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담기법 교재에 대한 내용분석
The Content Analysis of the Textbooks of Counseling Skills and Techniques 원문보기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v.5 no.1, 2013년, pp.91 - 99  

강혜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상담전문가 양성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과목인 '상담기법' 교재분석을 통하여 상담기법에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심리상담기법과 진로상담기법 교재에서 다루는 내용의 차이는 무엇인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심리상담기법 교재 5권과 진로상담기법 교재 4권의 내용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심리상담기법 교재와 진로상담기법 교재들은 교재의 특성에 따라 특정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담기법 교육 시, 교재를 선택 할 때 각 교재의 특성을 알고 선택해야 하며 그 교재에서 다루고 있지 않은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이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교재 선택에 따라 중요한 상담기법을 배우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상담전문가와 교육자들이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문제이다. 둘째, 심리상담기법 교재와 진로상담기법 교재들이 포함하고 있는 내용 중, 공통된 내용들은 '상담이론에 근거한 기법', '상담관계', '면접 및 상담과정 기술', '내담자 평가와 이해', '다문화주의와 다양성' 등이었다. 반면, 심리상담기법 교재에만 포함된 내용은 '반응기술', '윤리적 문제', '상담자 자기이해와 관리'였고, 진로상담기법 교재에만 포함된 내용은 '진로정보', '진로의사결정과 적응', '진로계획과 실행'에 대한 내용이었다. 심리상담기법 교재에서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내용은 '반응기술'이었고, 진로상담기법 교재에서는 '내담자 평가와 이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textbooks of counseling skills and techniques to understand what contents are included and to identify differences of contents between psychological counseling textbooks and career counseling textbooks. 5 psychological counseling textbooks and 4 career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분석 시, 장 제목이 모호할 경우에는 실제 내용을 확인하여 적합한 범주에 속하도록 하였다. 1차 분석 후, 여러 차례 확인 작업을 거쳐 분석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이는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설정되어야 하며 포괄성, 상호배타성이 있어야 하고 개념상 서로 동일한 수준으로 설정되어야 한다[13: 355-357]. 본 연구에서는 상담기법 교재에 어떤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기 때문에 분석범주를 설정하기 위해 9권의 교재 목차를 모두 정리해보고, 이를 근거로 범주를 정하였다. 구체적인 범주 설정 절차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상담전문가 양성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과목인 ‘상담기법’ 교재분석을 통하여 상담기법에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심리상담기법과 진로상담기법 교재에서 다루는 내용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서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 예를 들어, ‘내담자 평가와 이해’라는 범주를 분석하기 위해 각 교재의 장 제목을 보고, 이에 해당하는 장 제목 용어의 개수를 세어 표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이 심리상담기법 교재와 진로상담기법 교재에 어떤 내용들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전반적으로 살펴보려는 것이므로 장 제목 용어의 개수를 살펴보는 것만으로도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로 출판된 심리상담기법 및 진로상담기법 교재에 대한 내용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상담기법 교재를 심리상담과 진로상담으로 구분하여 내용을 살펴보자 하였는데, 그 이유는 역사적으로 볼 때, 상담분야는 크게 심리상담과 진로상담으로 구분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 본 연구에서는 상담전문가 양성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과목인 ‘상담기법’ 교재분석을 통하여 상담기법에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심리상담기법과 진로상담기법 교재에서 다루는 내용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서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상담기법 교육 시, 특정 교재를 선택하게 될 때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상담자 교육 시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심리상담 기법 교재 5권과 진로상담기법 교재 4권의 내용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담자가 전문가로 성정하기 위해 어떤 교육을 받는가? 상담학에서의 상담은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상담자와 도움을 필요로 하는 내담자 간의 만남을 통해 내담자의 성장과 문제해결을 돕는 전문적인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12]. 상담자가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담관련 지식과 기술을 알고 익혀야 하기 때문에 전문 상담자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상담관련 학부와 대학원의 교육과정, 그리고 상담자 자격연수과정 대부분에 상담이론과 상담기법* 관련 과목이 포함되어 있다[14].
상담학에서 말하는 상담이란 무엇인가? 상담학에서의 상담은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상담자와 도움을 필요로 하는 내담자 간의 만남을 통해 내담자의 성장과 문제해결을 돕는 전문적인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12]. 상담자가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담관련 지식과 기술을 알고 익혀야 하기 때문에 전문 상담자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상담관련 학부와 대학원의 교육과정, 그리고 상담자 자격연수과정 대부분에 상담이론과 상담기법* 관련 과목이 포함되어 있다[14].
상담전문가 양성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과목인 '상담기법' 교재분석을 통하여 상담기법에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심리상담기법과 진로상담기법 교재에서 다루는 내용의 차이는 무엇인지를 비교하고자 조사 분석 한 결과는? 심리상담기법 교재 5권과 진로상담기법 교재 4권의 내용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심리상담기법 교재와 진로상담기법 교재들은 교재의 특성에 따라 특정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담기법 교육 시, 교재를 선택 할 때 각 교재의 특성을 알고 선택해야 하며 그 교재에서 다루고 있지 않은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이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교재 선택에 따라 중요한 상담기법을 배우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상담전문가와 교육자들이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문제이다. 둘째, 심리상담기법 교재와 진로상담기법 교재들이 포함하고 있는 내용 중, 공통된 내용들은 '상담이론에 근거한 기법', '상담관계', '면접 및 상담과정 기술', '내담자 평가와 이해', '다문화주의와 다양성' 등이었다. 반면, 심리상담기법 교재에만 포함된 내용은 '반응기술', '윤리적 문제', '상담자 자기이해와 관리'였고, 진로상담기법 교재에만 포함된 내용은 '진로정보', '진로의사결정과 적응', '진로계획과 실행'에 대한 내용이었다. 심리상담기법 교재에서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내용은 '반응기술'이었고, 진로상담기법 교재에서는 '내담자 평가와 이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mundson, N. E., Harris-Bowlsbey, J., & Niles, S. G. (2005). Essential Elements of Career Counseling: Process and Techniques. Pearson. 

  2. Brown, D., & Brooks, L. (1991). Techniques of career counseling. Allyn & Bacon. 

  3. Cormier, S., & Hackney, H.(2005). Counseling strategies and interventions(6th.). Allyn & Bacon. 

  4. Gysbers, N.C., Heppner, M. J., & Johnston, J. A. (1998). Career counseling: process, issues, and techniques. 

  5. Gysbers, N.C., & Moore, E. J.(1987). Career counseling skills and techniques for practitioners. Allyn and Bacon. 

  6. Heaton, J. A.(1998). Building basic therapeutic skills: A practical guide for current mental health practice. Wiley. 

  7. Hill, C. E., & O'Brien, K. M.(1999). Helping skills: Facilitating exploration, insight, and ac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8. Kang, J. R.(2009).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Yangseowon. 

  9. Kang, H. Y., & Sun. H. Y.(2009). Career counseling skills. Techno-HRD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10. Kwan, H. Y. et al.(2011). The content analysis of introductory counseling textbooks for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7 universitied in major cities.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2(2), 621-634. 

  11. Kwon, Ch. H., & Cho, H. S.(2012). Analysis on textbook contents & proposition on direction of textbook writing for 'teaching practice'. 

  12. Kim, K. H. et al.(2011). Introductory of counseling. Hakjisa. 

  13. Kim, S. W., & Choi, T. J.(2007). Research methodology in education. Hakjisa. 

  14. Kim. I. G.(2009). A Study of Present State and Development Plan of Counseling Department in Undergraduate.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0(2), 793-811. 

  15. Lee, S. D.(1994). The content analysis of 우정공무원교육원educational psychology textbook and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America(1954-1988).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69-86. 

  16. MacCluskie, K.(2010). Acquiring counseling skills: Integrating theory, multiculturalism, and self-awareness. Pearson Education, Inc. 

  17. Thompson, R. A.(2003). Counseling techniques. Taylor & Francis Books, Inc. 

  18. Yang, M. S. & al.(2013). Counseling theory and practice. Korea counseling associ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