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초등 수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효과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s of Educational Program applied on STEAM for the Mathematical Prodig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16 no.1, 2013년, pp.35 - 55  

이승우 (원광대학교) ,  백종일 (원광대학교) ,  이정곤 (원광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초등 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을 통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리커트 척도(Likert scale)에 의한 양적자료 수집과 함께 개방형 질문을 포함하였다. 또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혼합모형설계(mixed-model design)를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인재교육(STEAM)의 융합접근 모형을 만들고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수학 영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수학 영재 프로그램에 대하여 만족도를 설문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학습 내용과 학습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으나 학생용 수업자료의 구성에 대한 만족도는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수학 영재 프로그램 학습내용 중 흥미로웠던 부분과 어려웠던 부분에 대한 질의에는 영재학생들 모두 'STEAM 학습 내용의 수학적 원리'라고 응답하였다. 넷째,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수학 영재 프로그램의 수업에 대한 질적 증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학생들이 수학적 영역 중 각과 속도에 관한 부분에서 창의력과 문제해결능력이 증진된 것으로 확인 되었다. 특히 앵그리버드 게임의 수학적 원리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GeoGebra 환경에서 학생들 자신이 만든 '앵그리버드 게임'에 대해 자신감과 만족감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ment and verify the effect of educational program apply on STEAM for the mathematical prodigy.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literature review on development of the program and qualitative study were conducted. The mixed-model design was applied for this qua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의 STEM 교육의 탄생 배경은 무엇인가? 미국의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교육은 2003년 OECD에서 주관하는 성취도 평가인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에서 과학 수학 분야에서의 성적이 낮은 데서 비롯되었다. STEM이라는 용어는 1990년대에 미국 NSF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Bybee, 2010), 2001 ~ 2004년까지 NSF에서 연구하던 Judith Ramaley가 정책 용어로 만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Maes, 2010).
창의적 설계란? 창의적 설계(Creative Design)는 주어진 상황에서 창의성, 효율성, 경제성, 심미성을 발현하여 최적의 방안을 찾아 문제를 해결하는 종합적인 과정이고 감성적 체험(Emotional Touch)은 학습에 대한 긍정적 감정을 느끼고 성공의 경험을 하는 것으로 학습에 대한 흥미, 자신감, 지적 만족감, 성취감 등을 느껴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 욕구, 열정, 몰입의 의지가 생기고 개인적 의미를 발견하여 선순환적인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하게 하는 모든 활동과 경험을 의미한다.
초등 수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결과는?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인재교육(STEAM)의 융합접근 모형을 만들고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수학 영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수학 영재 프로그램에 대하여 만족도를 설문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학습 내용과 학습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으나 학생용 수업자료의 구성에 대한 만족도는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수학 영재 프로그램 학습내용 중 흥미로웠던 부분과 어려웠던 부분에 대한 질의에는 영재학생들 모두 'STEAM 학습 내용의 수학적 원리'라고 응답하였다. 넷째,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수학 영재 프로그램의 수업에 대한 질적 증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학생들이 수학적 영역 중 각과 속도에 관한 부분에서 창의력과 문제해결능력이 증진된 것으로 확인 되었다. 특히 앵그리버드 게임의 수학적 원리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GeoGebra 환경에서 학생들 자신이 만든 '앵그리버드 게임'에 대해 자신감과 만족감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교육과학기술부(2010).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2011년 업무보고서.(Ministry of Education(2010). Make a way of korea in future through creativity person and advancement science technology. Task Report in 2011.) 

  2. 권순범(2012). STEAM 기반 융합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Kwon, S. (2012). The effects of convergence education based STE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Unpublished master's degree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 김진수(2007). 기술교육의 새로운 통합교육 방법인 STEM 교육의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지, 7(3), 1-29.(Kim Jin Soo(2007). Exploration of STEM education as a new integrated education for technology education. Korean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7(3), 1-29.) 

  4. 김진수(2011). STEM 교육을 위한 피라미드 모형과 큐빅 모형.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2), 124-139.(Kim Jin Soo(2011). A cubic model for STEAM education. Korean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11(2), 124-139.) 

  5. 문대영(2008). STEM 통합 접근의 사전 공학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공학교육연구, 11(2), 90-101.(Moon Dae Young(2008). The development of pre-engineering educational program model based on STEM Integration approach.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11(2), 90-101.) 

  6. 박형주(2011). 통합 교육에 근거한 중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 STEAM 교육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Park Hyung Ju(2011). A Study on analysis of mathematical textbook based on STEAM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degree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7. 방성혜(2012). 통합교육과 STEM 교육에 대한 중등 교사의 인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Phang Seong Hye(2012).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analysis on integrative STEM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degree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8. 백윤수(2011). 융합인재교육의 총론적 고찰. 융합인재교육 11월 월례워크숍 발표자료집.(Baek Yoon Su(2011). Study of STEAM general summary. STEAM materials of presentation in Workshop, Nov.) 

  9. 서주희(2012).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융합인재교육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경인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Seo Ju Hee (2012). Effects of STEAM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degree dissert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0. 이동윤(2011). STEM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기술교사의 인식과 요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Lee Dong Yun(2011). The need for STEM education, awareness and demand for technology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degree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11. 이재호(2012). 융합형 영재교육기관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6(1), 123-130.(Lee Jae Ho(2012). A Study on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convergence education school for the gifte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6(1), 123-130.) 

  12. 이진희, 이병호, 윤은주(2011). 사회과학 혼합연구방법의 이론과 실제. 서울: 시그마프레스 

  13. Jennifer C. Greene(2011). Mixed methods in social inquiry. Sigmapress. 

  14. 이학용(2012). STEAM교육 시행을 위한 미국의 STEM 교육 고찰. 월간 과학창의, 2, 8-15.(Lee Hak Yong(2012). Consideration of STEM for enforcement of STEAM.. Monthly Science & Creativity, 2, 8-15.) 

  15. 조미혜(2012). 융합의 시대에 대비한 체육교육과정의 과제. 교육문화연구, 18(1), 5-25.(Cho Mi Hye(2012). Task of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as the preparation for changing future society. Korea Education Culture Research, 18(1), 5-25.) 

  16. 최유현(2000). 국내, 외 기술과 교육과정의 환경 분석과 과제.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기술교육의 방향, 107-131.(Choi Yu Hyun(2000). Assignment and environment analysis of technical education curriculum in domestic and foreign. The Way to Technical Education of Knowledge-Based Society, 107-131.) 

  17. 최정훈(2011). STEAM 교육이 성공하려면. 월간창의교육,, 2011년 2월호(Choi Jung Hoon(2011). Success of STEAM education. Monthly Creativity Education, Feb. 2011.) 

  18.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2011). 미래융합과학기술인재양성을 위한 STEAM 교육. 2011 대한민국 과학기술연차대회 심포지엄.(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2011). STEAM for education of integrated science & technical person. 2011 Korea S&T Annual Meeting.) 

  19. 한국과학창의재단(2011). 융합인재교육(STEAM) 총론 및 수업 모델 개발 등 개발 연구.(KOFAC(2011). Outline of STEAM and development dresearch of teaching models.) 

  20. 한국교육개발원(2011). 영재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한 제1기 영재교육 담당교원 STEAM교육 심화연수 자료.(KEDI(2011). Reference for deveopment of the Intensive traning program of In-Service teacher for gifted student(The 1st session).) 

  21. 한명우(2011). 운동학 발전을 위한 학문적 융합과 통섭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운동학 학술지, 13(3), 1-11.(Han Myung Woo(2011). The necessity of academic convergence and consilience for the future development in kinesiology. Health & Sports Medicine, 13(3), 1-11.) 

  22. Brown, R., Brown, J., Reardon, K. & Merill, C. (2011). Understanding STEM: current perceptions. Technology and Engineering Teahcer, 70(6), 5-9. 

  23. Bybee, R. W. (2010). Advancing STEM education: A 2020 vision. Technology and Engineering Teacher, 70(1), 30-35. 

  24. JTE Editor (2009). Passing the baton at the intersection of acronymonium and heritage roads.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21(1), 2-9. 

  25. Maes, B. (2010). Stop talking about "STEM" education! "TEAMS" is way cooler!. Retrieved from http://bertmaes.wordpress.com/2010/10/21/teams/ 

  26. Peters, Michael A. & Araya Daniel (2010). The creative economy: rigins, categories, and concepts. In d. Araya & M. A. Peters (Eds.). Economy in the Creative Economy, New York: Peter Lang Publishing, Inc. 

  27. Roco, M. C. & Bainbridge, W. S. (2002). Converging technology for improving human performance. NSf/DOC-sponsored report, Arlngton, Virginia. 

  28. Sanders, M (2009). A rationale for new approaches to STEM education and STEM education graduate programs. 93rd Mississippi Valler Technology Teacher Education Conference, Nashville, TN. 

  29. Yakman, G. & Kim, Jinsoo (2007). Using BADUK to teach purposefully integrated STEM/STEAM Education. 37th Annual Conference International Society for Exploring Teaching and Learning, Atlanta, Georgia, (Oct. 11-13,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