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흑삼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통한 염산/에탄올로 유발된 위염 억제 작용
Inhibitory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of Black Ginseng on HCl/Ethanol-Induced Acute Gastritis through Anti-Oxidant Effec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9, 2016년, pp.1249 - 1256  

김민영 (대구한의대 한의학과) ,  권오준 (경북지역사업평가단) ,  노정숙 (동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노성수 (대구한의대 한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삼을 9회 증숙 및 건조 과정 후 제조한 흑삼의 항산화 효과급성위염 유발 모델에서 점막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증숙 횟수별 추출한 시료를 통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백삼과 흑삼의 증숙 횟수에 따른 추출물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백삼과 비교하여 흑삼 추출물에서 모두 유효성분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9회 반복 과정을 거친 BG군에서 가장 높은 성분 함량을 보였다. 또한, 항산화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된 DPPH, ABTS free radical 소거 활성에서도 BG군의 억제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페놀총플라보노이드의 함량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백삼과 9번 증숙 과정을 거친 흑삼을 HCl/에탄올로 유도한 급성위염 마우스에 투여한 결과 BG군에서 위 점막의 손상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또한 백삼과 비교하여 9회 증숙한 흑삼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혈액에서 측정한 활성산소종의 수치에서도 대조군과 비교하여 9회 증숙 흑삼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백삼과 비교하여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산화적 스트레스의 증가로 발생한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에서도 COX-2, TNF-${alpha}$와 IL-6의 경우 대조군보다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백삼과 비교하여도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그러므로 9회 증숙한 흑삼에서는 백삼과 비교하여 유효성분 함량의 증가가 발생하여 뛰어난 항산화력을 보이고, 이에 따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시키므로 9회 증숙한 흑삼은 항산화 효과에 따른 급성위염 유발모델에서 점막 보호 효과가 있다고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lack ginseng (BG) obtained by a 9-fold steaming process of Panax ginseng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oxidative, anti-obesity, and anti-diabetes effects. The current study evaluated the protective effect of BG by steaming time in an HCl/ethanol-induced acute gastritis model. BG was divided into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증숙 횟수에 따른 흑삼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 증숙 횟수가 증가할수록 항산화능이 더욱 증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17-19).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증숙 횟수별 흑삼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능의 변화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위염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에탄올-염산으로 유도된 급성위염 동물 모델에 백삼과 흑삼을 투여하여 흑삼의 항산화 효과를 통한 위염 보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All values are mean±SD of three replications.
  • 2)All values are mean±SD of three replications.
  • 2)ND: not detected.
  • 3)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흑삼이 갖는 효능 중 백삼, 홍삼보다 뛰어난 효능은? 인삼은 증숙 과정 중 조사포닌 함량의 변화가 없었지 만, Rb1, Rb2, Rc, Rd, Re, Rg1 등은 가공 후 감소하였고 Rg3, Rk1 등은 가공 후 증가하는 등 일부 성분의 화학적 변화로 새로운 성분이 생성되거나 성분 함량의 변화가 보고되고 있다(13). 특히 흑삼은 기존의 백삼이나 홍삼과 비교하였을 때 뛰어난 항비만 및 항당뇨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고되었다(14-16). 또한, 증숙 횟수에 따른 흑삼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 증숙 횟수가 증가할수록 항산화능이 더욱 증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17-19).
흑삼이란? 흑삼(black ginseng)은 백삼을 한약재의 가공법 중 하나인 구증구포(九蒸九曝)의 원리로 찌고 건조하는 것을 9회 반복하여 검은 색이 나도록 제조된 가공인삼의 한 종류이다 (12). 인삼은 증숙 과정 중 조사포닌 함량의 변화가 없었지 만, Rb1, Rb2, Rc, Rd, Re, Rg1 등은 가공 후 감소하였고 Rg3, Rk1 등은 가공 후 증가하는 등 일부 성분의 화학적 변화로 새로운 성분이 생성되거나 성분 함량의 변화가 보고되고 있다(13).
위염 예방식품으로 알려진 양배추는 어떻게 위를 보호하는가? 위염 예방식품으로 무와 양배추 등이 알려져 있는데, 무는 위 점액 분비 증진 및 체내 항산화 물질인 비단백 sulfhydryl 화합물 분비를 증가시킴으로써 위염 지수를 낮추었다고 알려졌다(10). 또한, 양배추는 항소화성 궤양인자인 S-methylmethionine sulfonium chloride에 의한 위 점막 분비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을 촉진하여 위 점막 방어능력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9,11). 이처럼 위염과 산화적 스트레스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항산화 효과를 가진 식품을 섭취하였을 경우 위염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Shay H. 1945. A simple method for the uniform production of gastric ulceration in the rat. Gastroenterology 5: 43-61. 

  2.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4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s. http://stat.kosis.kr/statHtml_host/statHtml.do?orgId350&tblIdDT_35001_A0790111&dbUserNSI_IN_350 (accessed Dec 2015). 

  3. Vestergaard P, Rejnmark L, Mosekilde L. 2006. Proton pump inhibitors, histamine $H_2$ receptor antagonists, and other antacid medications and the risk of fracture. Calcif Tissue Int 79: 76-83. 

  4. Haga Y, Nakatsura T, Shibata Y, Sameshima H, Nakamura Y, Tanimura M, Ogawa M. 1998. Human gastric carcinoid detected during long-term antiulcer therapy of $H_2$ receptor antagonist and proton pump inhibitor. Dig Dis Sci 43: 253-257. 

  5. Anandan R, Rekha RD, Saravanan N, Devaki T. 1999. Protective effects of Picrorrhiza kurroa against HCl/ethanol-induced ulceration in rats. Fitoterapia 70: 498-501. 

  6. Zheng YF, Xie JH, Xu YF, Liang YZ, Mo ZZ, Jiang WW, Chen XY, Liu YH, Yu XD, Huang P, Su ZR. 2014. Gastroprotective effect and mechanism of patchouli alcohol against ethanol, indomethacin and stress-induced ulcer in rats. Chem Biol Interact 222: 27-36. 

  7. Pihan G, Regillo C, Szabo S. 1987. Free radicals and lipid peroxidation in ethanol-or aspirin-induced gastric mucosal injury. Dig Dis Sci 32: 1395-1401. 

  8. del Valle JC, Salvatella M, Rossi I, Andrade R, Gutierrez Y, Pereda C, Samper B, Feliu JE. 2001. Impairment of $H^+$ - $K^+$ -ATPase-dependent proton transport and inhibition of gastric acid secretion by ethanol.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80: G1331-G1340. 

  9. de Carvalho CA, Fernandes KM, Matta SLP, da Silva MB, de Oliveira LL, Fonseca CC. 2011. Evaluation of antiulcerogenic activity of aqueous extract of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cabbage) on Wistar rat gastric ulceration. Arq Gastroenterol 48: 276-282. 

  10. Alqasoumi S, Al-Yahya M, Al-Howiriny T, Rafatullah S. 2008. Gastroprotective effect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on experimental gastric ulcer models in rats. Farmacia 56: 204-214. 

  11. Serafini M, Bellocco R, Wolk A, Ekstrom AM. 2002. Total antioxidant potential of fruit and vegetables and risk of gastric cancer. Gastroenterology 123: 985-991. 

  12. Nam KY. 2005. The comparative understanding between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s, processed ginsengs (Panax ginseng C. A. Meyer). J Ginseng Res 29: 1-18. 

  13. Nam KY, Lee NR, Moon BD, Song GY, Shin HS, Choi JE. 2012. Changes of ginsenosides and color from black ginsengs prepared by steaming-drying cycles. Korean J Med Crop Sci 20: 27-35. 

  14. Kim SN, Kang SJ. 2009. Effects of black ginseng (9 timessteaming ginseng) on hypoglycemic action and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ginsenosides on the steaming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77-81. 

  15. Kang SJ, Kim AJ. 2011. Anti-diabetic effect of black ginseng in C57BLKS/J-db/db mice. Korean J Food Nutr 24: 770-776. 

  16. Park HJ, Kim AJ, Cheon YP, Lee M. 2015. Anti-obesity effect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black gins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314-323. 

  17. Kim HJ, Lee JY, You BR, Kim HR, Choi JE, Nam KY, Moon BD, Kim MR. 2011.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black ginseng prepared by steaming-drying cycl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56-162. 

  18. Yun BS, Lee MR, Oh CJ, Cho JH, Wang CY, Gu LJ, Mo EK, Sung CK. 2010. Characterization of black ginseng extract with acetyl- and butyrylcholin-esterase inhibi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J Ginseng Res 34: 348-354. 

  19. Lee SR, Kim MR, Yon JM, Baek IJ, Park CG, Lee BJ, Yun YW, Nam SY. 2009. Black ginseng inhibits ethanol-induced teratogenesis in cultured mouse embryos through its effects on antioxidant activity. Toxicol In Vitro 23: 47-52. 

  20. Velioglu YS, Mazza G, G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21. Lister CE, Lancaster JE, Sutton KH, Walker JRL. 1994.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and composition of flavonoids in skin of a red and a green apple cultivar. J Sci Food Agric 64: 155-161. 

  22. Kooy NW, Royall JA, Ischiropoulos H, Beckman JS. 1994. Peroxynitrite-mediated oxidation of dihydrorhodamine 123. Free Radic Biol Med 16: 149-156. 

  23. Shin SH, Shin YO, Lee JY, Lee AR, Kim MY, Park CH, Seo BI, Roh SS. 2015. Ethanol-heated processed Scutellariae Radix improve inflammatory response through an inhibitory effect against oxidative stress in mice with the lipopolysaccharide-induced intestine injury of mice. Kor J Herbol 30: 81-88. 

  24. Boo HO, Lee HH, Lee JW, Hwang SJ, Park SU. 2009. Different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L. according to cultivars. Korean J Med Crop Sci 17: 15-20. 

  25. Xie JT, Shao ZH, Vanden Hoek TL, Chang WT, Li J, Mehendale S, Wang CZ, Hsu CW, Becker LB, Yin JJ, Yuan CS. 2006. Antioxidant effects of ginsenoside Re in cardiomyocytes. Eur J Pharmacol 532: 201-207. 

  26. Choi SR, You DH, Kim JY, Park CB, Ryu J, Kim DH, Eun JS. 2008.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Korean J Med Crop Sci 16: 112-117. 

  27.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28. Chung IM, Lim JJ, Ahn MS, Jeong HN, An TJ, Kim SH. 2016. Comparative phenolic compound profile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fruit, leaves, and root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Meyer) according to cultivation years. J Ginseng Res 40: 68-75. 

  29. Kim YC, Hong HD, Rho J, Cho CW, Rhee YK, Yim JH. 2007. Changes of phenolic acid cont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ginseng according to steaming times. J Ginseng Res 31: 230-236. 

  30. Kim SJ, Kim YG, Park KY. 2015. Inhibitory effects of ginger and processed (Beopje) ginger extracts on HCl-ethanol induced gastriti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528-1533. 

  31. Mei B, Wang YF, Wu JX, Chen WZ. 1994. Protective effects of ginsenosides on oxygen free radical induced damages of cultured vascular endothelial cells in vitro. Yao Xue Xue Bao 29: 801-808. 

  32. Amellal M, Bronner C, Briancon F, Haag M, Anton R, Landry Y. 1985. Inhibition of mast cell histamine release by flavonoids and biflavonoids. Planta Med 51: 16-20. 

  33. Lee BI, Nugroho A, Bachri MS, Choi J, Lee KR, Choi JS, Kim WB, Lee KT, Lee JD, Park HJ. 2010. Anti-ulcerogenic effect and HPLC analysis of the caffeoylquinic acid-rich extract from Ligularia stenocephala. Biol Pharm Bull 33: 493-497. 

  34. Alrashdi AS, Salama SM, Alkiyumi SS, Abdulla MA, Hadi AH, Abdelwahab SI, Taha MM, Hussiani J, Asykin N. 2012. Mechanisms of gastroprotective effects of ethanolic leaf extract of Jasminum sambac against HCl/ethanol-induced gastric mucosal injury in rats. J Evid Based Complementary Altern Med 2012: 7864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