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골관절염 실험모델에서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골관절염 억제효과 연구
Therapeutic Effects of Curdrania tricuspidata Leaf Extract on Osteoarthriti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5, 2013년, pp.697 - 704  

남다은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  김옥경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  이정민 (경희대학교 의학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에서는 primary culture된 연골세포 in vitro 실험모델과 MIA로 유발한 골관절염 in vivo 실험모델을 이용하여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의 관절염 예방 효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MTT 시험법을 통해 세포 사용 적정농도를 $500{\mu}g/mL$ 이하로 결정하여 연골세포사멸 억제를 확인하고, 이를 근간으로 골관절염 동물실험 모델에서 골관절염 예방효과를 확인하였다. $H_2O_2$ 처리에 따른 산화적 독성으로 연골세포 사멸을 유도한 실험에서 꾸지뽕 잎 추출물은 정상세포 수준으로 사멸을 억제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CTL80의 $200{\mu}g/mL$, CTL10의 $300{\mu}g/mL$ 농도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교원질 합성을 억제하고 분해를 촉진시키는 MMPs(MMP-7, MMP-13)의 발현을 실시간 정량 PCR로 측정하여 발현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앞선 세포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CTL80과 CTL10 처리군에서 발현이 유의적으로 낮아졌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CTL80에서 MMP-7과 MMP-13의 발현이 농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CTL10의 경우 200, $300{\mu}g/mL$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포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동물실험에서의 적정농도를 결정하였으며, 동물독성실험 결과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세포실험결과 선정된 두농도(200, $300{\mu}g/mL$) 간의 차이가 미미하여 동물실험에 적용할 경우 비슷한 실험결과가 나타날 것으로 사료되어 두 실험군 간의 결과를 정확히 구분 짓기 위해 200, $500{\mu}g/mL$ 농도를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골관절염 유발 동물모델을 만들기 위해 SD rat의 관절강에 MIA를 injection 하였으며, 꾸지뽕 잎 에탄올 추출물 투여에 따른 관절염 예방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관절염 유발 2주일 전부터 1일 1회 경구투여를 실시하고, 유발 후 3주간 지속적으로 투여하고 관찰하였다. 동물 관절의 병리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Micro-CT 촬영 및 분석을 실시한 결과 Control 군은 골의 강도와 밀도가 감소한 반면, 양성대조군인 MTX 투여군에서 정상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된 것을 확인하였고, CTL80-200군과 CTL10-500군에서 Control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수치가 감소하여 골관절염에 따른 손상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동물의 관절조직의 H&E 염색을 통한 조직학적인 변화에서는 골관절염 유발로 연골세포의 손상과 뼈조직의 손상을 관찰하였으며 관절형태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손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CTL80과 CTL10에서는 관절강 세포의 형태가 정상군과 비슷한 둥근모양을 띤 양상을 보였으며 연골조직의 형태가 잘 유지되어 Control 군에 비해 꾸지뽕잎의 투여효과가 나타났음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꾸지뽕 잎 에탄올 추출물은 높은 항관절염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항관절염 효능을 지니는 기능성 소재로써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hibi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Curdrania tricuspidata leaves (CTL) on osteoarthritis was investigated in primary cultured rat cartilage cells and a monosodium-iodoacetate (MIA)-induced arthritis rat model. To identify the effects of CTL 80% ethanol extracts (CTL80) and CTL 10% ethan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꾸지뽕나무의 관절 질환에 미치는 효능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고 향후 기능성 식품 소재의 개발을 위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세포 수준에서 꾸지뽕잎 추출물의 효과와 약물로 관절염을 유발한 rat에서 꾸지뽕잎 추출물 투여효과를 관찰하여 검증하기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관절염은 무엇인가? 1% 이상 차지하고 있다(2). 관절염이란 관절에 일어난 염증으로 흔히 통증, 강직 및 부종이 동반되고 그 원인은 퇴행성 변화, 면역계 이상, 감염, 외상, 대사 장애 등이며 그 종류는 100여 가지가 넘는다(3). 그중 골관절염 (osteoarthritis)과 류마티스(rheumatoid arthritis, RA) 관절 염이 전체 관절염의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한 부담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관절염의 원인은 무엇인가? 1% 이상 차지하고 있다(2). 관절염이란 관절에 일어난 염증으로 흔히 통증, 강직 및 부종이 동반되고 그 원인은 퇴행성 변화, 면역계 이상, 감염, 외상, 대사 장애 등이며 그 종류는 100여 가지가 넘는다(3). 그중 골관절염 (osteoarthritis)과 류마티스(rheumatoid arthritis, RA) 관절 염이 전체 관절염의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한 부담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는 연골조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골관절염의 발병과 관련된 인자들을 크게 분류해 보면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proteolytic enzymes), cytokines, 그리고 nitric oxide(NO)가 주요 인자들로 알려져 있다(4-7). 연골조직에서의 물질 대사 과정은 연골조직의 퇴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8), 대표적으로 matrix metalloproteinases(MMPs)는 골 및 연골의 기질 구성요소를 파괴하는 단백 분해효소로서 관절염 등의 병적인 상태에서도 발현되어 병인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10). 관절염 발병시 발현이 증가하는 MMPs로 MMP-1, MMP-2, MMP-3, MMP-8, MMP-9, MMP-7 그리고 MMP-13 등이 있으며, 특히 MMP-7과 MMP-13의 경우 골관절염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p 51. 

  2. Senior Statistical Reports. 2010. The Statistics Korea. Daejeon, Korea. p 5. 

  3. Garner BC, Stoker AM, Kuroki K, Evans R, Cook CR, Cook JL. 2011. Using animal models in osteoarthritis biomarker research. J Knee Surg 24: 251-264. 

  4. Wu W, Xu X, Dai Y, Xia L. 2010. Therapeutic effect of the saponin fraction from Clematis chinensis Osbeck roots on osteoarthritis induced by monosodium iodoacetate through protecting articular cartilage. Phytother Res 24:538-546. 

  5. Wesche-Soldato DE, Swan RZ, Chung CS, Ayala A. 2007. The apoptotic pathway as a therapeutic target in sepsis. Curr Drug Targets 8: 493-500. 

  6. Herrington C, Hall P. 2008. Molecular and cellular themes in inflammation and immunology. J Pathol 214: 123-125. 

  7. Campo GM, Avenoso A, Campo S, D'Ascola A, Traina P, Sama D, Calatroni A. 2009. Glycosaminoglycans modulate inflammation and apoptosis in LPS-treated chondrocytes. J Cell Biochem 160: 83-92. 

  8. Phitak T, Choocheep K, Pothacharoen P, Pompimon W, Premanode B, Kongtawelert P. 2009. The effects of p-hydroxycinnamaldehyde from Alpinia galanga extracts on human chondrocytes. Phytochemistry 7: 237-243. 

  9. Janusz MJ, Hookfin EB, Heitmeyer SA, Woessner JF, Freemont AJ, Hoyland JA, Brown KK, Hsieh LC, Almstead NG, De B, Natchus MG, Pikul S, Taiwo YO. 2001. Moderation of iodoacetate-induced experimental osteoarthritis in rats by 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Osteoarthritis Cartilage 9: 751-760. 

  10. Okada A, Okada Y. 2009. Progress of research in osteoarthritis. Metalloproteinases in osteoarthritis. Clin Calcium 19: 1593-1601. 

  11. Yoshihara Y, Nakamura H, Obata K, Yamada H, Hayakawa T, Fujikawa K, Okada Y. 2000. Matrix metalloproteinases and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s in synovial fluids from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or osteoarthritis. Ann Rheum Dis 59: 455-461. 

  12. Choi SR, You DH, Kim JY, Park CB, Kim DH, Ryu J.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Curdrania tricuspidata Bureau according to harvesting parts and tim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115-120. 

  13. Oh PS, Lim KT. 2011. Anti-inflammatory effect of glycoprotein isolated from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involvement of MAPK/NF- ${\kappa}B$ signaling. Immunol Invest 40:76-91. 

  14. Kang DG, Hur TY, Lee GM, Oh H, Kwon TO, Sohn EJ, Lee HS. 2002. Effects of Cudrania tricuspidata water extract on blood pressure and renal functions in NO-dependent hypertension. Life Sci 70: 2599-2609. 

  15. Lee BW, Kang NS, Park KH. 2004. Isolation of antibacterial prenylated flavonoids from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270-273. 

  16. Choi MS, Kwak SS, Liu JR, Lee IK, Yoo ID. 2001. Production of novel flavonoids in cell cultures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Plant Tissue Culture 28: 159-164. 

  17. Lee JW, Do JH. 2005. Market trend of health functional food and the prospect of ginseng market. J Ginseng Res 29: 206-214. 

  18. Kim HK. 2004.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nutraceutical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9(1): 1-14. 

  19. Sakuma S, Nishigaki F, Magari K, Ogawa T, Miyata S, Ohkubo Y, Goto T. 2001. FK506 is superior to methotrexate in therapeutic effects on advanced stage of rat adjuvant-induced arthritis. Inflamm Res 50: 509-514. 

  20. Mathy-Hartert M, Martin G, Devel P, Deby-Dupont G, Pujol JP, Reginster JY, Henrotin Y. 2003. Reactive oxygen species downregulate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genes by human chondrocytes. Inflamm Res 52: 111-118. 

  21. Asada S, Fukuda K, Oh M, Hamanishi C, Tanaka S. 1999. Effect of hydrogen peroxide on the metabolism of articular chondrocytes. Inflamm Res 4 8: 399-403. 

  22. Khan IM, Gilbert SJ, Caterson B, Sandell LJ, Archer CW. 2008. Oxidative stress induces expression of osteoarthritis markers procollagen IIA and 3B3(-) in adult bovine articular cartilage. Osteoarthritis Cartilage 16: 698-707. 

  23. Patwari P, Cook MN, DiMicco MA, Blake SM, James IE, Kumar S, Cole AA, Lark MW, Grodzinsky AJ. 2003. Proteoglycan degradation after injurious compression of bovine and human articular cartilage in vitro: interaction with exogenous cytokines. Arthritis Rheum 48: 1292-1301. 

  24. Lee JH, Fitzgerald JB, Dimicco MA, Grodzinsky AJ. 2005. Mechanical injury of cartilage explants causes specific time-dependent changes in chondrocyte gene expression. Arthritis Rheum 52: 2386-2395. 

  25. Bove SE, Calcaterra SL, Brooker RM, Huber CM, Guzman RE, Juneau PL, Schrier DJ, Kilgore KS. 2003. Weight bearing as a measure of disease progression and efficacy of anti- inflammatory compounds in a model of monosodium iodoacetate- induced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Cartilage 11: 821-830. 

  26. Combe R, Bramwell S, Field MJ. 2004. The monosodium iodoacetate model of osteoarthritis: a model of chronic nociceptive pain in rats? Neurosci Lett 370: 236-240. 

  27. Holderbaum D, Haqqi TM, Moskowitz RW. 1999. Genetics and osteoarthritis: exposing the iceberg. Arthritis Rheum 42: 397-405. 

  28. Sulzbacher I. 2012. Osteoarthritis: histology and pathogenesis. Wien Med Wochenschr doi: 10.1007/s10354-012-0168-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