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 애엽(艾葉) 추출물이 인간 간암세포주 HepG2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Artemisiae Argyi Folium on Human Hepatoma Cell Line HepG2 Activity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28 no.3, 2013년, pp.107 - 113  

한효상 (중부대학교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rmented Artemisiae Argyi Folium(AAF) on some activities of human hepatoma cell, HepG2. Method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rmented Artemisiae Argyi Folium(AAF) activity on the human hepatoma cells, AAF extracts was fermen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外用藥으로서의 艾葉 전탕액의 항균 효과11) 및 艾葉 추출물의 항산화작용12)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발효 艾葉 추출물이 인간 간암세포주 HepG2의 면역관련 활성 증진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어 본 연구에서는 吐血, 衄血, 喀血, 便血, 崩漏, 姙娠下血, 月經不調, 痛經, 胎動不安, 心腹冷痛, 泄瀉久痢, 癨亂轉筋, 帶下, 濕疹, 疥癬, 痔瘡 등13)의 증상을 치료하는데 상용되고 있는 艾葉(Artemisiae Argi Folium)을 발효하여 얻은 추출물(AFL과 AFS)이 인간 간암세포주 HepG2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艾葉이란 무엇인가? 艾葉은 국화과(菊花科 : Compositae)에 속한 多年生 草本 인 황해쑥 Artemisia argyi Lev. et Vant., 쑥 Artemisia princeps Pamp. var. orientalis Hara 또는 산쑥 Artemisia montana Pampani의 잎 및 어린줄기로4), 여름에 꽃이 피기 전에 따서 曬乾한다5).
최근 발효한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발효한약이 상당한 관심을 모으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일부 또는 다수 한약의 유효성분은 대부분 당이 붙은 고분자로 구성되어있는 경우가 많아 그럴 경우에는 체내 흡수에 지장이 있으나, 발효를 하면 당이 떨어져 나가면서 저분자화 되어 체내흡수율이 증가되기 때문이다1). 따라서 발효한약은 한약재 약효성분의 체내흡수율과 생체 이용률을 모두 극대화시키는 경우가 있고2), 원래의 성질이 변하여 새로운 치료 작용을 나타내는 약물이 얻어지는 경우도 있다3).
艾葉은 어떠한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있는가? ”라고 처음 수재되었고, 東醫寶鑑7)에는 性質이 따뜻하고, 맛은 쓰며 독이 없으며, 온갖 오래된 병과 부인의 崩漏에 주로 쓴다. 胎를 튼튼하게 하고 腹痛·赤白痢와 五臟痔로 피를 쏟는 것을 멎게 하며, 陰部의 疳䘌瘡을 治療하고 새살이 돋게 하며, 風寒邪를 물리치고 姙娠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hon MY.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Poria cocos and Machilus thunbergii Fermented with Mycelial Mushroom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2007 ; 12(2) : 51-7. 

  2. Choi JH, Kim HM, Song YS, Park SG, Kim JJ, Lee CK. Physiological Effects of the Cosmetic Product Containing of Saccharomyces Fermented Modified Kyungohkgo Extract on Human Skin. Kor J Herbology. 2007 ; 22(4) : 227-32. 

  3. Park CH, Kang SI. Hanyakjaepojaegisul. Seoul : ChengmoonGak. 2002 : 79-80. 

  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Seoul.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2 : 237. 

  5. Kim IR, Kim HC, Kuk YB, Park SJ, Park YK, Park JH, Seo BI, Seo YB, Shin MK, Lee YJ, LeeYC, Lee JH, Leem KH, Cho SI, Chung JK, Joo YS, Choi HY. Boncho-Hak. Seoul : Young-Lim Press. 2004 : 447-8. 

  6. Rao HJ. Mingyibielu. Beijing : Renminweisheng publisher. 1986 : 155-6. 

  7. Heo J .Dongeuibogam. Hadong : Dongeuibogam publisher. 2010 : 2180. 

  8. Kim HC. Hanyakyakrihak. Seoul : Jipmoondang. 2001 : 309-11. 

  9. Park WS. Effect of Artemisiae Argi Folium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entosus on Hydrogen Peroxide Production of Macrophage Treated with Toxicants. Korean J Oriental Physiol Pathol. 2009 ; 23(2) : 438-42. 

  10. Park WS, Kim DH. Effect of Mixture of Fermented Artemisiae Argi Folium and Fermented Sophorae Radix on Hydrogen Peroxide Production within Mouse Macrophage Raw 264.7 with EtOH and Nicotine. Korean J Oriental Physiol Pathol. 2008 ; 22(5) : 1293-8. 

  11. Yang SY, Lee KS, Song BG. The experimental study on Folium Artemisiae Argyi applied in the treatment of women's genital disease and fluor genitalis. Korean J Oriental Gynecol. 1989 ; 3(1) : 48-52. 

  12. Park SH, Cho DM, Choi GL Choi YJ, Choi JH. Antioxidative Effects of Mugwort (Artemisia vulgaris L.) Extracts Diet on ICR Mouse S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7 ; 36(12) : 1523-8. 

  13. State Administration of Traditional chiense medicin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Zhonghuabencao. Vol. 7. Shanghai : Shanghai Scientific and Technical Publishers. 1999 : 668-75. 

  14. Han HS, Park WS, Lee YJ. Studies on the Immuno Modulating Acitivity of Fermented Artemisiae Argyi Folium Extract. Kor J Herbology. 2008 ; 23(3) : 103-12. 

  15. Mosman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1983 ; 65(1-2) : 55-63. 

  16. Ferrari M, Fornasiero MC, Isetta AM. MTT colorimetric assay for testing macrophage cytotoxic activity in vitro. J Immunol Methods. 1990 ; 131(2) : 165-72. 

  17. Roesler J, Hecht M, Freihorst J, Lohmann-Matthes ML, Emmendorffer A. Diagnosis of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and of its mode of inheritance by dihydrorhodamine 123 and flow microcytofluorometry. European J Pediatrics. 1991 ; 150(3) : 161-5. 

  18. Crow JP. Dichlorodihydrofluorescein and dihydrorhodamine 123 are sensitive indicators of peroxynitrite in vitro: implications for intracellular measurement of reactive nitrogen and oxygen species. Nitric Oxide. 1997 ; 1(2) : 145-57. 

  19. Weissman BA, Gross SS. Measurement of NO and NO synthase. Curr Protoc Neurosci. 2001 ; 7(7) : 13. 

  20. Giustarini D, Rossi R, Milzani A, Dalle-Donne I. Nitrite and nitrate measurement by Griess reagent in human plasma: evaluation of interferences and standardization. Methods in Enzymol. 2008 ; 440 : 361-80. 

  21. Choi HJ, Kim EJ, Han MJ, Back NI, Kim DH, Jung HG, Kim NJ. Hepatoprotective Effect of Fermented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by Lactic Acid Bacteria. Kor J Pharmacogn. 2007 ; 38(3) : 245-53. 

  22. Chae US. Hanuihakgaeron. Seoul : Daeseoungmunhwasa. 1997 : 294. 

  23. Jung YJ, Han DO, Choi BH, Park C, Lee HJ, Kim SH, Hahm DH. Effect of Fermented Herbal Extracts, HP-1 on Enzyme Activities and Gene Expressions Related to Alcohol Metabolism in Ethanol-loaded Rats. Korean J Oriental Physiol Pathol. 2007 ; 21(2) : 387-91. 

  24. Yoon TJ, Yoo YC, Kang TB, Lee KH, Kwak JH, Baek YJ, Huh CS, Kim JB. Fermented Extracts of Korean Mistletoe with Lactobacillus (FKM-110) Stimulate Macrophage and Inhibit Tumor Metasta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9 ; 31(3) : 838-47. 

  25. Sung NG, Park YJ, Jung JH, Lee JG. Balhyogonghak. Seoul : HyungSeol publisher. 1995 : 14-5. 

  26. Society data. Fluorescent Probe for Visualization of Organic Hydroperoxides. NICE. 2011 ; 29(1) : 28-9. 

  27. Chung HT, Pae HO, Choi BM, Billiar TR. Kim YM. Nitric oxide as a bioregulator of apoptosis.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001 ; 282(5) : 1075-9. 

  28. Byun SH, Yang CH, Kim SC. Inhibitory effect of Scrophulariae Radix extract on TNF- $\alpha$ , IL- $1\beta$ , IL-6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activated Raw 264.7 cells. Kor J Herbology. 2005 ; 20(2) : 7-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