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한 중국 유학 여대생들의 식습관 변화에 따른 영양 섭취 실태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among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Korea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6 no.2, 2013년, pp.177 - 185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소연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남수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기남 (대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현재 한국의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여대생 114명을 대상으로 중국인 유학생들의 영양소 섭취상태를 조사하고, 중국과 한국에서의 식습관 변화 및 식습관 변화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국인 유학생의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1,586.9{\pm}474.2$ kcal였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구성비는 56 : 14 : 30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대상자의 23.7%가 단백질의 평균필요량에 미치지 못하고 있었고 43%가 권장섭취량에 미만으로 섭취하고 있었다. 엽산의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는 비율은 대상자의 93%였고, 대상자의 60~70%가 칼슘,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_2$, 비타민 C을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중국 유학생의 총 식습관 점수는 $64.3{\pm}9.9$점으로 유학전 $75.9{\pm}9.9$점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p < 0.001), 특히 식사의 규칙성과 균형성, 아침식사 여부 및 단백질 식품, 녹황색 채소와 과일 등의 섭취빈도가 좋지 않은 방향으로 변화되었고, 가공식품의 섭취와 외식의 빈도는 더 많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3) 한국 유학 전 후의 식습관 혹은 식행동 변화 여부에 따른 영양소 섭취 수준을 비교한 결과, 한국에 온 이후 아침 결식률이 높아진 사람들은 단백질, 지방, 칼슘, 비타민 $B_2$ 및 니아신의 섭취량이 낮았고, 또 중국에서 보다 녹황색 채소를 더 적게 먹게 된 경우는 식이섬유소와 비타민 C를, 우유 및 유제품의 경우는 단백질과 칼슘비타민 $B_2$와 비타민 $B_6$를 비롯하여 비타민 E와 엽산을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성인기 식생활과 건강을 결정하는 20대 초반 재한 중국인 여대생들의 경우 바람직하지 않은 식습관과 이로 인한 영양 섭취 상태의 불균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고국을 떠나 낯선 문화에 적응하여야 하는 중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식생활 관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 올바른 식생활의 정립은 심리적, 정서적 건강상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대학생활의 적응과 성공적인 유학생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utritional status of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ir dietary behavior after residing in Korea. The subjects included 114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currently studying in Korea. General characteristic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식품 섭취 실태나 영양 상태에 관한 연구는 행해진 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재한 중국인 여대생들의 영양소 섭취상태를 조사하고자 한다. 또 중국과 한국에서의 식습관 변화 및 식습관 변화에 따른 영양소 섭취의 문제점을 평가하여 재한 유학생들의 생활 습관을 개선하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재한 중국인 여대생들의 영양소 섭취상태를 조사하고자 한다. 또 중국과 한국에서의 식습관 변화 및 식습관 변화에 따른 영양소 섭취의 문제점을 평가하여 재한 유학생들의 생활 습관을 개선하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현재 한국의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여대생 114명을 대상으로 중국인 유학생들의 영양소 섭취상태를 조사하고, 중국과 한국에서의 식습관 변화 및 식습관 변화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현재 한국의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여대생 114명을 대상으로 중국인 유학생들의 영양소 섭취상태를 조사하고, 중국과 한국에서의 식습관 변화 및 식습관 변화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tudy Korea Project이후 급증된 것은 무엇인가? 고등교육 국제화를 위해 2004년부터 교육인적자원부 주관으로 시행된 ‘Study Korea Project’ 이후 외국인 유학생들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2011년 통계자료에 따르면 외국인 유학생의 수는 153,190명에 달하고 그 중에서도 중국인 유학생은 65,271명으로 전체 유학생의 73.
유학생은 어떤 압박감을 겪게 되는가? 1)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몇 가지 연구에서, 중국 유학생들은 문화적 차이로 인한 정서적 문제를 비롯하여 언어 소통 문제, 학업문제, 경제적인 문제, 인관관계 문제 등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 유학생은 비교적 단기간 머물고 본국으로 돌아갈 계획을 갖는다는 점에서 체류자 (sojourner)에 속하고, 가족들과 떨어져 지금까지 생활하던 모국의 환경과 다른 새로운 의식주 환경에서 대학 생활에 적응해야한다는 이민자들과는 또 다른 심리적 압박감을 겪게 된다.2,3)
한국의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여대생114명을 대상으로 중국인 유학생들의 영양소 섭취상태를 조사하고, 중국과 한국에서의 식습관 변화 및 식습관 변화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어떠한가? 본 연구는 현재 한국의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여대생 114명을 대상으로 중국인 유학생들의 영양소 섭취상태를 조사하고, 중국과 한국에서의 식습관 변화 및 식습관 변화에 따른 영양소 섭취상태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국인 유학생의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1,586.9{\pm}474.2$ kcal였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구성비는 56 : 14 : 30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대상자의 23.7%가 단백질의 평균필요량에 미치지 못하고 있었고 43%가 권장섭취량에 미만으로 섭취하고 있었다. 엽산의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는 비율은 대상자의 93%였고, 대상자의 60~70%가 칼슘,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_2$, 비타민 C을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중국 유학생의 총 식습관 점수는 $64.3{\pm}9.9$점으로 유학전 $75.9{\pm}9.9$점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p < 0.001), 특히 식사의 규칙성과 균형성, 아침식사 여부 및 단백질 식품, 녹황색 채소와 과일 등의 섭취빈도가 좋지 않은 방향으로 변화되었고, 가공식품의 섭취와 외식의 빈도는 더 많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3) 한국 유학 전 후의 식습관 혹은 식행동 변화 여부에 따른 영양소 섭취 수준을 비교한 결과, 한국에 온 이후 아침 결식률이 높아진 사람들은 단백질, 지방, 칼슘, 비타민 $B_2$ 및 니아신의 섭취량이 낮았고, 또 중국에서 보다 녹황색 채소를 더 적게 먹게 된 경우는 식이섬유소와 비타민 C를, 우유 및 유제품의 경우는 단백질과 칼슘비타민 $B_2$와 비타민 $B_6$를 비롯하여 비타민 E와 엽산을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성인기 식생활과 건강을 결정하는 20대 초반 재한 중국인 여대생들의 경우 바람직하지 않은 식습관과 이로 인한 영양 섭취 상태의 불균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고국을 떠나 낯선 문화에 적응하여야 하는 중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식생활 관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 올바른 식생활의 정립은 심리적, 정서적 건강상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대학생활의 적응과 성공적인 유학생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inistry of Justice (KR). Immigration service statistics 2011. Gwacheon: Ministry of Justice, IT Planning & Statistics Team; 2011 

  2. Lim C. Acculturative stresses and adjustment element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Korean J Hum Ecol 2009; 18(1): 93- 112 

  3. Kim JM, Lee NH. Analysis of the dietary life of im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Daegu area. J Korean Diet Assoc 2009; 15(4): 405-418 

  4. Lim KL, Kim HK. A prediction model o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mo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1; 17(3): 503-515 

  5. He J, Klag MJ, Wu Z, Qian MC, Chen JY, Mo PS, He QO, Whelton PK. Effect of migration and related environmental changes on serum lipid levels in southwestern Chinese men. Am J Epidemiol 1996; 144(9): 839-848 

  6. Lv N, Cason KL. Dietary pattern change and acculturation of Chinese Americans in Pennsylvania. J Am Diet Assoc 2004; 104 (5): 771-778 

  7. Lee BK, Lee JH. Evaluation of dietary variety by food habit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Nutr 2011; 24(4): 687- 701 

  8. Li Q, Song YW. Analysis of dietary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students from three colleges in Qinghai province. Chin J School Health 2005; 26(2): 1023-1024 

  9. Bae YJ, Kim MH, Yeon JY. Evaluation of dietary zinc, copper, manganese and selenium intak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2): 146-155 

  10. Park JH, Jung JH, Kim HS. Study on dietary habits of college women according to the residence type in Seoul. J Korean Diet Assoc 2011; 17(4): 335-348 

  11. Kim SH, Kim HY, Lyu JE, Chung HW, Hwang JY. Dietary intakes and eating behaviors of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to Korea through marriage and Korean spouses and correlations of their die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1): 22-30 

  12.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Seoul: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13. Story M, Harris LJ. Food preferences, beliefs, and practices of Southeast Asian refugee adolescents. J Sch Health 1988; 58(7): 273-276 

  14. Sakamaki R, Toyama K, Amamoto R, Liu CJ, Shinfuku N. Nutritional knowledge, food habits and health attitude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a cross sectional study. Nutr J 2005; 4: 4 

  15. Kim MH, Lee JC, Bae YJ, Cho HK, Kim MH, Kim EY, Hong WJ, Sung CJ. Nutritional status and diet qual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by living together with or without paren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6; 16(6): 635-645 

  16. Choe JY, Cho MS. Investigation of dietary behaviors according to residence status and ethnic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Yanbian, China. Korean J Food Cult 2012; 27(1): 38-48 

  17. Yim KS. Analysis of nutritional status of Korean-Chinese residing in Korea.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6; 6(1): 9-19 

  18. Choi KS, Shin KO, Huh SM, Chung KH.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physical status according to the residental type among college women in Seoul Women's University and Sahmyook University. Korean J Nutr 2010; 43(1): 86-96 

  19. Chang YK, Oh EJ, Sun YS. A study on the food habit & the health responses of college students to the today health index. J Korean Home Econ Assoc 1988; 26(3): 43-51 

  20. Choi MK, Jun YS, Park MK. A study on eating patterns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by residences of self-boarding and home with parents in Chungnam. J Korean Diet Assoc 2000; 6(1): 9-16 

  21. Gritz ER, Bastani R. Cancer prevention--behavior changes: the short and the long of it. Prev Med 1993; 22(5): 676-688 

  22. Kim KN, Lee K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food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996; 1(1): 89-99 

  23. Kim H, Han SN, Song K, Lee H. Lifestyle, dietary habits and consumption pattern of male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ommercial beverage consumptions. Nutr Res Pract 2011; 5(2): 124-131 

  24. Kim HK, Kim JH. Food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5; 34(9): 1388-13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