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possibility of treatment of liver cirrhosis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 Methods A 57-year-old man diagnosed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liver cirrhosis was admitted to Wonkwang University Oriental Medical Hospital in August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약리 실험에서 HAD-B의 구성 약재인 삼칠근, 동충하초, 인삼에 항섬유화, 간 독성 해독 작용 등의 효과가 있다는 논문이 다수 보고되고 있으나18-22, 간경변에 대한 HAD-B 자체의 실험 및 임상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저자는 HAD-B가 간암을 비롯한 고형암의 치료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 실제 간경변에 활용되는 한약 단미 제제 및 처방과 유사한 효과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였고, 산삼약침 또한 다수의 연구를 통해 임상에서 간암 및 간경변 환자에게 효과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어23-25, 간경변으로 인한 간세포암종 진단 후 부분 간절제술을 시행하고, 간경변으로 인해 복수 조절이 잘 되지 않아 본원에 내원한 환자에 활용하여 유의한 효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 2013년 사망원인통계. 통계청; 2014, p. 9. 

  2. 김병철, 김진원, 정병주, 우성호, 심효주, 나유진, 등. 복수 동반 간병변 환자의 平胃散 合 胃笭湯加味方 투여 호전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27(4):962-8. 

  3. 국가암정보센터. 간암 2014. Avaliable from:URL:http://www.cancer.go.kr/ mbs/cancer/index.jsp 

  4. 이주은. 茵蔯胃?湯이 Dimethylnitrosamine(DMN)으로 유발된 흰쥐의 肝纖維化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대학원 한의학과 방제학 전공 박사학위 논문 2004. 

  5. 上海中醫學院. 新編中醫內科學. 香港: 商務印書館; 1983, p. 379-91. 

  6. 유병수, 이종형, 조성은, 백승화. 한약재(자하거, 백출, 차전자) 추출물의 간경화 억제 효능에 관한 연구. 약학회지 2007;51(1):7-12. 

  7. 박재석, 김성욱, 권기록, 이규재. 사향이 CCl4로 유발된 mouse의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약침학회지 2006;9(1):45-52. 

  8. 권기록, 김현도, 이규재, 박승규. 웅담이 CCl4로 유발된 mouse의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약침학회지 2005;8(3):31-8. 

  9. 박성규, 이은지, 길재호, 배현수, 홍무창, 신민규. DMN으로 유발된 흰쥐의 간섬유화에 미치는 大?의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2):413-8. 

  10. 김경순, 유화승, 정태영, 이연월, 조종관. 항암단 투여로 호전된 진행성 또는 전이성 담낭암 연속환자증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0;31(3):667-74. 

  11. Choi YJ, Shin DY, Lee YW, Cho CK, Kim GY, Kim WJ. Inhibition of cell motility and invasion by HangAmDan-B in NCI-H460 huma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ONCOLOGY REPORTS 2011;26:1601-8. 

  12. 심태경. 항암단-B 열수추출물의 bFGF로 유발된 혈관 형성에 대한 억제 효과. 대전대학교대학원 한의학과 한방내과학전공 박사학위 논문 2011. 

  13. 김상범. Lipopolysaccharide-활성 RAW264.7 세포에서 항암 한약물 HangAmDan-B의 Sky-표적 항염증 효능. 대전대학교대학원 한의학과한방내과학 전공 석사학위 논문 2012. 

  14. 정홍매, 윤정원, 이연월, 조종관, 오달석, 유화승. 진행성 비소세포성 폐암환자에 대한 항암플러스의 치료효능: 연속증례보고.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1;32(1):113-20. 

  15. 박재우, 유화승, 조종관, 이연월. 항암플러스 투여 후 호전된 진행성 위암 환자 증례보고.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11;19(2):153-8. 

  16. 김종민, 박재우, 유화승, 이연월, 조종관. 췌장암의 외과적 절제술 후 항암플러스로 항전이 및 재발 방지 중인 환자 증례보고. 대한암한의학회지 2011;16(1):33-9. 

  17. 조정효, 유화승, 이연월, 손창규, 조종관. 亢癌丹을 投與한 各種 癌患者 320例에 對한 考察.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4;12(2):157-75. 

  18. 김기영, 이건목, 유병수. 實驗的 肝纖維化(硬化)에서 人蔘, 三七 抽出物의 亢纖維化 效果에 관한 硏究. 대한침구의학회지 1999;16(1):305-13. 

  19. Park WH, Lee SK, Kim CH. A Korean herbal medicine, Panax notoginseng, prevents liver fibrosis and hepatic microvascular dysfunction in rats. Life Sciences 2005;76(15):1675-90. 

  20. 이건목, 문성재, 황우준, 금기영. 肝纖維化(硬化)가 誘導된 白鼠에서 冬蟲夏草 期門藥鍼과 水浸液經口投與 方法의 抗纖維化 效果의 檢索 및 比較. 대한침구학회지 1998;15(1):265-77. 

  21. 안덕균 외. 原色 韓醫本草圖鑑. 서울: (주)교학사; 2002, p. 523. 

  22. 김산, 황충연, 김남권, 박민철, 김진. 동충하초가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간 손상 및 간암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2;16(4):684-92. 

  23. 임세영, 이수진, 권기록. 산삼약침이 Colon26-L5 암세포주를 이용한 간전이 모델의 항암 및 면역증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6;23(1):121-34. 

  24. 김영진, 박도일, 권기록. 산삼약침의 간 기능 개선효과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약침학회지 2009;12(2):107-12. 

  25. Kwon KR, Park CW, Ra MS, Cho CK. Clinical Observation of Multiple Metastatic Cancer Patient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treated with Cultivated Wild Ginseng Herbal Acupuncture Therapy.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05;22(2):211-7. 

  26. 전국한의과대학 간계내과학교수 공저. 간계내과학. 서울: 동양의학연구원; 2001, p. 99-111, 323-4. 

  27. 余桂淸. 歷代中醫腫瘤案論選. 北京: 北京出版社;1988, p. 32. 

  28. 국가암정보센터, 간암 2015. Avaliable from:URL:http://www.cancer.go.kr/mbs/cancer/ index.js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