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곤달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Adipogenic Effect of Ligularia stenocephala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0 no.6, 2017년, pp.1292 - 1298  

서동연 (경성대학교 식품응용공학부) ,  천원영 (경성대학교 식품응용공학부) ,  김영화 (경성대학교 식품응용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activities of Ligularia stenocephala (L. stenocephala) extract. The contents of the total polyphenol of the extract was 55.950 mg GAE/g residue. Antioxidant activities of L. stenocephala were evaluated by free radical sca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 나 현재까지 곤달비에 의한 항비만 및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 식물인 곤달비의 과학적인 기초자료 확보 및 생리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항산화 및 지방세포 분화 억제에 대한 실험 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곤달비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효과에 대한 연구를 위해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 활성 및 지방전 구세포의 지방구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곤달비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55.
  • 따라서 지방구 형성과 관련이 있는 PPARγ, C/EBPα, aP2 등의 발현을 억제하여 비만을 조절하기 위한 천연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Yun JW 2010).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곤달비 추출물이 지방세포분화 전사인자의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내에 과축적된 활성산소가 유발하는 질환은 무엇인가? 에너지 생산과정에서 산소를 이용하는 생명체들은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높은 반응성을 가지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만들게 된다. 체내에 과축적된 활성산소는 세포의 손상을 야기하여 암, 제2형 당뇨병 및 염증성 질환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Wiseman & Halliwell 1996). 식물체들은 외부 환경적 요인에 대한 반응 및 생장 활동의 부산물에 대한 방어기작으로 quercetin,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등과 같은 페놀성 화합물을 포함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식물체 유래의 생리활성물질을 통한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Hollman 등 1997; Kondo 등 1999; Miean & Mohamed 2001).
곤달비의 효능은 무엇인가? 곤달비(Ligularia stenocephala)는 국화과의 여러 해살이 식물로서 동양에서 잎은 식용작물로, 전초와 뿌리는 부인병 치 료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또한, 최근 연구에서 곤달비는 항산화 및 항염증 인자를 조절하여 염증성 장 질환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Debnath 등 2017). 곤달비와 같은 국화과 작물인 곰취(Ligularia fischeri)와 참취 (Aster scaber thunb.
지방형성의 주요 조절인자가 지방형성에 관여하는 기작은? 지방세포 분화의 전사인자인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PPARγ), CCAT-enhancer-binding protein α(C/EBPα) 는 지방형성의 주요 조절인자로 알려져 있다(James & Kim 2000). CCAT-enhancer-binding proteins(C/EBPs) 6종류 중 C/ EBPβ와 δ는 지방형성 초기에 발현량이 증가되어 지방형성을 조절하며, 분화진행 과정 중 C/EBPδ 발현량이 감소하고, C/EBPβ의 영향으로 C/EBPα와 PPARγ의 발현량의 증가로 인해 지방형성이 진행된다고 알려져 있다(Farmer SR 2006). 또한, 이러한 전사인자로 인한 adipose-specific 유전자인 adipocyte protein 2(aP2)의 발현이 유도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hn HC, Chung L, Choe EO. 2015.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and ${\alpha}$ -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of several Korean sanchae. Korean J Food Sci Technol 47:164-169 

  2. Bae JH, Yu SO, Kim YH, Chon SU, Kim BW, Heo BG. 2009. Physiologic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and their hyperplasia inhibition activity of cancer cell. J Bio-Environ Control 18:67-73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4. Chang EH, Jeong SM, Park KS, Lim BS. 2013.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and trans-resveratrol in different parks of Korean new grape cultiv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708-713 

  5. Cho ML, Lee JS, Lee SR, Son YK, Bae CH, Yeo JH, Lee HS, Ma JG, Lee OH, Kim JY. 2015. Antioxidant activity of 11 species in Korean native forest plants. Korean J Food Nutr 28:1098-1106 

  6. Choi JH, Park YH, Lee IS, Lee SP, Yu MH. 2013.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356-363 

  7. Coskun O, Kanter M, Korkmaz A, Oter S. 2005. Quercetin, a flavonoid antioxidant, prevents and protects streptozotocininduced oxidative stress and ${\beta}$ -cell damage in rat pancreas. Pharmacol Res 51:117-123 

  8. Dai J, Muper RJ. 2010. Plant phenolics: Extraction, analysis and their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Molecules 15: 7313-7352 

  9. Debnath T, Kim EK, Debnath NC, Lee KG. 2017. Therapeutic effects of Ligularia stenocephala against inflammatory bowel disease by regulating antioxidant and inflammatory mediators. Food Agric Immunol 28:1142-1154 

  10. Farmer SR. 2006. Transcriptional control of adipocyte formation. Cell Metab 4:263-273 

  11.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oho-molybdic compounds as colour reagents. J Biol Chem 12:239-249 

  12. Guo XX, Liu J, Cai SB, Wang O, Ji BP. 2016. Synergistic interactions of apigenin, naringin, quercetin and emodin on inhibition of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pancreas lipase activity. Obes Res Clin Pract 10:327-339 

  13. Ha YM, Park HJ. 2012.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selfrated health in Korean males and females. J Korean Biol Nurs Sci 14:203-211 

  14. Han YK, Song MY, Hwang MS, Hwang JH, Park YK, Jung HW. 2016. Epimedium koreanum Nakai and its main constituent icariin suppress lipid accumulation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Chin J Nat Med 14:671-676 

  15. Hollman PC, van Trijp JM, Buysman MN, vd Gaag M, Mengelers MJ, de Vries JH, Katan MB. 1997. Relative bioavailability of the antioxidant flavonoid quercetin from various foods in man. FEBS Lett 418:152-156 

  16. James MN, Kim YC. 2000.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gene expression. J Nutr 130:3122S-3126S 

  17. Joo NS, Park YW, Park TS, Shin GH, Park RW, Kim BT. 2008. Medical cost and hospital visit by obesity and central obesity. Korean J Obes 17:91-98 

  18. Jung HK, Sim MO, Jang JH, Kim TM, An BK, Kim MS, Jung WS. 2016. Anti-obesity effects of Puecedanum japonicum Thunberg L. on 3T3-L1 cells and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Korean J Plant Res 29:1-10 

  19. Kondo K, Kurihara M, Miyata N, Suzuki T, Toyoda M. 1999. Scavenging mechanisms of (-)-epigallocatechin gallate and (-)-epicatechin gallate on peroxyl radicals and formation of superoxide during the inhibitory action. Free Radic Biol Med 27:855-863 

  20. Lee DB, Park HY, Kim SH, Park YH, Bang MH, Imm JY. 2015. Anti-adipogenic effect of oat hull extract containing tricin on 3T3-L1 adipocytes. Process Biochem 50:2314-2321 

  21. Miean KH, Mohamed S. 2001. Flavonoid (myricetin, quercetin, kaempferol, luteolin, and apigenin) content of edible tropical plants. J Agric Food Chem 49:3106-3112 

  22. Nam YJ, Lee DU. 2013. Biological effect of the leaves and roots of Ligularia stenocephala. Life Sci 23:1381-1387 

  23. Ogden CL, Carroll MD, Kit BK, Flegal KM. 2014. Prevalence of childhood and adult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2011-2012. J Am Med Assoc 311:806-814 

  24. Prior RL, Wu X, Schaich K. 2005. Standardized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in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J Agric Food Chem 53:4290-4302 

  25.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1231-1237 

  26. Scalbert A, Williamson G. 2000. Dietary intake and bioavailability of polyphenols. J Nutr 130:2073S-2085S 

  27. Storch J, Thumser AE. 2000. The fatty acid transport function of fatty acid-binding proteins.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486:28-44 

  28. Suh JT, Choi EY, Yoo DL, Kim KD, Lee JN, Hong SY, Kim SJ, Nam JH, Han HM, Kim MJ. 2015. Comparative study of biological activities at different harvesting times and new varieties for highland culture of Gom-chwi. Korean J Plant Res 29:391-399 

  29. Tontonoz P, Hu E, Graves RA, Budavari AI, Spiegelman BM. 1994. mPPAR gamma 2: Tissue-specific regulator of an adipocyte enhancer. Genes Dev 8:1224-1234 

  30. Toyoda K, Yaoita Y, Kikuchi M. 2006 Constituents of the leaves and roots of Ligularia stenocephala Matsum. et Koidz. J Nat Med 60:329-330 

  31. Wang MF, Li JG, Rangarajan M, Shao Y, LaVoie EJ, Huang TC, Ho CT. 1998.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from Sage (Salvia officinalis). J Agric Food Chem 46:4869-4873 

  32. Wee JH, Sung HM, Jung KO, Kim SJ, Shin YR, Park JH, Kim JD. 2015. Anti-adipogenic effects of the water extracts of defatted green tea seed cake. Korean J Food Sci Technol 47:525-533 

  33. Wiseman H, Halliwell B. 1996. Damage to DNA by reactive oxygen and nitrogen species: Role in inflammatory disease and progression to cancer. Biochem J 313:17-29 

  34. Yan FL, Wang A, Jia ZJ. 2005. Three new polymeric isopropenyl benzofurans from Ligularia stenocephala. Pharmazie 60: 155-159 

  35. Yan FL, Wang A, Jia ZJ. 2004. New phenol derivatives from Ligularia stenocephala. J Chem Res 2004:742-743 

  36. Yan FL, Wang A, Jia ZJ, He L. 2003. A new isopropenyl benzofuran-type tetramer from Ligularia stenocephala. Chin Chem Lett 14:1253-1254 

  37. Yun JW. 2010. Possible anti-obesity therapeutics from natture - A review. Phytochemistry 71:1625-16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