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의 지역사회 획득 장구균 요로감염의 임상 양상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Acquired Enterococcal Urinary Tract Infections In Children 원문보기

대한소아신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v.17 no.1, 2013년, pp.19 - 24  

김성헌 (양산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임택진 (양산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김혜영 (양산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박수은 (양산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김수영 (양산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장구균원내 감염의 중요한 세균으로 최근 그 빈도가 많아지며, 항생제 내성을 갖는 경우도 증가하면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소아의 지역사회 획득 요로감염의 원인으로서 장구균에 대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여 이에 저자들은 부산 경남 지역에서 발생하는 장구균에 의한 지역사회 획득 요로감염의 임상적 특징과 항생제 감수성 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10년 1월부터 2013년 1월까지 첫 번째 요로감염으로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에 입원 하였던 18세 미만의 환자 중 장구균과 대장균이 배양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의무 기록을 통해 환자의 성별, 진단 시 연령, 기저 신 질환, 최근 항생제 복용력, 영상 검사의 결과, 세균의 항생제 감수성, 처음 사용한 항생제에 대한 반응 유무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2010년 1월부터 2013년 1월까지 첫 번째 요로감염이 확인되어 치료한 환자는 201명으로 이 중 대장균은 154명(76.6%)에서 분리되었고, 장구균은 11명(5.5%)에서 분리되었으며 배양된 장구균은 모두 Enterococcus feacalis였다. 장구균이 배양된 집단에서 배뇨방광요도조영술 검사를 시행한 7명 중 4명(57.1%)에서 방광요관역류가 발견되었고, 이들 모두 DMSA 신스캔에서 신 반흔을 보였으며 현재까지 3명의 환자가 방광요관역류에 대한 비뇨기과적 교정 시술을 시행 받았다. 대장균이 배양된 집단에서는 121명의 환자에서 배뇨방광요도조영술 검사가 시행되어 23명이 방광요관역류로 진단되었고, 현재까지 11명이 비뇨기과적 교정술을 시행 받았다. 대장균에 의한 요로감염 환자들과 비교하였을 때 장구균 요로감염 환자에서 방광요관역류와 수술적 교정술의 빈도가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다. 분리된 장구균의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 ampicillin, vancomycin, linezolid에 대해서는 100% 감수성을 보였으며 tetracycline에 대해서는 100% 내성을 보였고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는 71.4%, quinolone계열인 ciprofloxacin에는 20% 내성을 나타냈다. 결론: 부산 경남 지역의 지역사회 획득 장구균 요로감염은 흔하지 않지만, 근본적인 요로계의 이상을 동반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환자에 대한 영상학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Recently, enterococcus spp. have become one of the most common nosocomial pathogens with increasing rates of multi-drug resistance. However, study on enterococcal urinary tract infections (UTIs) in children is very limited, especially community acquired UTIs. We studied the clinical char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및 특징은 지역 및 주로 사용되는 항생제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으므로 저자들은 부산 경남 인근에서 발생하는 소아의 지역사회 획득 장구균 요로감염에 대한 임상적 특징 및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목적: 장구균은 원내 감염의 중요한 세균으로 최근 그 빈도가 많아지며, 항생제 내성을 갖는 경우도 증가하면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소아의 지역사회 획득 요로감염의 원인으로서 장구균에 대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여 이에 저자들은 부산 경남 지역에서 발생하는 장구균에 의한 지역사회 획득 요로감염의 임상적 특징과 항생제 감수성 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로감염은 방치되었을 경우 어떤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가? 요로감염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세균 감염 중 하나이며,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신 반흔, 고혈압 및 궁극적으로 신기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이다. 소아기 요로감염의 주된 치료 목적은 감염의 임상 증상을 빠르게 해결하여 요로성 패혈증, 신결석, 신 농양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고 아울러 장기적인 신실질의 손상을 예방하는데 있다[1].
요로감염의 원인균중 대장균 이외의 균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요로감염의 원인균으로는 대장균이 65-90%로 가장 흔하다고 알려져 있다[2, 3]. 대장균 이외의 원인 균주로는 Klebsiela pneumoniae, Enterobacter spp., Proteus spp. 등의 그람 음성균이 대부분이며 장구균 등의 그람 양성 세균은 소수를 차지한다.
소아기 요로감염의 주된 치료목적은 무엇인가? 요로감염은 소아에서 가장 흔한 세균 감염 중 하나이며,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신 반흔, 고혈압 및 궁극적으로 신기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이다. 소아기 요로감염의 주된 치료 목적은 감염의 임상 증상을 빠르게 해결하여 요로성 패혈증, 신결석, 신 농양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고 아울러 장기적인 신실질의 손상을 예방하는데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eetz R, Westenfelder M. Antimicrobial therapy of urinary tract infections in children. Int J Antimicrob Agents 2011;38: 42-50. 

  2. Hellerstein S. Urinary tract infections. Old and new concepts. Pediatr Clin North Am 1995;42:1433-57. 

  3. Ashkenazi S, Even-Tov S, Samra Z, Dinari G. Uropathogens of various childhood populations and their antibiotic susceptibility. Pediatr Infect Dis J 1991;10:742-6. 

  4. Wazait HD, Patel HRH, Veer V, Kelsey M, Van Der Meulen JHP, Miller RA et al.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prevalence of uropathogens and patter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in a UK hospital (1996-2001). BJU Int 2003;91: 806-9. 

  5. Cornia PB, Takahashi TA, Lipsky BA. The microbiology of bacteriuria in men: a 5-year study at a Veterans' Affairs hospital. Diagn Microbiol Infect Dis 2006;56:25-30. 

  6. Morrison AJ Jr, Wenzel RP. Nosocomial urinary tract infections due to enterococcus. Ten years' experience at a university hospital. Arch Intern Med 1986;146:1549-51. 

  7. Hidron AI, Edwards JR, Patel J, Horan TC, Sievert DM, Pollock DA et al. NHSN annual update: antimicrobial-resistant pathogens associated with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annual summary of data reported to the National Healthcare Safety Network at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6-2007.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8;29:996-1011. 

  8. Swaminathan S, Alangaden GJ. Treatment of resistant enterococcal urinary tract infections. Curr Infect Dis Rep 2010;12: 455-64. 

  9. Heintz BH, Halilovic J, Christensen CL.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al urinary tract infections. Pharmacotherapy 2010;30:1136-49. 

  10. Marcus N, Ashkenazi S, Samra Z, Cohen A, Livni G. Community- acquired enterococcal urinary tract infections in hospitalized children. Pediatr Nephrol 2012;27:109-14. 

  11. Yoon JE, Kim WK, Lee JS, Shin K-S, Ha T-S. Antibiotic susceptibility and imaging findings of the causative microorganisms responsible for acute urinary tract infection in children: a five-year single center study.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2011;54:79-85. 

  12. Honkinen O, Lehtonen OP, Ruuskanen O, Huovinen P, Mertsola J. Cohort study of bacterial species causing urinary tract infection and urinary tract abnormalities in children. BMJ 1999;318):770-1. 

  13. Bitsori M, Maraki S, Raissaki M, Bakantaki A, Galanakis E. Community-acquired enterococcal urinary tract infections. Pediatr Nephrol 2005;20:1583-6. 

  14. Bratcher D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in the pediatric patient. Pediatr Infect Dis J 2001;20:621-2. 

  15. Topaloglu R, Er I, Dogan BG, Bilginer Y, Ozaltin F, Besbas N et al. Risk factors in community-acquired urinary tract infections caused by ESBL-producing bacteria in children. Pediatr Nephrol 2010;25:919-25. 

  16. Pourakbari B, Aghdam MK, Mahmoudi S, Ashtiani MTH, Sabouni F, Movahedi Z et al. High frequency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faecalis in an Iranian referral children medical hospital. Maedica (Buchar) 2012;7:201-4. 

  17. Aznar E, Buendia B, Garcia-Penuela E, Escudero E, Alarcon T, Lopez-Brea M. Community-acquired urinary tract infection caused by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faecalis clinical isolate. Rev Esp Quimioter 2004;17:263-5. 

  18. Tang C-W, Cheng C-K, Lee T-S. Community-acquired bleb-related endophthalmitis caused by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Can J Ophthalmol 2007;42:477-8. 

  19. Raja NS, Karunakaran R, Ngeow YF, Awang R. Community-acquired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faecium: a case report from Malaysia. J Med Microbiol 2005;54:901-3. 

  20. Roberts KB. Urinary tract infecti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initial UTI in febrile infants and children 2 to 24 months. Pediatrics 2011;128: 595-610. 

  21. Urinary Tract Infection in Children: Diagnosis, Treatment and Long-term Management. London: RCOG Press, 2007 

  22. Tullus K. Difficulties in diagnosing urinary tract infections in small children. Pediatr Nephrol 2011;26:1923-6. 

  23. Bachur R, Harper MB. Reliability of the urinalysis for predicting urinary tract infections in young febrile children. Arch Pediatr Adolesc Med 2001;155:60-5. 

  24. Shaw KN, McGowan KL, Gorelick MH, Schwartz JS. Screening for urinary tract infection in infan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which test is best? Pediatrics 1998;101:E1. 

  25. Lohr JA. Use of routine urinalysis in making a presumptive diagnosis of urinary tract infection in children. Pediatr Infect Dis J 1991;10:646-50. 

  26. Hoberman A, Wald ER, Reynolds EA, Penchansky L, Charron M. Pyuria and bacteriuria in urine specimens obtained by catheter from young children with fever. J Pediatr 1994;124: 513-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Hybrid)

저자가 APC(Article Processing Charge)를 지불한 논문에 한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hybrid 저널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