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미술의 공공성과 주체간 관계의 특성 -<황금시장 황금시대> 공공미술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The Publicness of Public Art : Focused on the "Golden market, Golden Age" Public Art Project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16 no.1, 2013년, pp.118 - 134  

남기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  남미영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도시사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정부 주도적으로 이루어지는 새장르 공공미술을 관찰하고, 주체 간 관계에 대한 분석한다. 새장르 공공미술은 사회적 쟁점에 대해 민감하고, 민주주의와 공동체를 지지하며, 다양하고 폭넓은 관객의 참여를 지향한다. 사례지역인 서울시 도시갤러리 프로젝트 <황금시장 황금시대> 공공미술사업의 주체는 사업내용과 방향을 지시하는 정부, 이를 수행하는 예술가, 공공미술 과정에 참여하는 주민 등으로 구분된다. 정부는 경쟁력 있고 질서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공공미술 작업을 초대한다. 예술가는 공동체적 삶을 강조하며 주민을 계몽해야할 대상으로 파악한다. 반면, 주민들은 정부지원금이 경제적인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예술가는 정부의 사업지시를 수용하는 하향식 운영방식을 보이고, 주민은 예술가의 일방적 계몽에 소외되고 소극적 참여를 한다. 새장르 공공미술의 공공성은 다양한 사람들의 담론이 교환되는 장으로서의 사회적 공공성이라기보다는, 공공사업이 가지는 행정적 의미의 공공성만을 담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nalyzes the pubic nature of New Genre Public Arts. It is very sensitive to the social issues and supports democracy and communities with the diverse civic participation. Therefore, it is be widely known without doubt that new genre public arts is more public in nature compared to the p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잔 레이시(Suzanne Lacy)는 새장르 공공미술을 무엇이라 정의하였는가? 1970~1980년대에 이르러 주민참여와 예술가의 사회인식을 강조하는 새로운 경향의 공공미술이 등장했다. 수잔 레이시(Suzanne Lacy)는 이러한 흐름을 새장르 공공미술(new genre public art) 로 명명하고, “주민들의 삶과 직접적인 주제에 대해, 폭넓고 다양한 청중과 소통하고 상호작용하는, 전통적 비전통적 매체를 모두 활용하는 시각 예술”로 정의했다(Lacy, 1995: 19). 새장르 공공미술은 기존의 장소특징적이고 조형물 중심적인 공공미술에서 탈피해, 공동체 지향적이며 쟁점 특성적인 특징을 갖는다.
마일스는 공공미술이 무엇에 기여한다고 밝혔는가? 도시의 공공미술은 이러한 총량적 경제가치의 향상만이 아니라 공공재로서의 도시의 공공성과 공적 영역의 의미와 가치를 재조명한다는 데 강조점을 두고 있다. 마일스는 공공공간에서의 공공미술의 가치와 장점을 설명하면서 공공미술이 사회적, 생태적 치유(social and ecological healing)를 통해 활력있는 도시(convivial cities)를 만들고 도시민의 역량강화(empowerment of urban dwellers)에 기여한다고 밝히고 있다(Miles, 1997). 서구의 공공미술은 미술작품을 공공장소에 설치함으로서 미술작품의 향유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기획에서 시작되어, 개념의 다양화와 확장이 이루어졌으며 (Grodach, 2010), 대형건물 앞이나 공공장소에 설치된 조형물에서부터 시작해, 벽화, 스트리트 퍼니처, 공공공간의 재생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공공미술을 도시활성화 정책의 일환으로 시행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비판을 받는가? 시애틀, 댈러스, 로스앤젤레스, 스페인 바르셀로나, 프랑스 라빌레뜨 등은 도시재개발에 공공미술을 결합해 도시 재활성화에 성공한 사례로 꼽히며, 최근에는 동아시아 도시에서도 공공미술의 긍정적 효과들이 보고되고 있다(Bianchini, 1999; Cameron and Coaffee, 2005; Chang, 2008; Chang and Huang, 2005; Dalafons, 1998). 이러한 정책은 많은 작품을 공공건물, 가로, 광장 등 공공장소로 이끌어 내는 데는 성공했으나, 지역주민과 문화에 대한 관심과 배려 없이 순수미술을 거대하게 복제해 장소에 떨어뜨려 놓았다는 비판을 받는다.1) 마일스(Miles,1997)는 복수로 제작되어 여러 지역에 배치되거나, 작품의 의미 혹은 장소의 의미가 예술품이 어떤 장소에 배치되느냐에 구애받지 않는 작품이 늘어나고 있다고 지적했으며, 주디스 베이커(Baca, 1995)는 주민들을 배제하고 국가의 역사적 관점을 미화하는 조각의 설치를 반복하는 공공미술을‘공원의 대포’에 비유하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