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소마케팅 관점에서 공공미술 프로젝트에 대한 고찰 -부산 공공미술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Examination of Public Art Project from Viewpoint of Place Marketing -Focused on Cases of Busan Public Art Projec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2, 2011년, pp.276 - 286  

김현정 (경성대학교 디지털디자인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지자체 및 정부 기관에서 소외지역 생활환경 개선 및 문화 복지를 위한 도시 재생사업의 일환으로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미술 프로젝트는 공공미술 자체의 담론에만 빠져있을 것이 아니라 도시 재개발 속에서의 그 의미를 생각해야 한다. 즉, 공공미슬 프로젝트를 통해 소외지역에 문화 예술을 입히는 것이 궁극적으로는 지역 주민들의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장소마케팅의 목적으로 시행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과연 최근 5년간 진행된 부산의 공공미술 프로젝트들이 그 목적성을 달성했고, 장소마케팅 관점에서 성공적이었는지, 공공미술의 성격과 전체 마을의 설립 양상이 비판적으로 재검토될 필요는 없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먼저, 공공미술의 개념 및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효과와 장소마케팅의 개념 및 전략에 대해 이론적 내용을 문헌을 통해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분석틀을 도출하고 부산시의 최근 5년간 진행된 대표적인 공공 미술 프로젝트 사례를 공공미술적 차원의 요건과 장소마케팅 차원에서의 실효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의함으로써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실질적이고 궁극적인 목표이어야 하는 장소마케팅 차원에서 향후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many regional governments and national organizations have propelled public art projects as a part of city regeneration project for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 and cultural welfare of neglected regions. It is necessary to think of meaning of the public art project in a context of c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공미술 프로젝트들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이러한 효과들이 실제 공공미술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표출되고 달성되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면, 정서적 측면은 공공미술 프로젝트가 지역적 특성과 정체성을 형성하였는지 살펴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회적· 정치적 측면은 장기적으로 확인하는 수 밖에 없다.
  • 특히, 경제적 측면은 장소마케팅의 목적과도 일치한다. 다음에서는 장소마케팅에 대한 개념, 목적, 유형, 전략 등을 고찰하여 공공미술 프로젝트가 장소마케팅 관점을 도입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그러나 그 동네만의 정체성을 가지지 못하는 똑같은 벽화와 비슷한 공공미술 프로젝트가 넘쳐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부산의 대표 공공미술 프로젝트 6개를 선정하여1 공공미술 프로젝트가 가져야할 요건과 효과 측면과 장소마케팅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 실제로 공공미술 프로젝트는 통합성보다는 연계성을 중심으로 주민 참여만을 전제로 지역 예술 단체에서 일방적으로 진행하여 왔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경제성은 실제로 공공미술 프로젝트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파급효과가 있었는지, 관광자원으로 얼마나 활용 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즉, 공공미슬 프로젝트가 소외지역에 문화 예술을 입히는 것이 단지 그 지역 주민들의 자긍심 고취나 문화예술 복지 차원에서만 진행될 것이 아니라 그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함으로써 명소화하고 더 많은 사람들이 그 지역을 알고 찾게 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지역 주민들의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장소마케팅의 목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과연 최근 5년간 진행된 부산의 공공미술 프로젝트들이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목적성을 달성했고, 장소마케팅 관점에서 성공적이었는지, 그 공공미술의 성격과 전체 마을의 설립 양상이 비판적으로 재검토될 필요는 없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 본 논문은 주로 소외지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공공미술의 담론 안에서 논의하는 것에서 벗어나 도시재생사업과 장소마케팅으로 보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상기시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부산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대표 사례만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연구 범위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존재한다.
  • 본 논문은 먼저, 공공미술의 개념 및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효과와 장소마케팅의 개념 및 전략에 대해 이론적 내용을 문헌을 통해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분석틀을 도출하고 부산시의 최근 5년간 진행된 대표적인 공공미술 프로젝트 사례를 공공미술적 차원의 요건과 장소마케팅 차원에서의 실효성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실질적이고 궁극적인 목표이어야 하는 장소마케팅 차원에서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바라보고 향후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상과 같이 부산시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효과와 실효성을 장소마케팅 관점에서 분석해보았다. 장소마케팅 관점에서 공공미술 프로젝트가 추구해야할 목적과 효과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크게 사전 기획 단계와 사후 운영 단계에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 지속성은 그 지역의 장기적 비전이 있는지에 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장기적인 투자나 보수, 업데이트 등이 이루어졌는지 살펴볼 것이다. 진정성은 정체성과 같은 의미로 볼 수 있다.
  • 첫째, 공간의 맥락을 분석하는 단계이다. 지역의 본질적 특성과 현상적 특성에 해당하는 항목들을 분석함으로써 장소마케팅의 근본인 지역과 기존 공간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분석을 토대로 장소성 및 공간의 목적과 수용자 대상을 도출, 설정 하는 단계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 공공미술의 흐름은 어떠한 단계를 거쳐 변화했는가? 현대 공공미술의 흐름을 살펴보면 크게 네 단계의 변화를 거쳤다. 1단계의 공공미술은 1930년대 경제 공황 속에서 일자리를 잃은 미술가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작되었으며, 공공건물을 장식하기 위한 벽화나 조각을 제작하게 된다. 이 단계는 ‘건축 속의 미술(Art in Architecture)’의 형태로 아직까지 남아 있다. 2 단계는 ‘공공장소 속의 미술(Art in Public Places)’ 단계로 공공장소를 예술 공간으로 꾸미려는 취지로 대상이 공공건물에서 장소로 확대된 것이다. 그리고 3단계는 ‘도시계획 속의 미술(Art in Urban Design)’로 도시계획의 일환으로 공공미술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미술가가 디자인한 가로시설물, 문화시설, 다양한 프로그램 등의 모습으로 공공미술의 영역을 확장하였다. 마지막으로 4단계는 ‘뉴 장르의 공공미술(New Genre Public Art)’로서 미술을 통한 지역민들과의 커뮤니케이션 확대와 문화공동체를 형성하여 미술 뿐 아니라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형태이다. 지역 환경을 개선하고 공동체를 만들어 가는데 예술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공동체 예술 또는 커뮤니티 아트(Community Art)로도 불린다[4].
공공미술 프로젝트는 어떤 목적으로 시행되어져 왔는가? 이러한 공공미술 프로젝트는 주로 낙후되고 가난한 지역의 환경 개선이나 문화 복지를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공공미술 프로젝트는 공공미술 자체뿐 아니라 도시 재개발 속에서의 그 의미를 생각해야 한다.
공공미슬 프로젝트 어떤 목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는가? 따라서, 이러한 공공미술 프로젝트는 공공미술 자체뿐 아니라 도시 재개발 속에서의 그 의미를 생각해야 한다. 즉, 공공미슬 프로젝트가 소외지역에 문화 예술을 입히는 것이 단지 그 지역 주민들의 자긍심 고취나 문화예술 복지 차원에서만 진행될 것이 아니라 그 지역의 정체성을 형성함으로써 명소화하고 더 많은 사람들이그 지역을 알고 찾게 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지역 주민 들의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장소마케팅의 목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과연 최근 5년간 진행된 부산의 공공미술 프로젝트들이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목적성을 달성했고, 장소마케팅 관점에서 성공적이었는지, 그 공공미술의 성격과 전체 마을의 설립 양상이 비판적으로 재검토될 필요는 없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혜진, “2000년대 이후 한국의 공공미술 프로젝트 유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0권, 제 8호, p.200, 2010. 

  2. 박삼철, 왜 공공미술인가, 학고재, p.116, 2006. 

  3. 김정주, “도시 외부 공간의 공공미술 실태분석연구”, 경희대학교 환경조형학과 석사논문, p.12, 2010. 

  4. 손은하, 신나경, "공공미술의 전개와 로컬공간의 재생", 기초조형학연구, 제11권, 제4호, p.138, 2010. 

  5. 변민재, “소외지역 생활개선을 위한 공고미술 사업 현황 분석”,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12-13, 2008. 

  6. 손은하, 신나경, "공공미술의 전개와 로컬공간의 재생", 기초조형학연구, 제11권, 제4호, p.138, 2010. 

  7. 손은하, 신나경, "공공미술의 전개와 로컬공간의 재생", 기초조형학연구, 제11권, 제4호, p.139, 2010. 

  8. 손은하, 신나경, "공공미술의 전개와 로컬공간의 재생", 기초조형학연구, 제11권, 제4호, p.143, 2010. 

  9. 김혜진, “2000년대 이후 한국의 공공미술 프로젝트 유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0권, 제 8호, p.201, 2010. 

  10. 정미강, “문화산업클러스터의 장소마케팅 전략연구", 문화산업연구, 제10권, 제2호, p.33, 2010. 

  11. 오남현, "도시지역의 장소마케팅 분석 -포항불및축제를 사례로-",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제21집, 제1호, pp.287-308, 2008. 

  12. 김기호, 김대성, "대규모 도시개발사업의 전략과 기법에 관한 연구: 뉴욕 배터리 파크 시티와 런던도크랜드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8권, 제10호, p.156, 2002. 

  13. 오남현, "도시지역의 장소마케팅 분석 -포항불및축제를 사례로-",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제21집, 제1호, p.290, 2008. 

  14. 김선기, 향토자산 활용 지역축제의 마케팅의 전략,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3. 

  15. 임석회, “영역자산의 장소판촉과 향토축제의 유형 -경북지방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 제13권, 제13호, pp.271-289, 2007. 

  16. 이무용, "장소마케팅의 문화적 개념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대한지리학회, 제 41권, 제1호, p.45, 2006. 

  17. 이무용, "장소마케팅의 문화적 개념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대한지리학회, 제 41권, 제1호, p.46, 2006. 

  18. 이무용, "장소마케팅의 문화적 개념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대한지리학회, 제 41권, 제1호, p.53, 2006. 

  19. 정미강, "문화산업클러스터의 장소마케팅 전략연구", 문화산업연구, 제10권, 제2호, p.36, 2010. 

  20. http://dibrary1004.blog.me/30095010879 

  21. http://news20.busan.com/news/newsController.jsp?subSectionId1010010000&newsId20100722000080 

  22. http://cafe.naver.com/gamcheon2 

  23. http://raccoondog.net/90095720132 

  24. http://camerabuff.tistory.com/10 

  25. http://cafe.daum.net/openspacebae 

  26. http://cafe.daum.net/sanbockdoro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