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코올성 위염 동물 모델에서 작두콩 추출물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Canavalia gladiata on Gastric Inflammation Induced by Alcohol Treatment in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5, 2013년, pp.690 - 696  

김옥경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  남다은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  유양희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우진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정민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는 작두콩 추출물의 투여가 알코올 처리로 유발된 위염 동물모델에서 위 점막 손상, 위액분비, 염증성 인자 발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후 위장 보호 효과의 기능성을 입증시켜 기능성 식품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작두콩 80% 알코올 추출물을 투여한 그룹에서 알코올성 위염을 유발시킨 그룹에 비하여 위 점막 손상과 출혈이 감소하였음을 관찰하였으며 위 손상면적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위액분비량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알코올성 위염으로 인하여 증가한 위액분비량을 작두콩 80% 알코올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조직의 병리학적인 관찰을 통하여 효과를 관찰한 결과 알코올성 위염을 유발한 군에서 위 점막조직의 손상과 표면 상피세포의 손실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작두콩 80% 알코올 추출물 250 및 500 mg/kg 투여한 군들에서는 알코올성 위염 그룹과 비교하여 손상이 깊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BARS 양으로 산화적 손상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작두콩 80% 알코올 추출물 500 mg/kg을 투여한 그룹에서 알코올성 위염으로 인하여 증가된 산화적 손상을 대조물질 lansoprazole 30 mg/kg 투여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정도로 감소시켰음을 확인하였다. 염증 관련인자인 COX-2와 NF-${\kappa}B$의 발현을 비교한 결과, 알코올성 위염을 유발시킨 시험대조군에서 정상대조군보다 COX-2와 NF-${\kappa}B$의 발현이 확연히 증가한 반면 대조물질 lansoprazole 30 mg/kg 투여한 그룹에서는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작두콩 80% 알코올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시험대조군에 비해 미비한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작두콩 80% 알코올 추출물의 알코올성 위염 예방 효과는 형태학적 및 병리학적 관찰, 산화적 손상 억제, 염증억제효과 등으로 확인한 결과, 알코올성 위염을 억제시켰으며 이는 저용량 보다는 고용량을 섭취하였을 때 그 보호효과가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extracts from Canavalia gladiata (CGE) on gastric inflammation induced by alcohol treatment in SD rats.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G1 (normal group), G2 (gastric inflammation induced by alcohol), G3 (gastric inflamm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는 작두콩 추출물의 투여가 알코올 처리로 유발된 위염 동물모델에서 위 점막 손상, 위액 분비, 염증성 인자 발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위장 보호 효과의 기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는 작두콩 추출물의 투여가 알코올 처리로 유발된 위염 동물모델에서 위 점막 손상, 위액 분비, 염증성 인자 발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후 위장 보호 효과의 기능성을 입증시켜 기능성 식품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작두콩 80% 알코올 추출물을 투여한 그룹에서 알코올성 위염을 유발시킨 그룹에 비하여 위 점막 손상과 출혈이 감소하였음을 관찰하였으며 위 손상면적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코올성 위염으로 인한 위 손상은 어떤 요인에 의하여 일어나는가? 알코올성 위염은 위 점막 보호물질 감소, 산화적 스트레스, 히스타민 분비의 증가 등에 의한 위 손상이 염증을 악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6). 하지만 아직 알코올에 의한 위염 발생의 분자학적인 기전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규명이 되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특이적 치료방법도 없는 실정이다.
위염 발생의 원인은? 위염은 위 점막 염증성 질환을 총칭하는 것으로 Helicobacter pylori균 감염, NSAID(non-steroid anti-inflammatory drugs), 스트레스, 알코올 등에 의해 위 점막을 보호하는 방어인자와 손상시키는 공격인자 사이의 균형이 깨져 발생이 된다(1,2). 위 점막을 손상시키는 공격인자의 하나인 알코올 과다 섭취는 위장의 출혈과 염증발생을 유발시켜 급성위염을 일으킬 수 있다(3).
중국에서 작두콩은 어떤 효능으로 기록되어 있는가? 작두콩은 콩과의 한해살이 덩굴성식물로서 남쪽지방에 잘 자라며 한방에서는 도두(刀豆) 또는 협검두(挾劍豆)라고 한다. 중국의 <본초강목>이나 <본초비요> 같은 의학책에는 장, 위를 보하고 속을 따뜻하게 하며 신장의 기능을 돕고 원기를 보하는 약효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17,18). 이러한 작두콩의 위장 보호에 대한 기록과 항산화 관련 연구를 통하여 알코올성 위염으로부터 위장 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ay HH, Grindle KM, Magness RR. 2000. Ethanol exposure induces oxidative stress and impairs nitric oxide availability in the human placental villi: a possible mechanism of toxicity. Am J Obstet Gynecol 182: 682-688. 

  2. Bilici D, Suleyman H, Bano?lu ZN, Kiziltunc A, Avci B, Ciftcioglu A, Bilici S. 2002. Melatonin prevents ethanol-induced gastric mucosal damage possibly due to its antioxidant effect. Dig Dis Sci 47: 856-861. 

  3. Silva MI, Moura BA, Neto MR, Tome Ada R, Rocha NF, de Carvalho AM, Macedo DS, Vasconcelos SM, de Sousa DP, Viana GS, de Sousa FC. 2009. Gastroprotective activity of isopulegol on experimentally induced gastric lesions in mice: investigation of possible mechanisms of action. Naunyn Schmiedebergs Arch Pharmacol 380: 233-245. 

  4. Bujanda L. 2000. The effects of alcohol consumption upo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m J Gastroenterol 95: 3374-3382. 

  5. Szabo S, Trier JS, Brown A, Schnoor J. 1985. Early vascular injury and increased vascular permeability in gastric mucosal injury caused by ethanol in the rat. Gastroenterology 88: 228-236. 

  6. Liu ES, Cho CH. 2000. Relationship between ethanol-induced gastritis and gastric ulcer formation in rats. Digestion 62: 232-239. 

  7. Bagchi D, Carryl OR, Tran MX, Krohn RL, Bagchi DJ, Garg A, Bagchi M, Mitra S, Stohs SJ. 1998. Stress, diet and alcohol- induced oxidative gastrointestinal mucosal injury in rats and protection by bismuth subsalicylate. J Appl Toxicol 18: 3-13. 

  8. Hogg N, Darley-Usmar VM, Wilson MT, Moncada S. 1992. Production of hydroxyl radicals from the simultaneous generation of superoxide and nitric oxide. Biochem J 15: 419-424. 

  9. Hernandez-Munoz R, Montiel-Ruiz C, Vazquez-Martinez O. 2000. Gastric mucosal cell proliferation in ethanol-induced chronic mucosal injury is related to oxidative stress and lipid peroxidation in rats. Lab Invest 80: 1161-1169. 

  10. Guo JS, Cho CH, Wang JY, Koo MW. 2006. Differential effects of selective and non-selective inhibi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on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cyclooxygenase- 2 during gastric ulcer healing. Eur J Pharmacol 536: 301-308. 

  11. Kojima M, Morisaki T, Izuhara K, Uchiyama Y, Matsunari Y, Katano M, Tanaka M. 2000. Lipopolysaccharide increases cyclo-oxygenase-2 expression in a colon carcinoma cell line through nuclear factor- ${\kappa}B$ activation. Oncogene 19: 1225-1231. 

  12. Shen HM, Tergaonkar V. 2009. NF ${\kappa}B$ signaling in carcinogenesis and as a potential molecular target for cancer therapy. Apoptosis 14: 348-363. 

  13. La Casa C, Villegas I, Alarcon de la Lastra C, Motilva V, Martin Calero MJ. 2000. Evidence for protective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rutin, a natural flavone, against ethanol induced gastric lesions. J Ethnopharmacol 71: 45-53. 

  14. Masteikova R, Muselik J, Bernatoniene J, Majiene D, Savickas A, Malinauskas F, Bernatoniene R, Peciura R, Chalupova Z, Dvorackova K.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tinctures prepared from hawthorn fruits and motherwort herb. Ceska Slov Farm 57: 35-38. 

  15. Lee JH, Lee SR. 1994.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in Korean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310-316. 

  16. Kim JP, Yang YS, Kim JH, Lee HH, Kim ES, Moon YW, Kim JY, Chung JK. 2012. Chemical propertie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sword bean (Canavalia gladiata)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441-446. 

  17. Joo SJ, Choi KJ, Kim KS, Lee JW, Park SJ. 2012. Characteristics of yogurt prepared with 'Jinpum' bean and sword bean (Canavalin gladiata).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308-312. 

  18. Cho YS, Bae YI, Shim KH. 1999. Chemical components in different parts of Korean sword bean (Canavalia gladiata).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475-480. 

  19. Park JH, Park YH, Seok SH, Cho SA, Kim DJ, Lee HY, Kim SH, Park JH. 2004. Suppurative gastritis in BALB/c mice infected with Listeria monocytogenes via the intragastric route. J Comp Pathol 130: 130-136. 

  20. Gazzieri D, Trevisani M, Springer J, Harrison S, Cottrell GS, Andre E, Nicoletti P, Massi D, Zecchi S, Nosi D, Santucci M, Gerard NP, Lucattelli M, Lungarella G, Fischer A, Grady EF, Bunnett NW, Geppetti P. 2007. Substance P released by TRPV1-expressing neurons produces reactive oxygen species that mediate ethanol-induced gastric injury. Free Radic Biol Med 43: 581-589. 

  21. Liu YZ, Zhou Y, Li D, Wang L, Hu GY, Peng J, Li YJ. 2008. Reduction of asymmetric dimethylarginine in the protective effects of rutaecarpine on gastric mucosal injury. Can J Physiol Pharmacol 88: 675-681. 

  22. Olaleye SB, Adaramoye OA, Erigbali PP, Adeniyi OS. 2007. Lead exposure increases oxidative stress in the gastric mucosa of HCl/ethanol-exposed rats. World J Gastroenterol 13: 5121-5126. 

  23. Kahraman A, Erkasap N, Koken T, Serteser M, Aktepe F, Erkasap S. 2003. The antioxidative and antihistaminic properties of quercetin in ethanol-induced gastric lesions. Toxicology 183: 133-142. 

  24. Kwiecie? S, Brzozowski T, Konturek SJ. 2002. Effects of reactive oxygen species action on gastric mucosa in various models of mucosal injury. J Physiol Pharmacol 53: 39-50. 

  25. Jonsson AS, Palmblad JE. 2001. Effects of ethanol on NF- ${\kappa}B$ activation, production of myeloid growth factors, and adhesive events in human endothelial cells. J Infect Dis 184:761-769. 

  26. Brown JR, DuBois RN. 2004. Cyclooxygenase as a target in lung cancer. Clin Cancer Res 10: 4266-4269. 

  27. Giercksky KE. 2001. COX-2 inhibition and prevention of cancer. Best Pract Res Clin Gastroenterol 15: 821-833. 

  28. Jainu M, Devi CS. 2006. Gastroprotective action of Cissus quadrangularis extract against NSAID induced gastric ulcer: role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oxidative damage. Chem Biol Interact 161: 262-270. 

  29. Cho YS, Seo KI, Shim KH. 2000. Antimicrobial activities of Korean sword bean (Canavalia gladiata) extract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113-1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