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전달체계의 변화가 간호사 직무만족도와 환자만족도 및 직접간호시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hanges in Nursing Delivery System on Satisfaction of Nurses and Patients and Direct Nursing Time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9 no.2, 2013년, pp.217 - 226  

최은희 (한국성서대학교 간호학부) ,  이현수 (중앙대학교병원) ,  김진희 (중앙대학교병원) ,  고미숙 (중앙대학교병원) ,  김복순 (중앙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effects of application of a modified primary nursing system. Methods: Measurement was done of direct nursing time and satisfaction of nurses and patients before and after one month of the modified primary nursing system in a surgery unit in C unive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병원의 상황적 요구에 맞게 변형된 새로운 일차간호전달체계를 적용하여 간호전달체계의 제공자인 간호사와 대상자인 환자 모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는 환자 중심의 질적인 간호가 제공되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변형된 일차간호전달체계 적용 전, 후의 입원환자 만족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 변형된 일차간호전달체계 적용 전, 후의 간호사 직무만족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3) 변형된 일차간호전달체계 적용 전, 후의 한국형 환자분류점수의 환산지수를 이용하여 계산된 직접간호시간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전달체계란? 간호전달체계는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책임과 권한을 분담하는 조직 구조로서(Yom et al., 2009), 간호단위를 중심으로 간호서비스 업무를 할당하거나 조직화하는 방법을 의미한다(Tiedeman & Lookinland, 2004). 간호전달체계는 초기의 사례관리(case management)에서 시작하여 기능적간호 (functional nursing), 모듈간호(modular nursing), 팀간호(team nursing), 일차간호(primary nursing) 등으로 환자와 간호사의 만족을 증진시키고 간호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으며(Tiedeman & Lookinland, 2004), 병원의 재정적 상황이나 간호 인력, 간호사의 능력이나 실력 등을 고려하여 재설계를 함으로써 새로운 간호전달체계 모델이 시도되고 있다(Hayman, Wilkes, & Cioffi, 2008).
일차간호체계란? 최근 환자중심 간호에 대한 요구의 증가에 따라 개별적이고 총체적인 간호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일차간호체계(primary nursing system)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차간호체계는 한 환자에게 개별적이고 총체적인 간호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환자에 대한 책임을 24시간 1명의 간호사에게 할당하여 간호사가 더 많은 자율성을 가지고 환자간호에 책임을 가지며, 입원에서부터 퇴원까지의 환자관리 지속성을 확보하고자한 간호전달체계이다(Yom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 S. H., & Han, S. S. (1992). Primary Nursing Delivery System. Catholic Nursing, 13, 1-12. 

  2. Hayman, B., Wilkes L., & Cioffi, J. (2008). Change process during redesign of a model of nursing practice in a surgical ward.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6, 257-265.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07.00774.x 

  3. Kang, M. J., Kim, J. H., Kim, Y. S., Park, H. S., & Lee, H. J. (2001). Development of patient classification tool using the computerizing system.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7, 15-23. 

  4. Kim, D. Y. (2006). Analysis of nurse's job in general hospital using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fter introduction of electronic nursing record syst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eagu, Korea. 

  5. Kim, H. K. (2009). Nursing care delivery system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turnover intention an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6. Kim, I. S., Jang, K. S., Lee, M. H., Ha, N. S., Hong, Y. M., Lee, T. H., et al. (2003). Nursing management. Seoul: Hyunmunsa. 

  7. Kim, J. J., Hwang, K. J., Kim, S. H., Rhee, K. S., Lee, J. S., Kim, I. Y., et al. (1996). A Study about Developing Care Delivery System of Providing Efficient Patient Care. The Korean Nurse, 35(3), 61-76. 

  8. Kim, S. S., Chae, G. S., Kim, K. N., Park, K. O., & Moon, S. M. (2010). Survey on nursing care delivery systems of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s in Korea.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 167-175. 

  9. Kim, Y. S., Kim, H. S., & Kim, C. Y. (1998). Comparative Analysis of Structural, Process, and Outcome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Nursing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 17-25. 

  10. Lee, C. H., Sung, Y. H., Jung, Y. Y., Kim, J. S., Kwon, I. G., Lee, S. K., et al. (1997). The effect of the direct nursing care hours with establishment of the substation.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3, 61-80. 

  11. Manthey, M. (1991) Delivery System and Practice Models: A dynamic balance. Nursing Management, 22(1), 28-30. 

  12. Moon, S. H. (2011). Supportive primary care model development and its effects on nurses'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at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Pusan, Korea. 

  13. Moon, K. H. (2003). A study on restructuring to a patient-oriented primary care team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4. Park, G. O. (1994). A study of variables related to nursing productiv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4, 584-596. 

  15. Slavitt, D. B., Stamps, P. L., Piedmont E. B., & Haase, A. M. (1978). Nurses'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ituation. Nursing Research, 27, 114-120. 

  16. Song, K. J., Kim, E. H., Yoo, C. S., Park, H. O., & Park, K. O. (2009). Development of KPCS (Korea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Nurses) based on nursing need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 5-17. 

  17. Song, K. J., Kim, E. H., Yoo, C. S., Park, H. A., Song, M. S., Park, K. O., et al. (2010).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PCS-1 and estimation of nursing time conversion index.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 127-140. 

  18. Tiedeman, M. E., & Lookinland, S. (2004). Traditional models of care delivery: What have we learned?.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4, 291-297. 

  19. Yang, T. Y. (2002). The time and motion study of the evening duty nurse in a university hospital internal medicine dept.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Seoul, Korea. 

  20. Yom, Y. H., Ko, M. S., Kim, K. K., Kim, T. S., Min, S., Park, J. S., et al. (2009). Nursing management. Seoul: Sumun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