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천광역시 옹진군에 속한 서해 5도 중 한 곳인 연평도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들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을 파악하였다. 2010년 5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총 4차례 현지조사를 통해 밝혀진 소산식물은 90과 315속 459종 4아종 53변종 8품종의 524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한반도 고유종은 총 2분류군, 산림청 지정 한국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이 2분류군, IV등급이 2분류군, III등급이 4분류군, II등급이 3분류군, I등급에 27분류군 등 총 38분류군이 분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귀화식물은 총 66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귀화율은 12.6%로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ascular plants of Is. Yeonpyeongdo regions, located in Ongjin-gun, Incheon were surveyed from May to October 2010. The vascular plants collected 4 times were consisted of total 524 taxa; 90 families, 315 genera, 459 species, 4 subspecies, 53 varieties and 8 formas respectively. Among them, 2 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5). 무릇의 변종인 갯무릇(가칭)의 한국 미기록 종으로의 보고는 추후에 정확한 관찰을 통해 발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연평도 식물상에 대해 기존에 조사된 자료 (Kim et al., 1992)와 비교함으로써 시간경과에 따른 연평도의 식물상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평도 지역의 전반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식물상 목록을 제시하고, 조사지역의 식물지리학적 특이성과 중요성을 파악하는 동시에 특산 식물,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등의 주요 분류군들의 분포를 파악하여 정확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평도일대는 어떤 곳인가? 인천광역시 옹진군에 속한 서해 5도 중 한 곳인 연평도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들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을 파악하였다. 2010년 5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총 4차례 현지조사를 통해 밝혀진 소산식물은 90과 315속 459종 4아종 53변종 8품종의 524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연평도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들과 주요 식물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총 4차례 현지조사를 통해 밝혀진 소산식물 중 한반도 고유종에 관한 결과는 어떠한가? 2010년 5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총 4차례 현지조사를 통해 밝혀진 소산식물은 90과 315속 459종 4아종 53변종 8품종의 524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한반도 고유종은 총 2분류군, 산림청 지정 한국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이 2분류군, IV등급이 2분류군, III등급이 4분류군, II등급이 3분류군, I등급에 27분류군 등 총 38분류군이 분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평도일대의 구계학적 특정식물의 등급별 분포는 어떠한가? 이 중 한반도 고유종은 총 2분류군, 산림청 지정 한국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이 2분류군, IV등급이 2분류군, III등급이 4분류군, II등급이 3분류군, I등급에 27분류군 등 총 38분류군이 분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귀화식물은 총 66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귀화율은 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hung, T.H.(1956) Korean Flora. Vol. I. Shinjisa, Seoul, 507pp. (in Korean) 

  2. Chung, T.H.(1957) Korean Flora. Vol. II. Shinjisa. Seoul, 1025pp. (in Korean) 

  3. Incheon Metropolitan City(2005) http://www.incheon.go.kr (in Korean) 

  4. Kim, T.W., S.H. Chun and G.H. Kang(1992) Floristic study of Baekryong and Yeonpyong Island within Ongjin Gun, Kyonggi Province. Seoul National Univ. Col. of Agric. 12: 30-46. 

  5. Kim, C.H.(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Korean J. Environ. Biol. 18: 163-198. (in Korean) 

  6. Kim, S.H. and H.S. No(2000) The study of Sea splder, Cirripedia and Isopoda in Yeonpyeong-do coast.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pp. 1-9. (in Korean) 

  7. Kong, W.S.(1989) The Biogeographic Divisions of Korea and Their Species Composition.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0: 43-54. (in Korean) 

  8. Konta, F., S. Matsumoto and T. Katsuyama(2005) New Infraspecific Taxa and a Hybrid of Vascular Plants from Suzaki. Shimoda City, Central Japan, Bull. Natn. Sci. Mus. Tokyo, Ser. B. 31: 133-159. 

  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09) http://www.kma.kr/weather/observation/past_cal.jsp (in Korean) 

  10. Korea National Arboretum(2004)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Gyeonggi, 520pp. (in Korean) 

  11. Korea National Arboretum(2007)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Gyeonggi, 547pp.(in Korean) 

  12. Korea National Arboretum(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Geyonggi, 332pp. (in Korean) 

  13. Korea National Arboretum(2010)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http://www.nature.go.kr/kpni (in Korean) 

  14.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 87-101. (in Korean) 

  15. Lee, J.Y., J.W. Jung, H.H. Myeong and H.S. Kim(2007) A Study on the Flora of Cheongsando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Korean Association of Island 19: 179-203. (in Korean) 

  16. Lee, T.B.(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1. Hyangmonsa, Seoul, 914pp. (in Korean). 

  17. Lee, T.B.(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2. Hyangmonsa, Seoul, 910pp. (in Korean). 

  18. Lee, W.T. and Y.J. Yim(2002)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412pp. (in Korean) 

  19. Lee, W.T.(1996a)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edmy Press, Seoul, 491pp. (in Korean) 

  20. Lee, W.T.(1996b) Lineamenta Florae Korea. Academy Press, Seoul, 1567pp. (in Korean) 

  21. Lee, Y.N.(1996c)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1247pp. (in Korean) 

  22. Melchior, H.(1964) A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666pp. 

  23. Min, B.M. and K.Y. No(2000) The study of seashore halophyte in Yeonpyeong-do.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Korea, Gwacheon, pp. 1-16. (in Korean) 

  24. Ministry of Environment(2006) The investigation guide for specially designated species by floristic region.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Korea, Incheon, 76pp. (in Korean) 

  25. Ministry of Environment(2009) 16 species about an ecosystem disturbance animals and plants.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Korea, Incheon, pp. 27-35. (in Korean) 

  26. Nakaike, T.(1992) New Flora of Japan Pteridophyta(Revised & Enlarged). Shibundo, Tokyo, 868pp. 

  27. Nam, J.H., W.G. Jang, C.O. Sin, J.Y. Choi, G.H. Yuk, H.J. Choi, G.S. Lee, J.S. Lee and W.G. Lee(2006) Toward Establishing the Marine Peace Park in the Western Transboundary Coast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Korea Maritime institute 412: 391. 

  28. Oh, B.U., D.G. Cho, K.S. Kim and C.G. Jang(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Gyeonggi, 205pp. (in Korean) 

  29. Park, S.H.(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559pp. (in Korean). 

  30. Ryang, H.S., D.S. Kim and S.H. Park(2004) Weeds of Korea(Morphology, Physiology, Ecology). Rijeon agricultural resources publications. 

  31. Ryang, H.S., D.S. Kim and S.H. Park(2004) Weeds of Korea(Morphology, Physiology, Ecology). Choripetalae. Rijeon agricultural resources publications, Seoul, pp. 882-885. (in Korean) 

  32. Song, J.S.(2001) A Systematic Study on the genus Rumex (Polygonaceae) in Korea.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23pp.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