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곤달비 메탄올 추출물의 진통 효과
Anti-nociceptive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Ligularia stenocephala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4 no.1 = no.172, 2013년, pp.70 - 74  

차동석 (우석대학교 약학대학) ,  전훈 (우석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gularia stenocephala has been widely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lots of diseases such as asthma, arthritis, and jaundic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nocicepitve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 of L. stenocephala (MLS) using various pain models including therm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중추성 통증은 대뇌 피질과 척수가 직접 통증 자극의 주체가 되며 기계적, 열 자극에 의한 통증인 반면, 말초성 통증은 특정 신경 섬유에 인접해 있는 조직에 부분적 손상이 일어남으로써 생기며 염증성, 화학적 자극으로 인한 통증이다.15)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통증모델을 사용하여 곤달비의 중추성 및 말초성 통증에 대한 진통 효과를 조사하였다.
  • 다음으로 opioid 길항제인 naloxone을 전처리를 통해서 곤달비의 진통 효능이 opioid receptor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Tramadol은 naloxone의 전처리에 의해 진통작용이 다소 감소하였으며 이는 tramadol이 부분적으로 opioid recpetor에 영향을 줌과 동시에 다른 기전으로도 진통 효능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곤달비 메탄올 추출물의 진통효능을 알아보았다. Tail immersion test와 hot-plate test의 결과 곤달비는 효과적인 중추성 통증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증이란 무엇입니까? 통증이란 실제적 또는 잠재적 조직 손상에 따라 수반되는 불쾌한 감각적, 정서적 경험을 의미한다.1) 통증의 원인으로는 외상 및 기타 물리적 요인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 면역 반응 및 기관이나 조직에 도달하는 혈류의 이상 등이 있으며, 감각을 전달하는 신경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통증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통증의 원인으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통증이란 실제적 또는 잠재적 조직 손상에 따라 수반되는 불쾌한 감각적, 정서적 경험을 의미한다.1) 통증의 원인으로는 외상 및 기타 물리적 요인에 의한 신경세포 손상, 면역 반응 및 기관이나 조직에 도달하는 혈류의 이상 등이 있으며, 감각을 전달하는 신경자체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통증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인체의 이상상태를 알리는 통증은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는 위협을 감지하여 2차 손상을 방지하거나 그 정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인체의 방어 기전이다.
부작용이 적은 진통제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그러나 통증의 정도가 지나치거나 손상된 조직의 치료가 완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되는 경우 또는 암과 같은 질병으로 기인하거나 원인불명의 만성 통증의 경우에는 인간의 삶의 질을 심각하게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과도하고 지속적인 통증은 효과적으로 조절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진통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아스피린을 포함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는 상부 위장관의 점막 염증과 출혈, 그에 따른 천공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있음이 보고 된 바 있으며 대표적인 opioid계 진통제인 morphine의 경우 중독성과 의존성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중추신경계통의 이상을 초래한다고 보고되고 있다.3,4) 따라서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은 진통제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많은 과학자들이 천연물이 가지고 있는 가능성에 주목하여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며 실제로 다양한 천연물로부터 뛰어난 진통 효능이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IASP (1979) The need of a taxonomy. Pain 6: 247-252. 

  2. Lynn, B., Winlow, W. and Holden, A. V. (1984) The neurobiology of pain: Symposium of the northern neurobiology group. 

  3. Kim, H. J., Chung, W. C., Lee, K. M., Paik, C. N., Jung, S. H., Kim, J. D., Jung, S. H. and Kwak, J. W. (2009) Multiple Gastrointestinal Drug Induced Ulcers Associated with Aspirin an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39: 379-383. 

  4. Soledad, M. C., Hernando, A., Olga, M. and Daniel, B. C. (2004) Addition of ultralow dose naloxone to postoperative morphine PCA : unchanged analgesia and opioid requirement but decreased incidence of opioid side effects. Pain 107: 41-46 

  5. Calixto, J. B, Beirith, A., Ferreira, J., Snatos, A. R., Filho, V. C. and Yunes, R. A. (2000) Naturally occurring antinociceptive substances from plants. phyther Res. 14: 401-418. 

  6. Yaoita, Y., Kikuchi, M. and Machida, K. (2012) Terpenoids and related compounds from plants of the family Compositae (Asteraceae). Nat. Prod. Commun. 7: 533-538. 

  7. Lee, B. I., Nugroho, A., Bachri, M. S., Choi, J., Lee, K. R., Choi, J. S., Kim, W. B., Lee, K. T., Lee, J. D. and Park, H. J. (2010) Anti-ulcerogenic effect and HPLC analysis of the caffeoylquinic acid-rich extract from Ligularia stenocephala. Biol. Pharm. Bull. 33: 493-497. 

  8. Toyoda, K,, Yaoita, Y. and Kikuchi, M. (2005) Three new dimeric benzofuran derivatives from the roots of Ligularia stenocephala MATSUM. et KOIDZ. Chem. Pharm. Bull. 53: 1555-1558. 

  9. Yan, F. L., Wang, A. X. and Jia, Z. J. (2005) Three new polymeric isopropenyl benzofurans from Ligularia stenocephala. Pharmazie., 60: 155-159. 

  10. Lee, D. K., Kim, J. K., Kim, J. S., Park, K. J., Cha, D. S. and Jeon, H. (2012) Inhibitory Effect of Ligularia Stenocephala on the Cancer Metastasis Natural Product Sciences 18: 89-96 

  11. Zimmermann, M. (1983) Ethical guidelines for investigations of experimental pain in conscious animals. Pain 16: 109-110. 

  12. Wang, Y. X., Gao, D., Pettus, M., Phillips, C. and Bowersox, S. S. (2000) Interactions of intrathecally administered ziconotide, a selective blocker of neuronal N-type voltagesensitive calcium channels, with morphine on nociception in Kor. J. Pharmacogn. rats. Pain 84: 271-281. 

  13. Franzotti, E. M., Santos, C. V., Rodrigues, H. M., Mourao, R. H., Andrade, M. R. and Antoniolli, A. R. (2000) Anti-inflammatory, analgesic activity and acute toxicity of Sida cordifolia L. (Malva-branc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72: 273-277 

  14. Santos, A. R. S. and Calixto, J. B. (1997) Further evidence for the involvement of tachykinin receptor subtypes in formalin and capsaicin models of pain in mice. Neuropeptides 31: 381-389 

  15. Li, S. and Tator, C. H. (2000) Action of locally administered NMDA and AMPA/kainate receptor antagonists in spinal cord injury. Neurological Research 22: 171-180. 

  16. Fukawa, K., Kawano, O., Hibi, M., Misaki, N., Ohba, S. and Hatanaka, Y. (1980) A method for evaluating analgesic agents in rats. J Pharmacol Methods 4: 251-259. 

  17. Derardt, R., Jougney, S., Delevalcee, F. and Falhout, M. (1980) Release of prostaglandins E and F in an algogenic reaction and its inhibition.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51: 17-24. 

  18. Bley, K. R., Hunter, J. C., Eglen, R. M. and Smith, J. A. (1998) The role of IP prostanoid receptors in inflammatory pain. Trends Pharmacol. Sci. 19: 141-147. 

  19. Hunskaar, S., Fasmer, O. B. and Hole K. (1985) Formalin test in mice, a useful technique for evaluating mild analgesics. Journal of Neuroscience Methods 14: 69-76. 

  20. Amaral, J. F., Silva, M. I. G., Neto, M. R. A., Neto, P. F. T., Moura, B. A., Melo, C. T. V., Araujo , F. L. O., DeSousa, D. P., Vasconcelos, P. F., Vasconcelos, S. M. and Sousa, F. C. F. (2007) Antinociceptive effect of the monoterpene R-(-)- limoneneinmice. Biol. Pharm. Bull. 30: 1217-1220. 

  21. Vontagu, H., Abbah, J., Nagazal, I. E., Kunle, O. F., Chindo, B. A., Otsapa, P. B. and Gamaniel, KS. (2004)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Parinari polyandra stem bark in rats and mic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90: 115-121. 

  22. Yalcin, I. and Aksu, F. (2005) Involvement of potassium channels and nitric oxide in tramadol antinociception. Pharmacol Biochem Behav. 80: 69-7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