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역의 자살률 차이와 관련된 구성적 요인과 상황적 요인
Compositional and Contextual Factors Related to Area Differentials in Suicide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0 no.1, 2013년, pp.41 - 52  

강은정 (순천향대학교 보건행정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Rural-urban differences in suicide have been observed in many setting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addressing what factors can explain these differ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ich compositional factors and contextual factors in local areas might be rel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런데 국내에서는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에 관한 연구에 비해 지역적 특성을 살펴본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Yoon & Choi, 2012), 지역 단위의 연구 가운데서도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지역 구성원들의 특성이 아닌 지역의 상황적 특성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는 극히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군구를 분석 단위로 하여 시, 군, 구에 따른 자살률의 차이가 있는지를 먼저 확인하고, 이 차이가 지역의 어떤 구성적 요인들과 상황적 요인들로 설명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회귀계수는 다른 모든 독립변수가 동일하다고 할 때 어떤 독립변수가 한 단위 증가할 때 log(종속변수)의 변화를 의미한다. 또한 좀 더 실용적인 회귀계수의 해석을 위해 회귀계수를 Incidence Rate Ratio(IRR)로 변환하여 함께 보고하였다. 오차항의 독립성과 등분산성 가정이 어긋날 경우에 회귀계수의 유의성에 관한 정확한 추정을 위하여 robust 표준오차를 사용하였다.
  • 해외 연구에서는 농촌 지역에서의 높은 자살률이 사회적, 지리적 고립, 비사회적인 작업 패턴, 이웃과의 갈등과 경계 다툼, 무망감, 우울, 재정적 어려움, 독소, 농약, 총에 대한 접근성과 노출 등에서 비롯된다고 하였다 (Hughes & Keady, 1996).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도시와 농촌 간의 자살률의 차이가 어떤 요인에 기인하는지에 대하여 지역 구성원의 특성을 나타내는 구성적 요인과 지역의 환경적 특성을 나타내는 상황적 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한편 본 연구결과를 해석함에 있어서 생태학적 오류(ecological fallacy), 즉 집단 자료로부터 개인 행태에 관한 인과적 추론을 할 때 생기는 논리적 오류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Schwartz, 1994). 즉, 집단 수준에서 유의하거나 유의하지 않은 요인이 개인 수준에서도 동일하게 유의하거나 유의하지 않은 요인일 것이라고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시군구를 분석단위로 시군구별 자살률의 차이 및 그 차이와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구에서 가장 자살률이 낮고 군 지역에서 가장 자살률이 높았으며, 자가 소유가 아닌 주택에 거주하는 가구의 비율, overcrowding, 그리고 이혼 성인 비율과 같은 지역의 구성적 요인과 함께 재정자립도, 상하수도 보급률, 폐수배출업소 수와 같은 상황적 요인들이 시군구 간의 자살률의 차이를 설명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아송(Poisson) 모형은 어떤 분석에 사용 되는가? 다변량 분석에서는 포아송(Poisson) 모형을 사용하여 지역의 특성 변수들과 자살률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포아송(Poisson) 모형은 가산(count) 자료를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 분석에 사용된다. 포아송 모형에서 종속변수는 log로 취해진다.
물질결핍지수는 어떠한 요소의 변수로 구성되는가? Kim, Jung-Choi, Jun & Kawachi (2010)는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그리고 지역의 물질결핍 정도가 심할수록 자살률이 높은 것을 발견하였다. 물질결핍지수는 실업, 과잉밀집가구, 자동차 소유, 자가 주택 소유, 비숙련 근로자 등의 변수로 구성된다(Aveyard, Manaseki, & Chambers, 2012).
건강수준의 차이에 영향을 설명할 수 있는 지역적 요인은 크게 구성적 차이와 상황적 차이로 나눌 수 있는데, 각각을 보는 관점은 어떻게 다른가? 그렇다면 시나 구 지역, 즉 도시 지역에 비해 군 지역에서의 자살률이 더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 건강수준의 차이에 영향을 설명할 수 있는 지역적 요인은 크게 구성적(compositional) 차이와 상황적(contextual) 차이로 나눌 수 있다(Judd, Cooper, Fraser, & Davis, 2006; Mackintyre & Ellaway, 2003). 지역적 차이에 대한 구성적 설명은 건강수준의 지역적 차이는 저소득 인구의 비율, 이혼율 등 각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보는 반면에, 상황적 설명은 불량한 주택, 비위생적인 환경, 수질과 대기질 등 장소의 특성에서 비롯된다고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gerbo, E., Sterne, J. A. C., & Gunnell, D. J. (2007). Combining individual and ecological data to determine compositional and contextual socio-economic risk factors for suicide. Social Science & Medicine, 64, 451-461. 

  2. Anda, R. F., Williamson, D. F., Escobedo, L. G., Mast, E. E., Giovino, G. A., & Remington, P. L. (1990). Depression and the dynamics of smoking. A national perspective. JAMA, 264(12), 1541-1545. 

  3. Andres, A. R. (2005). Income inequality, unemployment, and suicide: a panel data analysis of 15 European countries. Applied Economics, 3, 439-451. 

  4. Araki, S., & Murata, K. (1986). Factors affecting suicide in young, middle-aged and elderly men. Journal of Biosocial Science, 18(1), 103-108. 

  5. Aveyard, P., Manaseki, S., & Chambers, J.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 birth weight and poverty using the Townsend deprivation score and the Super Profile classification system. Public Health, 116, 308-314. 

  6. Bullard, R., Wright, B. (1993). Environmental justice for all: community perspectives on health and research needs. Toxicology and Industrial Health, 9, 821-841. 

  7. Burnley, I. H. (1995). Socioeconomic and spatial differentials in mortality and means of committing suicide in New South Wales, Australia, 1985-1991. Social Science & Medicine, 41(5), 687-698. 

  8. Cantor, C. H., Slater, P. J., & Najman, J. M. (1995). Socioeconomic indices and suicide rate in Queensland. Australi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 417-420. 

  9. Chang, S. S., Sterne, J. A. C., Wheeler, B. W., Lu, T. S., Lin, J. J., & Gunnell, D. (2011). Geography of suicide in Taiwan: Spatial patterning and socioeconomic correlates. Health & Place, 17, 641-650. 

  10. Charlton, J. (1995). Trends and patterns in suicide in England and Wales,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24, 45-52. 

  11. Chuang, H. L., & Huang, W. C. (1997). Economic and social correlates of regional suicide rates: A pooled cross-section and time-series analysis. Journal of Socio-Economics, 26(3), 277-289. 

  12. Cooke, A., Friedli, L., Coggins, T., Edmonds, N., Michaelson, J., O'Hara, K., . . . Scott-Samuelson, A. (2011). Mental Well-being Impact Assessment. (3rd ed.). London, UK: National MWIA Collaborative. 

  13. Cummins, S., Curtis, S., Diez-Roux, A. V., & Macintyre, S. (2007). Understanding and representing 'place' in health research: A relational approach. Social Science & Medicine, 65, 1825-1838. 

  14. Dahlgren, G., & Whitehead, M. (1992). Policies and strategies to promote social equity and health.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15. Durkheim, E. (1897). Le Suicide: Etude de Sociologie, Alcan, Paris: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6. Durkheim, E., & Simons, J. (1992). Suicide and fertility: a study of moral statistics. European Journal of Population, 8(3), 175-197. 

  17. Elliot, S., & Taylor, M. (1996). Worrying about waste: diagnosis and prescription. In D. Munton (Ed.). Hazardous waste siting and democratic choice (pp. 290-318).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18. Green, L. (1991). A cohort mortality study of forestry workers exposed to phenoxy acid herbicides. British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48, 234-238. 

  19. Hughes, H. W., & Keady, J. (1996). The strategy for action on farmers emotions (SAFE): Working to address the mental health needs of the farming community.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3, 21-28. 

  20. Hirsch, J. K. (2006).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rural suicid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cidence, and prevention. Crisis, 27, 189-199. 

  21. Judd, F., Cooper, A. M., Fraser, C., & Davis, J. (2006). Rural suicide-people or place effects?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40, 208-216. 

  22. Kang, E., & Lee J. (2010). A longitudinal study on the causal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depressio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3(3), 193-204. 

  23. Kickbusch, I., McCann, W., & Sherbon, T. (2008). Adelaide revisited: from healthy public policy to Health in All Policies.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3(1), 1-4. 

  24. Kim, M. H., Jung-Choi, K., Jun, H. J., & Kawachi, I. (2010).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suicidal ideation, parasuicides, and completed suicides in South Korea. Social Science & Medicine, 70, 1254-1261. 

  25. Klatsky, A. L., & Armstrong, M. A. (1993). Alcohol use, other traits, and risk of unnatural death: a prospective study. Alcoh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17, 1156-1162. 

  26. Ko, K. H. (2006). A study on alternatives for drinking water supply system in rural and coastal area. Proceeding of Conference of Korean Accounting Association, Korea, 769-781. 

  27. Lee, Y. B. (2004).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iciency and equity of public service provision: focusing on water service. Korea Administration Study, 13(3), 236-242. 

  28. Macintyre, S., Ellaway, A., & Cummins, S. (2002). Place effects on health: how can conceptualise and measure them? Social Science & Medicine, 55, 125-139 

  29. Macintyre, S., & Ellaway, A. (2003). Neighborhoods and health: An overview. In Kawachi, Ichiro, & Berkman, Lisa F. (eds.), Neighborhoods and health (pp. 20-42).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30. Middleton, N., Sterne, J. A. C., & Gunnell, D.J. (2008). An atlas of suicide mortality: England and Wales, 1988-1994, Health & Place, 14, 492-506. 

  31.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1). 2010 Cause of Death Statistics Result. Retrieved December 14, 2012, from http://meta.kosis.kr/bzmt/main.jsp?surv_id19&curYear2010. 

  32. Niaura, R., Shadel, W. G., Britt, D. M., & Abrams, D. B. (2002). Response to social stress, urge to smoke, and smoking cessation. Addictive Behaviors, 27(2), 241-250. 

  33. Neumayer, E. (2003). Socioeconomic factors and suicide rates at large-unit aggregate levels: a comment. Urban Studies, 40(13), 2769-2776. 

  34. NSO. (201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Retrieved from http://www.kosis.kr. 

  35. Otsu, A., Araki, S., Sakai, R., Yokoyama, K., & Scott Voorhees, A. (2004). Effects of urbanization, economic development, and migration of workers on suicide mortality in Japan. Social Science & Medicine, 58, 1137-1146. 

  36. Park, D. H., & Kim, S. M. (2007). Economic relevancy of water service fee. Preceeding of the Joint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terwaste and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61-A66. 

  37. Parron, T., Hernandez, A. F., & Villaneueva, E. (1996) Increased risk of suicide with exposed to pesticides in an intensive agricultural area. A 12-year retrospective study, Forensic Science International, 79, 53-63. 

  38. Phillips, M. R., Li, X., & Zhang, Y. (2002). Suicide rates in China, 1995-99, Lancet, 359, 835-840. 

  39. Rezaeian, M., Dunna, G., St Legerb, S., Appleby, L. (2007). Do hot spots of deprivation predict the rates of suicide within London boroughs? Health & Place, 13, 886-893. 

  40. Schwartz, S. (1994). The fallacy of the ecological fallacy-the potential misuse of a concept and the consequence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4(5), 819-824. 

  41. Shaw, C. R., & McKay, H. D. (1942). Juvenile Delinquency in Urban Area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2. Skog, O. J. (1985). The collectivity of drinking cultures. A theory of the distribution of alcohol consumption. British Journal of Addiction, 80, 83-99. 

  43. StataCorp. (2012). Stata Statistical Software: Release 11.2. College Station. TX: StataCorp LP. 

  44. Steenbakkers, M., Jansen, M., Maarse, H., & de Vries, N. (2012). Challenging Health in All Policies, an action research in Dutch municipalities. Health Policy, 105, 288-295. 

  45. Stenager, E., & Stenager, E. (2009). Somatic diseases and suicidal behaviour. In D. Wasserman & C. Wasserman (eds.). Oxford textbook of suicidology and suicide prevention: A Global Perspective (pp. 293-299).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46. Storm, I., Aarts, M. J., Harting, J., & Schuit, A. J. (2011). Opportunities to reduce health inequalities by 'Health in All Policies' in the Netherland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national level. Health Policy, 103, 130-140. 

  47. WHO. (2008). Our Cities, Our Health, Our Future: Acting on Social Determinants for Health Equity in Urban Settings. Geneva, Switzerland: Author. 

  48. Yen, I., & Kaplan, G. (1999). Neighborhood social environment and risk of death: multilevel evidence from the Alameda County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49, 898-907. 

  49. Yoon, M. S., & Choi, M. M. (2012). Effects of welfare and mental health resources on the suicide.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40(1), 213-2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