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생식물 미국실새삼의 분포 및 기주식물상
Distribution and Host Plants of Parasitic Weed Cuscuta pentagona Engelm.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6 no.2, 2013년, pp.289 - 302  

황선민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  길지현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  이창우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  김영하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의 자연생태계에 확산되고 있는 외래 기생식물인 미국실새삼의 분포와 그에 따른 생육지의 유형을 구분하여 기주식물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생태계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미국실새삼의 확산 저감을 위한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미국실새삼의 분포는 전국적으로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요 생육지 유형은 경작지변(54.3%), 도로변 나지(41.3%), 인공초지(4.3%) 등 3가지로 구분되었다. 총 37과 95속 119종 10변종 1아종 등 130분류군의 기주식물이 확인되었으며, 목본식물이 4.6%를 차지하고 외래식물은 30분류군으로 전체 기주식물 중 23%로 나타났다. 기주식물의 생활형을 분석한 결과 일년생식물(Th)이 68분류군, 52.3%로 가장 높게 출현 하여 미국실새삼의 생육지가 교란이 많이 일어나는 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주식물 중 유용식물을 분석한 결과 총 90분류군으로 기주식물 중 69.2%를 차지하였으며, 식용자원 59(45.4%)분류군, 약용자원 54분류군(41.5%), 공업용과 관상용자원이 13분류군(10%), 초지자원 9분류군(6.9%)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rveys were conducted to study nationwide distribution and identify habitats and host plants of Cuscuta pentagona Engelm. as a parasite. The major habitat types were arable land near agricultural waterways (54.3%), open field near roadside (41.3%) and artificial grassland (4.3%). The investigated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0) 등 주로 농업적 측면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래기생식물인 미국실새삼의 국내 분포도를 작성하고, 그에 따른 생육지의 유형을 구분하여 제시함으로써, 확산 저감을 위한 관리 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생육지 내에서 기주식물을 목록화하고, 확산 방지를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의 자연생태계에 확산되고 있는 외래 기생식물인 미국실새삼의 분포와 그에 따른 생육지의 유형을 구분하여 기주식물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생태계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미국실새삼의 확산 저감을 위한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미국 실새삼의 분포는 전국적으로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요 생육지 유형은 경작지변(5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간 생물의 이동을 가중시키는 것은? 국제적으로 여행, 교역 등에 의한 물자의 이동은 의도적, 비의도적으로 국가간 생물의 이동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생물의 이동은 새로운 지역에서 침입외래종으로서 환경 변화를 야기한다.
생물의 이동이 야기할수 있는 문제점은? 국제적으로 여행, 교역 등에 의한 물자의 이동은 의도적, 비의도적으로 국가간 생물의 이동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생물의 이동은 새로운 지역에서 침입외래종으로서 환경 변화를 야기한다. 또한 기후변화, 생태계교란과 같은 다양한 환경 변화와 맞물려 더 넓은 지역으로의 확산이 진행되고 있다.
생물의 이동 반경이 더욱 넓어지는 이유는? 이러한 생물의 이동은 새로운 지역에서 침입외래종으로서 환경 변화를 야기한다. 또한 기후변화, 생태계교란과 같은 다양한 환경 변화와 맞물려 더 넓은 지역으로의 확산이 진행되고 있다. 외래종의 확산은 생물다양성교란 및 감소와 같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질병의 전파, 농작물 수확량 감소 등 사회・경제적인 손실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CBD,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BD. 2009. Invasive Alien Species.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Montreal, Canada. pp. 6-9. 

  2. Buhler, D. and M. Hoffman. 1999. Andersen's Guide to Practical Methods of Propagating Weeds & Other Plants. Weed Science Society of America. KS. p. 37. 

  3. Fujimoto, A. 1979. Biological study of Cuscuta pentagona Engelman in potato field. J. Weed Sci. Tech. 24(2):107-109 (in Japanese). 

  4. Ikai, K. and S. Nishi. 1980. Study on the longevity of dodder by soil-applied herbicides. J. Weed Sci. Tech. 25(3):212-214 (in Japanese). 

  5. Jeon, E.S. 1997. New discovered naturalized plant(14). Native Plants 42:8-9 (in Korean). 

  6. Kil, J.H., S.M. Hwang, D.H. Lee, D.E. Kim, Y.H. Kim, C.W. Lee, H.M. Kim, M.J. Kim, J.M. Kim and K.J. Oh. 2012. Alien Species in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250-257 (in Korean). 

  7. Kim, C.S., B.C. Moon, Y.I. Kuk and S.M. Oh. 2007. Distribution status of Cuscuta spp. in southern parts of korea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C. pentagona. Korean J. Weed Sci. 27(2):166-172 (in Korean). 

  8. Kim, D.S. and S.H. Park. 2009. Weeds of Korea. Vol. II. Rijeon Agricultural Resources Publications, Seoul, Korea. pp. 75-76 (in Korean). 

  9. Lee, I.Y., H.K. Lee, C.S. Kim and J.R. Lee. 2012. Special lecture on weed and herbicide. Korean J. Weed Sci. 32(S): 124-144 (in Korean). 

  10.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yang-Mun Publishing Co, Seoul, Korea. p. 914 (in Korean). 

  11.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n Publishing Co, Seoul, Korea. p. 910 (in Korean). 

  12. Lee, Y.M. and K.S. Lee. 1983. Studies on the ecological habit and tissue culture in dodder plant (Cuscuta sojagena Makino). Institute of Life Science and Natural Resources in Wonkwang University 15:227-250 (in Korean). 

  13. Lee, Y.M. 1984. Studies on the ecological habit in dodder plant (Cuscuta sojagena Makino) (I). Institute of Life Science and Natural Resources in Wonkwang University 16:177-184 (in Korean). 

  14.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s I. K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 975 (in Korean). 

  15.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s II. K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 885 (in Korean). 

  16. Lee, W.T. 1996a.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Korea. p. 624 (in Korean). 

  17. Lee, W.T. 1996b. Lineamenta Forae Korea. Academy Press, Seoul, Korea. p. 1567 (in Korean). 

  18.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Gebruder Borntraeger. Berlin. Band II. p. 666. 

  19. Mue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 Sons Inc, NY. p. 547. 

  20. Park, S.H. 1994. A study on naturalized plants introduced into Korea. Nature Conservation 85:39-50 (in Korean). 

  21. Park, S.H. 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p. 371 (in Korean). 

  22. Park, S.H. 2001.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Appendix). Ilchokak, Seoul, Korea. p. 178 (in Korean). 

  23. Park, S.H. J.H. Shin, Y.M. Lee, J.H. Lim and J.S. Moon. 2002. Distributions of Naturalized Alien Plants i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p. 147 (in Korean). 

  24.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p. 575 (in Korean). 

  25. Raunkiaer, C. 1934.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Charendon Press, Oxford, UK. p. 682 

  26. Runyon, Justin B., Mark C. Mescher and Consuelo M. De Moraes. 2006. Volatile chemical cues guide host location and host selection by parasitic plants. Science 313(5795): 1964-1967. 

  27. Song, S.B., J.S. Lee, J.R. Kang, J.Y. Ko, M.C. Seo, K.S. Woo, B.G. Oh and M.H. Nam. 2010. The growth and yield of soybean as affected by competitive density of Cuscuta pentagona. Korean J. Weed Sci. 30(4):390-395 (in Korean). 

  28. Takematsu, T. and N. Ichizen. 1987. Weeds of the World. Zenkoku Noson Kyoiku Kyokai, Tokyo, Japan. pp. 613-615 (in Japanese). 

  29. USDA. 2011. Natural Resource Conservation Service homepage (http://plants.usda.gov/)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