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후우울증 관련요인: 전향적 코호트 연구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Prospective Cohort Stud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2, 2013년, pp.225 - 235  

윤지향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정인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prospective cohort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recall bias to antepartum variables measured at postpartum periods and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Methods: Participants were 215 women who answer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demographics, Postpartum Dep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임신부를 대상으로 산전시점에서 산후까지 전향적인 조사를 통해 산전요인을 산후시점에 측정하였을 때 산전시점에 측정한 값과의 일치도를 파악하여 간접적으로 회상편견의 크기를 평가하며, 산전 및 산후요인과 산후우울증과의 관련성을 평가함으로써 산후우울증에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산전(임신 36-40주)에서 산후 2주와 6주까지 추적조사를 통해 산전요인을 산후시점에서 측정할 때의 회상편견의 크기를 살펴보고, 임신부의 산후 2주와 6주에서의 산후우울증 수준과 이의 관련요인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산후우울증과 관련된 선행 연구에 따라 산전(임신 36-40주)에 산전요인과 산전우울정도를 측정하고, 산후 2차(산후 2주, 산후 6주)에 걸쳐 산후요인 및 산후우울정도를 측정하여 산후우울증에 영향을 주는 산전 및 산후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전향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조사시점은 임신 36주에서 40주, 산후 2주와 산후 6주를 선정하였는데, 이는 산후 6-8주와 6개월의 산모들보다 임신 후반기와 분만 직후 산모들의 우울 점수가 유의하고(Josefsson, Berg, Nordin, & Sydsjö, 2001), 산후 2주 이내에 산후우울감을 느끼기 시작하고 이를 적절히 관리하지 못하는 경우 산후 6주에 최고조의 산후우울증을 초래한다(Gjerdingen et al.
  • 본 연구는 전향적인 방법으로 산전(임신 36-40주)에서 산후(2주와 6주)까지 임신부의 일반적 특성, 산전과 산후요인을 조사하고, 산후 2주와 6주에서의 산후우울증 관련요인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후우울증 관련 산전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국내에서도 다양한 측면의 산전요인과 산후요인과 산후우울증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산후우울증 관련 산전요인으로는 임신기간 중 스트레스(Kim, Kim, & Kim, 2005), 임신 중 정서상태(Jung & Kim, 2005), 임신계획, 결혼만족(Jang, 2008), 산전불안(Kim, Yang, & Kim, 2009) 등이, 산후요인으로는 산후 초기의 우울증상(Kim et al.), 사회적지지, 아기기질 및 아기에 대한 만족(Bae, 2002), 아기의 출산 주수, 수유방법(Kim et al.
산후우울증 관련요인을 확인하는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무엇인가? 첫째, 세 시점(임신 36-40주, 산후 2주와 6주)에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산전 및 산후요인을 파악한다. 둘째, 산전요인을 산전시점에 측정하였을 때와 산후시점에 측정 하였을 때의 일치도를 파악한다. 셋째, 산후 두 시점에서 산후우울증을 파악한다. 넷째, 산후 두 시점에서 산후우울증 관련요인을 파악한다.
산후우울증이란 무엇인가? 산후우울증은 출산 후에 경험하는 우울장애로, DSM-IV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에서는 주요우울 장애 중 달리 분류되지 않는 기분장애(mood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의 세부진단으로 분류하고 있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학자에 따라 산후우울증 대신 산후 일과성 우울증 (postpartum blues, maternity blues), 산후 비정신병적 우울증(postpar- tum nonpsychotic depression), 산후 정신병(postpartum psychosis), 산후우울감, 산후우울 등 서로 다른 용어를 혼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hn, O. S., & Oh, W. O. (2006). Relationship among postpartum depression, parenting stress and self-esteem in mothers during puerperiu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0(1), 58-68.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text revision (DSM-IV-TR $^{{\circledR}}$ ). Washington, DC: Author. 

  3. Avan, B., Richter, L. M., Ramchandani, P. G., Norris, S. A., & Stein, A. (2010). Maternal postnatal depression and children's growth and behaviour during the early years of life: Exploring the interaction be twee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95 (9), 690-695. http://dx.doi.org/10.1136/adc.2009.164848 

  4. Bae, J. I. (2002). Construction of a postpartum depression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1(4), 572-587. 

  5. Beck, C. T. (2001).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An update. Nursing Research, 50(5), 275-285. 

  6. Beck, C. T. (2002). Revision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predictors inventory.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1(4), 394-402. 

  7. Beck, C. T., Records, K., & Rice, M. (2006). Further development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predictors inventory-revised.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5(6), 735-745. http://dx. doi.org/10.1111/j.1552-6909.2006.00094.x 

  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Prevalence of self-reported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17 states, 2004-2005. MMWR: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57(14), 361-366. 

  9. Chaudron, L. H., & Pies, R. W.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partum psychosis and bipolar disorder: A review.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4(11), 1284-1292 

  10. Corwin, E. J., Kohen, R., Jarrett, M., & Stafford, B. (2010). The heritability of postpartum depression. Biological Research for Nursing, 12(1), 73-83. http://dx.doi.org/10.1177/1099800410362112 

  11. Cox, J. L., Holden, J. M., & Sagovsky, R. (1987).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0, 782-786. 

  12. Gjerdingen, D. K., Froberg, D. G., Chaloner, K. M., & McGovern, P. M. (1993). Changes in women's physical health during the first postpartum year. Archives of Family Medicine, 2(3), 277-283. 

  13. Gupta, R., & Kar, B. R. (2012). Attention and memory biases as stable abnormalities among currently depressed and currently remitted individuals with unipolar depression. Frontiers in Psychiatry, 3, 99. http:// dx.doi.org/10.3389/fpsyt.2012.00099 

  14. Han, K. W., Kim, M. J., & Park, J. M. (2004).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10(2), 201-207. 

  15. Jang, E. J. (2008). Psychosocial and obstetric factors associated with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Gyeong-ju. 

  16. Josefsson, A., Berg, G., Nordin, C., & Sydsjo, G. (2001).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in late pregnancy and postpartum. 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Scandinavica, 80(3), 251-255. 

  17. Jung, M. H., & Kim, J. I.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renatal emotional status, preparation for delivery, postpartum social support and postpartum blu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1), 38-45. 

  18. Kim, J. W., Kim, J. H., & Kim, B. J. (2005). Psychosocial and obstetric factors associated with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4(2), 213-220. 

  19. Kim, M. W., Yang, H. S., & Kim, J. R. (2009). A study on agreements among screening tests and related factors with postpartum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52(11), 1133-1143. 

  20. Kim, S. O. (2009). Postpartum depression and maternal identity of the high risk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21. Kim, Y. K., Hur, J. W., Kim, K. H., Oh, K. S., & Shin, Y. C. (2008). Clinical application of Korean version of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7(1), 36-44. 

  22. Kwon, M. K., Kim, H. W., Kim, N. S., & Jang, J. A. (2006). Postpartum depression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parenting stress, and infant temperament in mothers of young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2(3), 314-321. 

  23. Meadows, S. O., McLanahan, S. S., & Brooks-Gunn, J. (2007). Parental depression and anxiety and early childhood behavior problems across family typ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9(5), 1162-1177. 

  24. Miyake, Y., Tanaka, K., Sasaki, S., & Hirota, Y. (2011). Employment, income, and education and risk of postpartum depression: The Osaka maternal and child health stud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30(1-2), 133- 137. http://dx.doi.org/10.1016/j.jad.2010.10.024 

  25. Moses-Kolko, E. L., Berga, S. L., Kalro, B., Sit, D. K., & Wisner, K. L. (2009). Transdermal estradiol for postpartum depression: A promising treatment option. Clinical Obstetrics and Gynecology, 52(3), 516-529. http:// dx.doi.org/10.1097/GRF.0b013e3181b5a395 

  26. Oppo, A., Mauri, M., Ramacciotti, D., Camilleri, V., Banti, S., Borri, C., et al. (2009). Risk factors for postpartum depression: The role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predictors inventory-revised (PDPI-R). Results from the perinatal depression-research & screening unit (PNDReScU) study.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12(4), 239-249. http://dx.doi.org/10.1007/s00737-009-0071-8 

  27. Paulson, J. F., & Bazemore, S. D. (2010). Prenatal and postpartum depression in fathers and its association with maternal depression: A meta-analysis. JAM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03(19), 1961-1969. http://dx.doi.org/10.1001/jama.2010.605 

  28. Rubertsson, C., Wickberg, B., Gustavsson, P., & Radestad, I. (2005). Depressive symptoms in early pregnancy, two months and one year postpartum- prevalence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in a national Swedish sample.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8(2), 97-104. http://dx.doi. org/10.1007/s00737-005-0078-8 

  29. Ryu, J. M. (2008). Postpartum depression and its predictors at 1 to 6 months postpartum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30. Viera, A. J., & Garrett, J. M. (2005). Understanding interobserver agreement: The kappa statistic. Family Medicine, 37(5), 360-363. 

  31. Yeo, J. H. (2006). Postpartum depression and its predictors at six months postpartum.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4), 355-362. 

  32. Youn, J. H., & Jeong, I. S. (2011). Predictive validity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predictors inventory-revised. Asian Nursing Research, 5(4), 210-215. http://dx.doi.org/10.1016/j.anr.2011.11.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