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좋은' 과학 수업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사고
Secondary Science Teachers' Thoughts on 'Good' Science Teaching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2, 2013년, pp.405 - 424  

오필석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좋은' 과학 수업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사고의 특징을 밝히고, 교사들의 사고 구조를 표상할 수 있는 개념을 발견하는 것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내가 2011년 1학기에 서울 소재의 한 대학원에서 진행한 질적 연구에 관한 강좌를 수강하는 총 20명의 현직 또는 예비 교사들이었다. 이들은 대학원 수업 중에 본 논문과 동일한 연구 주제를 가지고 질적 연구 실습을 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으며, 그것을 포토폴리오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포트폴리오와 나의 현장 일지를 함께 읽으면서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내러티브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주된 분석 작업이 되었다. 그 결과, 과학 수업은 모종의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일이며, 교사들이 과학 수업을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가치들이 매우 다양하고 그들 사이에는 갈등 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좋은' 과학 수업을 정의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다종다양한 가치들이 수업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르게 관계 맺어지기 때문에 과학 수업은 본질적으로 부단한 가치 선택의 과정을 수반한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이렇듯 다차원적이고 역동적인 교사들의 사고 구조를 여러 개의 진동면을 가진 '푸코 진자'에 비유하여 개념화하였으며, 이러한 개념이 과학 교사 교육과 과학 교육 연구에 시사하는 바를 이야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thoughts on 'good' science teaching and to find a concept that can represent the way the teachers think. Participants were twenty pre- and in-service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a graduate course I taught a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층 면담 실습은 어떻게 진행되었나? 나의 대학원 수업에서 교사들이 ‘과학 수업이란 모종의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일’이라는 점을 공유한 후에는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심층 면담의 실습이 이어졌다. 심층 면담 실습은 교사들이 두 명씩 짝을 지어 서로 면담하고 그 내용을 녹음한 후, 전사∙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면담의 주제는 현장 일지 분석을 통해 제기된 세부 연구 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정하였다: 과학 수업에서 실현되어야 할 가치는 무엇인가? 그것을 실현하는 수업은 어떠해야하며, 어떻게 하면 그런 수업을 할 수 있는가?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학 사고를 알아보고자 참여한 연구 참여자는? 본 연구의 목적은 '좋은' 과학 수업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사고의 특징을 밝히고, 교사들의 사고 구조를 표상할 수 있는 개념을 발견하는 것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내가 2011년 1학기에 서울 소재의 한 대학원에서 진행한 질적 연구에 관한 강좌를 수강하는 총 20명의 현직 또는 예비 교사들이었다. 이들은 대학원 수업 중에 본 논문과 동일한 연구 주제를 가지고 질적 연구 실습을 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으며, 그것을 포토폴리오로 정리하였다.
'좋은' 과학 수업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사고의 특징을 밝히고, 교사들의 사고 구조를 표상할 수 있는 개념을 발견하기 위해 실험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포트폴리오와 나의 현장 일지를 함께 읽으면서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내러티브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주된 분석 작업이 되었다. 그 결과, 과학 수업은 모종의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일이며, 교사들이 과학 수업을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가치들이 매우 다양하고 그들 사이에는 갈등 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좋은' 과학 수업을 정의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다종다양한 가치들이 수업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르게 관계 맺어지기 때문에 과학 수업은 본질적으로 부단한 가치 선택의 과정을 수반한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고창규(2006). 초등학교'좋은'수업의 특성 연구: 담화행위(act), 유도행위, 교수행동요소, 바로잡기(repair)를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14(1), 25-49. 

  2. 서경혜(2004). 좋은 수업에 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학생 면담 연구. 교육과정연구, 22(4), 165-187. 

  3. 서경혜, 유신영(2004). 좋은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및 학부모의 관점. 교육학연구, 42(4), 285-315. 

  4. 서근원(2008). 수업을 왜 하지? (제2판). 서울: 우리교육. 

  5. 오필석(2011)." 채워지지 않는 잔(盞)": 초등 교사들에게 있어 과학 수업의 의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271-294. 

  6. 조영달(1998). 교과 교실수업 연구의 학문 동향과 학술연구 발전 방향: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1), 73-111 

  7. 조영달(2001). 한국 중등학교 교실수업의 이해. 서울:교육과학사. 

  8. 조영미, 오필석(2011). 과학 실험 수업에 관한 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구조'분석. 초등과학교육,30(2), 162-177. 

  9. 조용환(1999). 질적 기술, 분석, 해석. 교육인류학연구, 2(2), 27-63. 

  10. 진권장(1999). 교육 경험의 의미에 관한 해석학적 이해. 교육인류학연구, 2(1), 123-169. 

  11. Bryan, L. A., & Tippins, D. J. (2006). Employing casebased pedagogy within a reflection orientation to elementary science teacher preparation. In K. Appleton (Ed.), Elementary science teacher education (pp. 299-315). New Jersey, NY: Lawrence Erlbaum Associate. 

  12. Friedrichsen, P., van Driel, J. H., & Abell, S. K. (2011). Taking a closer look at science teaching orientations. Science Education, 95, 358-376 

  13. Gunning, A. M., & Mensah, F. M. (2011).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development of self-efficacy and confidence to teach science: A case stud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2, 171-185. 

  14.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95-132).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15. Mulholland, J., & Wallace, J. (2001). Teacher induction and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nhancing self-efficac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2), 243-261 

  16. Piburn, M., Sawada, D., Falconer, K., Turley, J., Benford, R., & Bloom, J. (2000). Reformed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 (RTOP). ACEPT IN-003. 

  17. Sch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ew York: Basic Books 

  18. Tobin, K., Espinet, M., Byrd, S. E., & Adams, D. (1988). Alternative perspectives of effective science teaching. Science Education, 72(4), 433-45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