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유 에탄올추출물의 생체외 항산화 활성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Sanguisorbae Radix Ethanol Extract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6 no.2, 2013년, pp.149 - 158  

임태진 (상지대학교 동물생명자원학부 동물생명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지유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지유 추출물의 농도는 0.33 mg/mL으로 ${\alpha}$-tocopherol의 $IC_{50}$(0.40 mg/mL)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alpha}$-tocopherol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의 superoxide 소거활성은 catechin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의 pe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은 ascorbic acid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의 구리이온 환원력${\alpha}$-tocopherol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은 hydroxyl 라디칼 및 peroxyl 라디칼로 유발된 supercoiled DNA strand의 절단을 억제시켰다. 지유 추출물 0.5 및 5 mg/mL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0.50 및 3.33 mM gallic acid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또한, HepG2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배양에서 지유 추출물 0.01, 0.1 및 0.5 mg/mL 농도의 첨가는 0.2 mM t-BHP로 유도된 세포독성을 각각 33.8, 79.1 및 96.9%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은 지유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세포독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능은 적어도 자유라디칼의 산화억제와 높은 총페놀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capacity of ethanol extracts from Sanguisorbae officinalis L. root (Sanguisorbae radix) in vitro. The concentration of Sanguisorbae radix extract at whic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nhibited by 50% was 0.33 mg/mL, which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지유의 항암, 항균, 간 및 뇌세포 보호 기능 등에 관해 보고되고 있으나,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결과는 많이 보고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유 추출물의 free radical 소거활성과 세포독성 억제효과들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유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지유 추출물의 농도는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반응산소종은 어떤 질병을 유발하는가? Superoxide anion, hydroxyl radical, hydrogen peroxide 등의 반응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활성산소라고도 불리우며, 단백질 불활성화, 지질과산화, DNA 변성 등을 초래하여 세포의 기능장애를 유발하고, 암을 비롯하여 동맥경화증, 당뇨병, 파킨슨 질병 등수많은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alliwell et al., 1992; Thannickal and Fanburg, 2000).
지유 추출물의 효능은? , 2005). 지유 추출물은 높은 항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Goun et al., 2002; An et al., 2004b), 항바이러스 및 항균 활성도 보고된 바 있다(Kim et al., 2001; An et al.
오이풀 뿌리가 함유하고 있는 물질은? )은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에 널리 자생하고 있으며, 그 동속 식물의 뿌리를 지유(Sanguisorbae radix)라고 한다. 민간에서는 화상, 내출혈 치료제로 이용되어져 왔고 (Cheng and Cao, 1992), pomolic acids, sanguiins, triterpenoids, triterpene glycosides 등의 성분들이 지 유로부터 분리되어 보고된 바 있다(Cheng and Cao, 1992; Yokozawa et al., 2000; Mimak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 B.J., J.T. Lee, S.A. Lee, J.H. Kwak, J.M. Park, J.Y. Lee and J.H. Son. 2004a. Antioxidant effects and application as natural ingredients of Korean Sanguisorbae officinalis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244-250. 

  2. An, B.J., S.A. Lee, J.H. Son, J.H. Kwak, J.M. Park and J.Y. Lee. 2004b. Cytotoxic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anguisorbae officinalis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141-145. 

  3. An, R.B., Y.H. Tian, H. Oh and Y.C. Kim. 2005. In vitro free radical scavenging and hepatoprotective compound from Sanguisorbae radix. Nat. Prod. Sci. 11:119-122. 

  4. Apak, R., K. Guclu, M. Ozyurek and S.E. Karademir. 2004. Novel total antioxidant capacity index for dietary polyphenols and vitamins C and E, using their cupric ion reducing capability in the presence of neocuproine: CUPRAC method. J. Agric. Food Chem. 52:7970-7981. 

  5. Cheng, D.L. and X.P. Cao. 1992. Pomolic acid derivatives from the root of Sanguisorba officinalis. Phytochemistry 31:1317-1320. 

  6. Erel, O. 2004. A novel automated direct measurement method for total antioxidant capacity using a new generation, more stable ABTS radical cation. Clin. Biochem. 37:277-285. 

  7. Goun, E.A., V.M. Petrichenko, S.U. Solodnikov, T.V. Suhinina, M.A. Kline, G. Cunningham, C. Nguyen and H. Miles. 2002. Anticancer and antithrombin activity of Russian plants. J. Ethnopharmacol. 81:337-342. 

  8. Jeong, C.S., I.O. Suh, J.E. Hyun and E.B. Lee. 2003. Screening of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Nat. Prod. Sci. 9:87-90. 

  9. Halliwell, B., J.M.C. Gutteridge and C.E. Cross. 1992.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human disease:where are we now? J. Lab Clin. Med. 119:598-620. 

  10. Hiramoto, K., N. Ojima, K.I. Sako and K. Kikugawa. 1996. Effect of plant phenolics on the formation of the spin-adduct of hydroxyl radical and the DNA strand breaking by hydroxyl radical. Biol. Pharm. Bull. 19:558-563. 

  11. Hu, C., Y. Zhang and D.D. Kitts. 2000.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of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leaf extract in vitro. J. Agric. Food Chem. 48:3170-3176. 

  12. Huang, D., B. Ou, M. Hampsch-Woodill, J.A. Flanagan and R. L. Prior. 2002. High-throughput assay of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using a multichannel liquid handling system coupled with a microplate fluorescence reader in 96-well format. J. Agric. Food Chem. 50:4437-4444. 

  13. Kim, T.G., S.Y. Kang, K.K. Jung, J.H. Kang, E. Lee, H.M. Han and S.H. Kim. 2001. Antiviral activities of extracts isolated from Terminalis chebula Retz., Sanguisorba officinalis L., Rubus coreanus Miq. and Rheum palmatum L. against hepatitis B virus. Phytother. Res. 15:718-720. 

  14. Liao, H., L.K. Banbury and D.N. Leach.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45 Chinese herbs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ir TCM characteristic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5:429-434. 

  15. Liu, F., V.E.C. Ooi and S.T. Chang. 1997.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mushroom polysaccharide extracts. Life Sci. 60:763-771. 

  16. Liu, X., Y. Cui, Q. Yu and B. Yu. 2005. Triterpenoids from Sanguisorba officinalis. Phytochemistry 66:1671-1679. 

  17. Malterud, K.E., T.L. Farbrot, A.E. Huse and R.B. Sund. 1993.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anthraquinones and anthrones. Pharmacology 47:77-85. 

  18. Masaki, H., S. Sakaki, T. Atsumi and H. Sakurai. 1995. Active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 extracts. Biol. Pharm. Bull. 18:162-166. 

  19. Mimaki, Y., M. Fukushima, A. Yokosuka, Y. Sashida, S. Furuya and H. Sakagami. 2001. Triterpene glycosides from the roots of Sanguisorba officinalis. Phytochemistry 57:773-779. 

  20.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55-63. 

  21. Nguyen, T.T.H., S.O. Cho, J.Y. Ban, J.Y. Kim, H.S. Ju, S.B. Koh, K.S. Song and Y.H. Seong. 2008. Neuroprotective effect of Sanguisorbae radix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brain damage: in vitro and in vivo. Biol. Pharm. Bull. 31:2028-2035. 

  22. Rhim, T.J. and M.Y. Choi. 2010.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Ampelopsis brevipedunculata extracts. Korean J. Plant Res. 23:445-450 (in Korean). 

  23. Rhim, T.J. and M.Y. Choi. 2011.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Rhododendron brachycarpum extracts. Korean J. Plant Res. 24:456-460 (in Korean). 

  24. Singleton, V.L., R. Orthofer and R.M. Lamuela-Raventos.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s Enzymol. 299:152-178. 

  25. Steel, R.G.D. and J.H. Torrie. 1980.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Statistics, 2nd ed, McGraw-Hill, New York, USA, pp. 186-187. 

  26. Thannickal, V.J. and B.L. Fanburg. 2000. Reactive oxygen species in cell signaling. American J. Physiol. Lung Cell Mol. Physiol. 279:L1005-L1028. 

  27. Yokozawa, T., C.P. Chen, D.Y. Rhyu, T. Tanaka, J.C. Park and K. Kitani. 2002. Potential of sanguiin H-6 against oxidative damage in renal mitochondria and apoptosis mediated by peroxynitrite in vivo. Nephron 92:133-141. 

  28. Yokozawa, T., C.P. Chen, T. Tanaka and K. Kitani. 2000. A study on the nitric oxide production-suppressing activity of Sanguisorbae Radix components. Biol. Pharm. Bull. 23: 717-7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