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Purpose: This prospective cohort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recall bias to antepartum variables measured at postpartum periods and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Methods: Participants were 215 women who answer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demographics, Postpartum Depression Predictors Inventory-Revised and Korean version of Edinburgh Postpartum Depression Scale at antepartum 36-40 weeks and postpartum 2 weeks and 6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kappa, and hierarchical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Agreement between antepartum variables at both antepartum and two postpartum periods was relatively high (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산후우울증 관련 산전요인 | 산후우울증 관련 산전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
산후우울증 관련 산전요인으로는 임신기간 중 스트레스(Kim, Kim, & Kim, 2005), 임신 중 정서상태(Jung & Kim, 2005), 임신계획, 결혼만족(Jang, 2008), 산전불안(Kim, Yang, & Kim, 2009) 등
국내에서도 다양한 측면의 산전요인과 산후요인과 산후우울증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산후우울증 관련 산전요인으로는 임신기간 중 스트레스(Kim, Kim, & Kim, 2005), 임신 중 정서상태(Jung & Kim, 2005), 임신계획, 결혼만족(Jang, 2008), 산전불안(Kim, Yang, & Kim, 2009) 등이, 산후요인으로는 산후 초기의 우울증상(Kim et al.), 사회적지지, 아기기질 및 아기에 대한 만족(Bae, 2002), 아기의 출산 주수, 수유방법(Kim et al. |
산후우울증 관련요인을 확인 | 산후우울증 관련요인을 확인하는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무엇인가? |
첫째, 세 시점(임신 36-40주, 산후 2주와 6주)에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산전 및 산후요인을 파악한다.둘째, 산전요인을 산전시점에 측정하였을 때와 산후시점에 측정 하였을 때의 일치도를 파악한다.셋째, 산후 두 시점에서 산후우울증을 파악한다.넷째, 산후 두 시점에서 산후우울증 관련요인을 파악한다.
첫째, 세 시점(임신 36-40주, 산후 2주와 6주)에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산전 및 산후요인을 파악한다. 둘째, 산전요인을 산전시점에 측정하였을 때와 산후시점에 측정 하였을 때의 일치도를 파악한다. 셋째, 산후 두 시점에서 산후우울증을 파악한다. 넷째, 산후 두 시점에서 산후우울증 관련요인을 파악한다. |
산후우울증 | 산후우울증이란 무엇인가? |
출산 후에 경험하는 우울장애로, DSM-IV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에서는 주요우울 장애 중 달리 분류되지 않는 기분장애(mood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의 세부진단으로 분류하고 있다
산후우울증은 출산 후에 경험하는 우울장애로, DSM-IV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에서는 주요우울 장애 중 달리 분류되지 않는 기분장애(mood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의 세부진단으로 분류하고 있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학자에 따라 산후우울증 대신 산후 일과성 우울증 (postpartum blues, maternity blues), 산후 비정신병적 우울증(postpar- tum nonpsychotic depression), 산후 정신병(postpartum psychosis), 산후우울감, 산후우울 등 서로 다른 용어를 혼용하고 있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