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 지식인을 통해 본 한의학 인터넷 건강 상담의 현황
Internet Health Counseling for Korean Medicine in the NAVER Jisik-iN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17 no.1, 2013년, pp.51 - 63  

김윤경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과) ,  임병묵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Internet health counseling in Korean Medicine by analyzing the contents and pattern of the questions and answers in NAVER Jisik-iN. Methods : 1,121 questions answered by Korean Medicine doctors in NAVER Jisik-iN from January 2012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4)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한의학 분야의 인터넷 건강정보, 특히 그 중에서도 주요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 지식인의 한의학 건강 상담 내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 3) 답변 내용을 통해 인터넷 건강 상담이 어떤 패턴으로 이뤄지고,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서치만 질병 행위 단계 모델을 통해 환자들이 어떤 시점에서 인터넷 의료 상담을 이용하는 지를 파악하였다. 1단계인 ‘증상의 지각’ 단계의 상담 글이 가장 많다는 것은 의료 상담에 있어서 당연한 것으로 생각될 수도 있다.
  • 본 연구는 네이버 지식인 한의학 건강 상담의 분석을 통해 인터넷 한의학 건강 상담의 기초 자료를 마련해주고, 더 나아가 의학적으로 정의되는 필요가 아니라 환자가 느끼는 직접적인 필요를 파악하여 더 나은 인터넷 건강 상담이 이루어지게 하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인터넷 건강 상담을 사람들이 찾는 이유가 무엇이고 어떤 방식의 상담이 이뤄지기를 원하는지를 파악하여 인터넷 건강 상담의 질을 높인다면 궁극적으로 의사-환자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여 환자의 의사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이 연구를 통해 한의학 분야의 인터넷 건강 상담의 현황을 파악하고, 연구결과를 실제 임상과 연계시켜 의료소비자들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높일 방안을 모색한다.
  • 20) 이런 의료소비자들의 정보 추구 경향은 전문적인 정보를 가진 의사들과의 소통을 요구하게 되었으며, 진료실에서뿐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도 의사와의 소통이 이뤄지는 인터넷 건강 상담이 활발해지고 있다. 한의학 분야도 이러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본 연구는 네이버 지식인을 바탕으로 한의학 인터넷 건강 상담의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은 서로의 역할과 책임을 규정, 의사는 환자에 대한 책임을 수용하고 환자는 의사에 대한 신뢰를 형성하게 된다는 것이다.2) 또한 환자와 의사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은 치료효과를 높이고, 이는 환자의 만족도와 의사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 재이용, 구전의도를 높일 것이다.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사에 대한 신뢰의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비록 사회자본이 작아도 환자가 소통하고 있고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지 않다면 의사와의 신뢰는 높게 유지된다. 의사소통의 자유를 높게 인식하는 사람들일수록 의사에 대한 신뢰의 수준이 유의하게 높으며, 의사가 가진 기능적 능력, 환자와의 소통가능성, 친절함과 배려 등을 중시하는 사람들일수록 의사에 대한 신뢰의 수준이 유의하게 높다.1)
의료 영역에서 의사에 대한 신뢰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은? 의료 영역에서 개인의 역능성(empowerment)과 의사에 대한 신뢰도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비록 사회자본이 작아도 환자가 소통하고 있고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지 않다면 의사와의 신뢰는 높게 유지된다.
환자는 의사와 의사소통의 장애를 느끼는데 이러한 경우는 어떠한 커뮤니케이션에서 나타나는가? 하지만 환자는 의사와 의사소통을 할 때 다양한 측면의 많은 장애를 느끼고 원활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호소할 수 있다. 이런 의사소통장애는 의사-환자의 위계적이고 수직적인 커뮤니케이션 구조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4) 의사-환자 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의 장애요인으로는 ‘일방적 소통’, ‘권위적 소통’, ‘소통부재’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길용, 조병희. 의사 신뢰의 구성요인. 보건과 사회과학. 2011;29:129-152. 

  2. Daly, M. B., & Hulka, B. S. Talking with the Doctor. Journal of Communication. 1975; 25:148-152. 

  3. 박원필. 환자와 의사 간의 의사소통 관련 요인의 구조적 관계. 경원대학교 대학원의료경영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7. 

  4. 김찬원. 인터넷을 통한 헬스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 

  5. 이병혜. 의사-환자 간의 의사소통 장애요인 인식 차이와 소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2011;19(1):35-54. 

  6. Levy, J. A., & Strombeck, R. Health Benefits and Risks of the Internet. Journal of Medical Systems. 2002;26(6):495-510. 

  7. Baker, L., Wagner, T. H., Singer, S., & Bundorf, M. K. Use of the Internet and E-mail for Health Care Information: Results from a National Survey. JAMA. 2003;189 (18):2400-2406. 

  8. 한국인터넷진흥원. 2007년 하반기 정보화 실태조사 요약보고서. 정보통신부. 2008. 

  9. Suggs, L. S. A 10-Year Retrospective of Research in New Technology for Health Communicatio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2006;11(61):61-74. 

  10. Ostry, A., Young, M. L., & Hughes, M. The Quality of Nutritional Information Available on Popular Websites: A Content Analysis. Health Education Research. 2008; 23(4):648-655. 

  11. HarrisinteractivePoll. The Growing Influence and Use Of Health Care Information Obtained Online(http://www.harrisinteractive .com/NewsRoom/HarrisPolls/tabid/447/ctl/R eadCustom%20Default/mid/1508/ArticleId/86 3/Default.aspx). 2011. 

  12. 옥샘, 오재영, 김상만. 의료정보 웹사이트의 품질이 Offline 의료서비스의 기대 및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2009;10(3):173-201. 

  13. 김찬원, 김석일. 인터넷 건강정보 이용자들 의 건강위험 발생 가능성 및 심각성 요인이 의사결정균형과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07;46(3):115-125. 

  14. 예상준, 장현철, 김상균, 김철, 송미영. 한의학 웹 사이트의 신뢰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09;9(5):189-196. 

  15. Suchman, E. A. Stages of Illness and Medical Care. Journal of Health and Human Behavior. 1965;6(3):114-128. 

  16. InternetTrend(www.internettrend.co.kr) 

  17. 안지영. 인터넷을 통한 건강 상담의 내용 분석. 간호행정학회지. 2000;6(1):83-96. 

  18.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방 의료이용 및 한약 소비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2011. 

  19. Mechanic, D., & E. H. Volkart. Stress, Illness Behavior, and the Sick Rol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961;26:51-58. 

  20. 정영철, 최은진. e-Health 유형분류 및 국내 현황. 보건복지포럼.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