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준화 화병환자를 활용한 한의대생의 진료 및 의사소통 수준연구
A Study about the Medical Communication Proficiency of Korean Traditional Medical Students Using Standardized Patients with Hwa-Byoung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17 no.1, 2013년, pp.163 - 179  

김경옥 (동신대학교 순천한방병원) ,  김희경 (동신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안효자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  신헌태 (동신대학교 한의예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After analyzing the proficiency of medical communication of the students in College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using standardized patients, we suggests ways to improve clinical practice in the future class and medical communi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Methods : 20 students be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문화병인 화병을 표준화 환자로 활용하여 한의대생들의 진료와 의사소통의 수준을 파악하고자 한다. 나아가 한의대학생들의 의료커뮤니케이션 교과과정 개발, 의료면담 훈련 및 임상실습 지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문화병인 화병을 표준화 환자로 활용하여 한의대생들의 진료와 의사소통의 수준을 파악하고자 한다. 나아가 한의대학생들의 의료커뮤니케이션 교과과정 개발, 의료면담 훈련 및 임상실습 지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커뮤니케이션은 어떻게 변화했다고 할 수 있는가? 최근 질병중심이 아닌 환자중심의 의료현장의 변화는 환자들로 하여금 치료에 대한 기대를 넘어 질적인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의료현장에서의 의사소통은 환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기본적인 수단이자 조건1)이기 때문에 의료커뮤니케이션은 더 이상 의료행위의 부차적인 수단이 아니라 환자치료에 필수적 구성요소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로 우리나라에서도 2006년부터 본격적으로 의료커뮤니케이션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고 2010년부터는 의사국가시험에도 포함되었다.
한의대에서 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그러나 아직 한의대에서는 이에 대한 준비기 상태라고 할 수 있다. 한의학의 특성상 의료기기에 의존하기 보다는 환자와의 대화를 통해 환자의 문제를 찾아내고 치료하기 때문에 의사소통에 대한 요구와 필요성은 더 강하다고 할 수 있겠다.
환자중심의 의료현장의 변화가 요구하는 사항은? 최근 질병중심이 아닌 환자중심의 의료현장의 변화는 환자들로 하여금 치료에 대한 기대를 넘어 질적인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의료현장에서의 의사소통은 환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기본적인 수단이자 조건1)이기 때문에 의료커뮤니케이션은 더 이상 의료행위의 부차적인 수단이 아니라 환자치료에 필수적 구성요소라고 할 수 있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upach, W., & Spitzberg, B. H.. A comparison of dispositional and situational measure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West J Speech Commun 1983;47(4):364-379. 

  2. 노용균. "의료커뮤니케이션 교육 현황: 의과 대학/의학전문대학원 중심으로. 대한의료커 뮤니케이션."2009년 봄철학술대회. 

  3. 최윤영, 백대일, 김현덕, 진보형, 배광학. 치과 영역에서 의사와 환자간의 의사소통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7;31:100-101. 

  4. Winefield HR, ChurHansen. A. Evaluating the outcome of communication skill teaching for entry-level medical students: dose knowledge of empathy increase? Med Educ, 2000:34:90-94. 

  5. Ammentorp J, Sabroe S, Kofoed P, Mainz J. The effect of training in communication skills on medical doctors' and nurse' self efficacy: A randomized controlled trail. Patient Educ Couns 2007:66:270-277. 

  6. 채한, 신상우, 장우창, 백유상. 한의과대학(韓 醫科大學)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원전학(原 典學) 논문작성 교수법의 효과 고찰.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08:21(1):285-294. 

  7. DeBourgh, G., & Prion, S.. Using simulation to teach prelicensure nursing students to minimize patient risk and harm.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2011:7 (2):47-56. 

  8. Eom, M. R., Kim, H. S., Kim, E. K., & Seong, K. Y.. Effects of teaching method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nursing competence in subcutaneous inject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0:40: 151-160 

  9. 김종훈. 의학교육과 표준화 환자-교육에서 평가까지-. 인하대학교 출판부. 2010 

  10. Kurz, J., Mahoney, K., Martin-Plank, L., & Lidicker, J..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and advanced practic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009; 25: 186-191. 

  11. Nestel, D., Clark, S., Tabak, D., Ashwell, V., Muir, E., Paraskevas, P., et al. Defining responsibilities of simulated patients in medical education. Simulation in Healthcare, 2010; 5:161-168. 

  12. 박신영, 권영란. 표준화 환자를 적용한 간호 대학생의 정신간호학 실습교육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2012; 21(1) : 79-88. 

  13. Luctkar-Flude, M., Wilson-Keates, B., & Larocque, M. (in press). Evaluating high -fidelity human simulators and standardized patients in an undergraduate health assessment course. Nurse Education Today. 

  14. 전국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 교과서편찬위원회. 한의신경정신과학(증보판). 집문당, 2010; p.3,229,231. 

  15. 신은주. 참여학습과 관찰학습의 실습만족도 및 임상수기술,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8; 19(2):195-207 

  16. 박훈기.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의학교육, Hanyang Medical Reviews. 2012:32(1):36 

  17. 이성은.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모성간호학 실습 학습방법 효과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1;17(1):20-1. 

  18. 유문숙.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에 있어 표준화 환자를 이용한 학습방법의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1;7(1):1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