연, 그리고 양자 결연에 의하여 구성되는 단일가구이며, 가족 내 지위에 따라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 가족원으로 구성되고, 공동문화에 의해 유지되는 집단이라 하였다(Burgess, 1973). 가족의 기능은 생물학적인 가족의 유지, 경제적인 안정, 사회문화적 도덕이나 관습에의 적응, 애정적 욕구 충족(Murdock, 1957)이며, 이는 사회를 존속시키고, 구성원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포괄적인 범위까지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Oh & Lee, 1990). 가족은 개인에게 가장 커다란 영향을 주는 집단 중 하나이며, 개인의 건강과도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는 생활공동체이다.
2005년 우리나라 15세 이상 국민의 일인당 순수 알코올 소비량은 어떻게 되는가? , 2012).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2005년 우리나라 15세 이상 국민의 일인당 순수 알코올 소비량은 11.8 리터로, 이는 전세계적으로 높은 수준(WHO, 2011)이며, 2010년 월간 음주율은 남자 77.8%, 여자 4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Benzies, K. M., Wangby, M., & Bergman, L. R. (2008). Stability and change in health-related behaviors of midlife Swedish women.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29(10), 997-1018. 

  2. Burgess, E. W. (1973). The family in a changing society. In A. Etzioni, & E. Etzioni-Halevy (Eds.), Social change: Sources, patterns, and consequences (2nd ed., pp. 191-199). New York, NY: Basik Books. 

  3. Chou, S. P., Chun, S., Smith, S., Ruan, J., Li, T., & Grant, B. F. (2012). Episodic heavy drinking, problem drinking and injuries: Results of the WHO/NIAAA collaborative room study in South Korea. Alcohol, 46(5), 407-413. 

  4. Chuang, Y., & Chuang, K. (2008). Gender differences in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apital and individual smoking and drinking behavior in Taiwan. Social Science & Medicine, 67, 1321-1330. 

  5. Collier, J., Rosaldo, M. Z., & Yanagisako, S. (1982). Is there a family? New anthropological views. In B. Thorne, & M. Yalom (Eds.), Rethinking the family: Some feminist questions. New York, NY: Longman. 

  6. Conger, J. J. (1956). Alcoholism: theory, proble and challenge: II. reinforcement theory and the dynamics of alcoholism. Quartely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17, 296-305. 

  7. Cooper, M. L., Russell, M., Skinner, J. B., & Windle, M. (199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hree-dimensional measure of drinking motives. Psychological Assessment, 4(2), 123-132. 

  8. Covey, L. S., & Tam, D. (1990). Depressive mood, the single-parent home, and adolescent cigarette smoking.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0(11), 1330-1333. 

  9. Denscombe, M. (2007). UK health policy and 'underage' smokers: The case for smoking cessation services. Health Policy, 80(1), 69-76. 

  10. Hahm, J., Hyun, M., & Lim, Y. (2006). The effects of stress, significant others' smoking and smoking belief on smoking behavior in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1), 191-207. 

  11. Hajema, K., & Knibbe, R. A. (1998). Changes in social roles as predictors of changes in drinking behaviour. Addiction, 93(11), 1717-1727. 

  12. Han, K., & Song, J. (2001). Health and family-work role characteristics of middle aged men in Korea. Family and Culture, 13(1), 51-73. 

  13. Hwang, T., Lee, J., Lee, K., Kang, P., & Kim, S. (2007). Drinking and its relationship with smok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32(2), 97-105. 

  14. Istvan, J., & Matarazzo, J. D. (1984). Tobacco, alcohol, and caffeine use: a reviews of their interrelationship. Psychological Bulletin, 95(2), 301-326. 

  15. Johnston, V., & Thomas, P. (2008). Smoking behaviours in a remote Australian indigenous community: The influence of family and other factors. Social Science & Medicine, 67(11), 1708-1716. 

  16. Kim, O. S., Park, J., Ryu, S. Y., Kang, M. G., Min, S., Kim, H. S., & Ha, Y. J.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drinking problems among some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2(2), 85-101. 

  17. Kim, Y. R. (1993). Relationships between socioeconomic and cultural variables and smoking, alcohol, marijuana use behavior.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10(2), 73-85. 

  18. Knibbe, R. A., Drop, M. J., & Muytjens, A. (1987). Correlates of stages in the progression from everyday drinking to problem drinking. Social Science & Medicine, 24(5), 463-473. 

  19.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2010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Daejeon, Korea: Author. 

  20. Kuntsche, S., Knibbe, R. A., & Gmel, G. (2009). Social roles and alcohol consumption: A study of 10 industrialised countries. Social Science & Medicine, 68(7), 1263-1270. 

  21. Lee, K. J., Chang, C. J., Kim, M. S., Lee, M. H., & Cho, Y. H. (2006).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during 6 month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5), 742-750. 

  22. Lee, J. C., Park, J. S., & Kim, G. H. (2010). Factors associated with the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f the Korean elderly.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2), 121-139. 

  23. Lee, J., Park, J., & Kim, G. (2011). The effects of stress, quality of life and family relationship of smokers and drinkers on tobacco and alcohol use: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elf-rated health.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7(1), 29-43. 

  24. Lee, K. H., Kim, Y. K., & Han, J. C. (1997). A study on the relation of smoking motivation and drinking/eating self-efficacy of female smoker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1), 220-229. 

  2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2010 National Health Statistics. Seoul, Korea: Author. 

  26. Moen, P., & Wethington, E. (1999). Midlife development in a life course context. In S. L. Willis, & J. D. Reid, (Eds.), Life in the middle: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in middle age. San Diago, CA: Academic Press. 

  27. Murdock, G. P. (1957). World ethnographic sample. American Anthropologist, 59(4), 664-687. 

  28. Myung, J. S., Song, M. K., & Kim, C. S. (2011). A study on drinking-motivation of adolescents in relation with family function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roblem-drinking of parents. Korea Youth Research, 18(8), 291-308. 

  29. Nam, C. (2008). The relations of stress, drinking trait, and problem behavior after drinking among the college students in Jeju. Study of Correction and Welfare, 12, 27-47. 

  30. Oh, M., & Lee, J. (1990). Sociology. Seoul, Korea: Youngdaesa. 

  31. Osler, M., McGue, M., Lund, R., & Christensen, K. (2008). Marital status and twins' health and behaviour: An analysis of middle-aged Danish twins. Psychosomatic Medicine, 70(4), 482-487. 

  32. Paradis, C. (2011). Parenthood, drinking locations and heavy drinking. Social Science & Medicine, 72(8), 1258-1265. 

  33. Pidcock, B. W., Fischer, J. L., Forthun, L. F., & West, S. L. (2000). Hispanic and Anglo college women's risk factors for substance use and eating disorders. Addictive Behaviors, 25(5), 705-723. 

  34. Rhim, K., Lee, J., Choi, M., & Kim, C. (2004).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drinking and smoking habit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es, 30(1), 57-70. 

  35. Roos, E., Lahelma, E., & Rahkonen, O. (2006). Work-family conflicts and drinking behaviours among employed women and men. Drug and Alcohol Dependence, 83(1), 49-56. 

  36. Sarason, I. G., & Sarason, B. R. (1982). Concomitants of social support: attitude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life experiences. Journal of Personality, 50(3), 331-344. 

  37. Skolnick, A. S., & Skolnick, J. H. (1974). Intimacy, family and society. Boston, MA: Little, Brown. 

  38. Sohn, J. N. (2002). A study on identification of in boys high school students by smoking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y and Mental Health Nursing, 11(1), 78-88. 

  39. Song, Y., & Nam, E. (2009).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and health behaviors on self-rated Health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3), 1-13. 

  40. Steptoe, A., Wardle, J., Pollard, T. M., Canaan, L., & Davies, G. J. (1996). Stress, social support and health-related behavior: A study of smoking, alcohol consumption and physical exercis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41(2), 171-180. 

  41. Umberson, D. (1987). Family status and health behaviors: Social control as a dimension of social integration.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8(3), 306-319. 

  42. Wilsnack, S. C., & Wilsnack, R. W. (1991). Epidemiology of women's drinking. Journal of Substance Abuse, 3(2), 133-157. 

  43.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1). World health statistics. Geneva, Switzerland: Autho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