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의 자살시도 고위험군 선별을 위한 관련요인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Related Factors to Distinguish High Risk Group of Female Suicidal Attemp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5, 2017년, pp.308 - 317  

최향숙 (충북보건과학대학교 보건행정과) ,  허명륜 (군산간호대학교) ,  김은미 (을지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여성의 자살시도 경험 현황을 확인하고, 관련요인을 확인하여 고위험군 선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질병관리본부에서 전국적으로 조사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제 6기 3차 자료를 이용하였고. 전체 대상자중 여성만을 선별하여 일반적 특성, 정신건강 관련 특성, 일상생활 활동 특성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SPSS 20.0 프로그램의 복합표본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 여성의 1%에서 자살 시도 경험이 있는 것으로 파악 되었으며, 1년 이내의 정신 상담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없는 대상자보다 5.25배, 스트레스가 적은 대상자에 비해 많은 대상자가 14.92배, 일의 강도가 높은 대상자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4.85배, 하루 중 앉아 있는 시간이 많은 대상자가 적은 대상자에 비해 3.76배 더 자살 시도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대상자들을 자살시도의 고위험군으로 고려하여야 하며, 여성의 자살시도 예방을 위하여 일차적으로 정신 건강 상태와 일상생활의 활동 특성 변수를 고려한 선별 지침이 필요하겠다. 또한 사회적, 정책적으로 제공되는 자살 예방 프로그램의 개별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experiences of suicidal attempts of Korean women and to evaluate related factors and provide basic sources for distinguishing high risk group. The primary data of the 6th period of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by KCDC, between 2013 and 201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살펴 본 변수는 평소의 일상생활 활동 특성이었는데, 특히 대상자가 갖고 있는직업의 특성에 따라 자살시도에 차이를 보일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하고, 직업의 유무, 직업의 종류, 야간 근무 포함 여부 그리고 일의 활동 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현대인들은 문명과 기계의 발달로 인해 하루의 활동 중많은 부분을 기계로 대치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여, 장소를 이동할 때 신체를 이용한 활동을 하는지 여부와 여가 시간을 활용할 때 고강도의 신체 활동을 하는지 여부를 함께 확인하여 비교해 보았다.
  • 본 연구는 2015년에 발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 3차 자료를 이용하여 여성의 자살 시도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고자 시행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한국 여성의 자살 시도 현황을 파악하고,자살 고위험군 선별을 위한 관련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행 되었다. 한국 여성을 대표할 수 있는 모집단 선정을 위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 3차(2015년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 중 일반적 특성, 정신 건강 특성, 일상생활 활동 특성을 조사하여 자살 시도와의 관련성을 분석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의 여성을 대상으로 자살 시도 현황을 확인하고, 자살 시도 경험이 있는 대상자와 자살 시도 경험이 없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정신건강 특성, 그리고 일상생활 활동 정도에 따르는 차이를 파악하여 관련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이차자료 분석 연구이다.
  • 선행 연구에 따르면 우울, 일상생활 스트레스 등의 정신건강 상태가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고[5, 9, 13], 이 밖에도 여성의 자살에는 많은 관련 요인들이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신체 활동강도와 자살시도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여 여성의 자살 예방을 위한 고위험군 선별 전략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은 어떠한 단계로 일어나는가? 자살은 자살 생각, 자살 계획, 자살 시도의 3단계 과정을 거쳐 일어나게 되는데[2, 3], 자살 생각이 있었던 대상자 중 34% 정도에서 실제 자살 시도가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그러나 실제 자살한 대상자를 모집단으로 연구하기가 현실 상 어려워 자살 생각을 자살 시도의 예측 변수로 간주하고 자살 생각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5].
여성에 대한 자살 관련 연구의 실정은 어떠한가? 5%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져 여성에 대한 자살 예방 필요성이 커지는 실정이다[11]. 그러나 자살과 관련 된 연구는 청소년이나 중년, 노인 등 생애 주기별 특성에 초점을 두고 있고, 여성전체 집단만을 대상으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다.
자살 생각에서 자살 시도로 이어지는 비율은? 자살은 자살 생각, 자살 계획, 자살 시도의 3단계 과정을 거쳐 일어나게 되는데[2, 3], 자살 생각이 있었던 대상자 중 34% 정도에서 실제 자살 시도가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그러나 실제 자살한 대상자를 모집단으로 연구하기가 현실 상 어려워 자살 생각을 자살 시도의 예측 변수로 간주하고 자살 생각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Death statstics in 2015[Internet]. Available from: http://kosis.kr/ups/ups_01List01.jsp?grp_no1005& pubcode YD&typeF. 2016. 

  2. Suominen K, Isometsa E, Suokas J, Haukka J, Achte K, Lonnqvist J. Completed suicide after a suicide attempt: a 37-year follow-up stud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004;161(3): 562-3. DOI: https://doi.org/10.1176/appi.ajp.161.3.562 

  3. Kessler RC, Borges G, Walters EE.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lifetime suicide attempt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999;56(7):617-26. DOI: https://doi.org/10.1001/archpsyc.56.7.617 

  4. Carlson GA, Cantwell DP. Suicidal behavior an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psychiatry. 1982;21(4):361-8. DOI: https://doi.org/10.1016/S0002-7138(09)60939-0 

  5. Lee G. Factors influencing attempted suicide among adolesce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 (5):3139-4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5.3139 

  6. Powell J, Geddes J, HAWTON K, DEEKS J, GOLDACRE M. Suicide in psychiatric hospital in-patient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000;176(3):266-72. DOI: https://doi.org/10.1192/bjp.176.3.266 

  7. Chin YR, Lee HY, So ES. Suicidal ideation and associated factors by sex in Korean adults: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health. 2011;56(4):429. DOI: https://doi.org/10.1007/s00038-011-0245-9 

  8. Borges G, Nock MK, Abad JMH, Hwang I, Sampson NA, Alonso J, et al. Twelve month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suicide attempts in the WHO World Mental Health Surveys.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10;71(12):1617. DOI: https://doi.org/10.4088/JCP.08m04967blu 

  9. Bagalkot TR, Park J-I, Kim H-T, Kim H-M, Kim MS, Yoon M-S, et al. Lifetime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in a Korean community sample. Psychiatry. 2014;77(4):360-73. DOI: https://doi.org/10.1521/psyc.2014.77.4.360 

  10. OECD (2017), Suicide rates (indicator)[Internet]. Available from: doi: 10.1787/a82f3459-en (Accessed on 24 April 2017) DOI: https://doi.org/10.1787/a82f3459-en 

  11. Kim YT, Kim IS, Ju YS, Lee JY. A Study on the Status of Female Suicide and Policy Agenda.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09;2009(18):1-222. 

  12. Ko, You S. Factors of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Strength That Affect Indexes of Happiness and SSI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015;24(1) :1371-82. 

  13. Bae S-Y, Yoon H-S, Cho Y-C. Factors related to Suicide Ide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1):544-54.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1.544 

  14.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201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5. Kim Y, Kang H. Study on variables related to adults'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2011;16(3):45-61. 

  16. Um, Hyun J, Jun, Hey J. Predictive Factors for Mid-aged Male and Female Adults' Suicidal Ideation.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14;42(2):35-62. 

  17. Son, Jehee, Hoe, Maans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between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of Middle-aged Women in Daegu.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013;29(2):155-78. 

  18. Lee S-Y, Heo M-L.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Middle-aged Men's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7):4777-8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7.4777 

  19. Kim K, Choi S, Park M, Park S, Ko S, Park H. The effect of family structures and psycho-social factors on suicidal ideation of senior citizen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1;52:205-28. 

  20. Kim K, Kim J-s, Lee B, Lee E, Ahn Y, Choi M. A study ab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suicidal thought in Korea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0;19(4):391-9. DOI: https://doi.org/10.12934/jkpmhn.2010.19.4.391 

  21. Won Guen I, Seong Hye H. Investigation of the Causes of Suicidal Ideation of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Living in S-gu-Focusing on Their Daily Activities, Experience of Committing Suicide, and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4;22(1): 35-42. DOI: https://doi.org/10.17547/kjsr.2014.22.1.35 

  22. Hyung Tae K, Mi Eun Y, Sung Soo C.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Cognitive Stress on Their Suicidal Inten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Activity, Problem Drinking, Cognitive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4;31(3):73-81. DOI: https://doi.org/10.14367/kjhep.2014.31.3.73 

  23. Pyo, Myeong J, Lee, Won J, Kim, Jin H. The Effect of Joining After School Sports Activities on Healing Students at Risk for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14;58(1):55-64. 

  24. Ra, Jin S, Cho, Yoon H. Combined Influence of Screen based Sedentary Behavior and Sleep Duration on Obesity,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4;28(2):241-57. DOI: https://doi.org/10.5932/JKPHN.2014.28.2.241 

  25. Lee J, Kang J, Rhie S, Chae KY. Impact of sleep duration on emotional status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Child Neurology Society. 2013;21(3):10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