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로상담교재에 대한 내용분석: 진로상담전문가 역량 요소를 중심으로
The Content Analysis of the Textbooks of Career Counseling: Focused on competency components for career counseling professionals 원문보기

大韓工業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v.39 no.1, 2014년, pp.23 - 46  

강혜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로 집필 번역된 진로관련 교재의 내용을 분석하여 진로 상담전문가 역량 개발을 위해 이러한 교재들을 활용할 때의 유용성과 제한점을 제시해보고, 향후 진로관련 교재 집필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는데, 첫째, 진로상담교재는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둘째, 진로상담교재의 구성 내용 비율은 교재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다. 분석대상은 10권의 진로상담관련 교재(6권은 진로상담개론서에 해당하는 교재, 4권은 진로상담기법에 초점을 두고 있으나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는 교재)였고, 국내 선행연구(유현실, 2009)에서 제시한 진로상담전문가 역량 요소를 수정 보완하여 분석범주를 설정하였으며, 분석단위는 장(chapter)으로 하였다. 주요결과는 첫째, 진로상담개론서에 해당하는 교재들은 모두 '범주1. 진로관련 이론 및 주요개념에 대한 이해'에 해당하는 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고, 그 다음 많은 내용은 '범주 4. 진로상담 역량'에 해당하는 내용이었다. 이에 비해 진로상담기법에 초점을 두고 있는 교재들은 '범주 4. 진로상담역량'에 대한 내용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범주5. 진로검사 및 평가 역량', '범주3. 개인차 및 다양성 이해'에 대한 내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분석단위로 사용한 장(chapter)의 전체 개수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범주4. 진로상담 역량'(33.33%)과 '범주1. 진로관련 이론 및 주요개념'(28.15%)의 비중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대부분의 교재에서 다루어지지 않는 내용은 개인 및 집단상담 진행에 필요한 지식과 기법(범주2), 상담자들이 실제 기관에서 전문상담자로 일할 때 필요한 타 기관과의 연계, 문제해결, 동료피드백, 행정, 윤리(범주8,9,10,11,13), 그리고 전문가로서의 성장과 자기관리에 대한 내용(범주12, 14)등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한국어로 집필 번역된 교재를 진로상담전문가 교육에서 활용할 때, 기본적인 진로상담진행과 진로관련 이론 및 주요개념에 대한 지식은 다루어줄 수 있으나 그 외 진로상담전문가 역량에 해당하는 요인, 특히 기관의 직원으로서의 역할에 필요한 역량(타 기관과의 연계, 문제해결, 동료피드백, 행정, 윤리 등)과 전문가로서의 성장과 자기관리에 대한 역량은 별도의 방법으로 보완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xtbooks of career counseling which are written or translated in Korean so as to understand the usefulness and limitation on the usage of career counseling textbook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contents are included in textbooks of care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진로상담전문가 역량요소에 근거하여 진로상담분야 교재들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여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역량과 다루고 있지 않은 역량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여 진로상담전문가 교육 및 향후 진로상담교재 집필에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고려하여 해석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10권의 진로상담관련 교재들이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10권 중 6권(1번~6번)은 국내저자들이 집필한 교재이고, 4권(7번~10번)은 외국저자들이 집필한 것을 한국어로 번역한 교재이다.
  • 본 연구에서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10권의 진로상담관련 교재들이 진로상담전문가 역량 요소에 기준해 볼 때, 어떠한 비율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범주4.
  • 자료의 분석은 연구목적에 따라 범주의 존재여부만 을 살펴볼 수도 있고, 각 범주별로 분석단위요소의 출현빈도를 계산할 수도 있으며 각 범주별 시간・공간의 상대적 크기를 파악할 수도 있으며 태도, 가치, 성향 등의 강도의 정도를 분석해볼 수도 있다(김석우, 최태진, 2007:359-360). 본 연구에서는 각 교재에 따라 범주별 상대적 비교를 하고자 하였으므로 분석단위 요소의 출현빈도를 계산하였다.
  • 첫째, 연구목적 또는 연구문제에 적합한 분석의 범주를 설정해야 하며 둘째, 포괄이 있어야 하며 셋째, 상호배타적이어야 하고 넷째 개념상 서로 동일한 수준이어야 한다(김석우, 최태진, 2007:355-357). 본 연구에서는 진로상담가 역량 요소에 근거하여 진로상담가 교육을 위한 교재의 내용을 분석해보고자 하는 것이므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진로상담가 역량요소를 토대로 분석의 범주를 수정, 보완하여 최종 결정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진로상담전문가 역량요소는 선행문헌, 전문가면담, 진로상담자 설문조사 등을 통해 개념 모형을 구축하고, 이 개념의 내용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32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3회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제시한 것이다(유현실, 김창대,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로 집필・번역된 진로관련 교재의 내용을 분석하여 진로상담전문가 역량 개발을 위해 이러한 교재들을 활용할 때의 유용성과 제한점을 제시해보고, 향후 진로관련 교재 집필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는 두 가지로 첫째, 진로상담교재는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둘째, 진로상담교재의 구성 내용 비율은 교재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별로 내용분석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상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로 집필・번역된 진로상담관련 교재를 대상으로 국내 진로상담전문가 역량 요소에 기초한 내용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진로상담전문가 역량 개발 교육을 위해 교재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부분과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부분을 파악하고, 향후 진로상담가 역량 개발을 위해서는 어떠한 내용이 보완되어야 하는지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이상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로 집필・번역된 진로상담관련 교재를 대상으로 국내 진로상담전문가 역량 요소에 기초한 내용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진로상담전문가 역량 개발 교육을 위해 교재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부분과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부분을 파악하고, 향후 진로상담가 역량 개발을 위해서는 어떠한 내용이 보완되어야 하는지 제시해보고자 한다.
  •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진로상담교재는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둘째, 진로상담교재의 구성 내용 비율은 교재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주요 결과를 요약하고 이에 대해 논의하기로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량이란? 한 개인에게 주어진 일(업무, 과제)을 얼마나 잘 해낼 수 있는가 하는 개인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제시된 개념이 ‘역량(competency)'이다. 전통적으로 개인의 능력에 대한 측정은 지능검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전통적으로 개인의 능력에 대한 측정dms? 한 개인에게 주어진 일(업무, 과제)을 얼마나 잘 해낼 수 있는가 하는 개인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제시된 개념이 ‘역량(competency)'이다. 전통적으로 개인의 능력에 대한 측정은 지능검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그런데 McClleland(1973)는 개인이 실제로 수행하는 직무에서 발휘되는 능력 평가를 위해서는 ’지능‘이 아닌 ’역량‘을 평가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고, 그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역량에 대한 다양한 개념정의와 역량평가를 위한 방법이 제시되어왔다.
진로상담가들이 역량 요소별로 자신의 수행에 대해 평가할 수 있는 11개 영역은? 여기서 제시하고 있는 역량은 총 11개 영역에 대한 것으로 ‘① 진로발달이론, ② 개인 및 집단 상담 기술, ③ 개인 및 집단 평가, ④ 정보 및 정보원, ⑤ 프로그램 홍보․운영 및 실시, ⑥ 코칭․컨설팅․수행증진, ⑦ 다양한 집단, ⑧ 슈퍼비전, ⑨ 윤리적․법적 문제, ⑩ 연구 및 평가, ⑪ 기술’에 대한 역량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혜영(2013). 상담기법 교재에 대한 내용분석.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지, 5(1), 91-99. 

  2. 권충훈, 조흥순(2012). '교직실무' 교재내용 분석 및 교재 집필 방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9), 512-521. 

  3. 권희영 외(2011). 상담학개론 대학교재의 분석: 대도시 7개 대학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2(2), 621-634. 

  4. 김봉환 외(2013). 진로상담. 학지사. 

  5. 김봉환, 정철영, 김병석(2006). 학교진로상담. 학지사. 

  6. 김석우, 최태진(2007). 교육연구방법론. 학지사. 

  7. 김수향, 탁진국(2011). 진로 및 직업 상담자의 역량진단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일반, 30(2), 461-481. 

  8. 김진실(2008). 산업교육교재연구의 동향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0(1), 119-146. 

  9. 김충기, 장선철(2006). 진로상담. 태영출판사. 

  10. 유길상, 강혜영, 이은영(2008). 고용-학습-복지 연계 전문가 양성을 위한 HRD 프로그램 개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연구센터 용역과제 보고서. 

  11. 유현실(2009). 진로상담전문가의 역량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2. 유현실, 김창대(2011). 진로상담전문가의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2(2), 241-268. 

  13. 윤형한(2009). 직업상담자의 전문성 발달과정과 영향요인.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4. 이신동(1994). 교육심리학 교재에 대한 내용분석 및 한.미 비교 연구(1954-1988), 교육심리연구, 8(2), 69-86. 

  15. 이은경, 양남미, 서은경(2007). 한국에서의 상담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587-607. 

  16. 이현림(2007). 진로상담. 양서원. 

  17. 이현림 외(2013). 새롭게 보는 진로상담. 교육과학사. 

  18. 지용근 외(2009). 진로상담의 이해. 동문사. 

  19. 충청남도 교육연수원(2013). 중등 진로진학상담교사 부전공자격 하계연수 자료집. 비매품. 

  20. 한국고용정보원(2007). 중등교원 진로지도 전문교육 자료집. 비매품. 

  21.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3). 진로진학상담교사 심화연수 자료집. 비매품. 

  2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3). 일반교사 특별연수 자료집: 청소년상담의 이해와 상담기법. 비매품. 

  23. Amundson, N. E., Harris-Bowlsbey, J., & Niles, S. G. (2009). Essential Elements of Career Counseling: Process and Techniques(2nd.) Pearson. 이동혁, 황매향, 임은미 공역(2013). 진로상담 과정과 기법. 학지사. 

  24. Brown, D., & Brooks, L. (1991). Techniques of career counseling. Allyn & Bacon. 김충기, 김희수(역)(2003). 진로상담의 기술. 시그마프레스. 

  25. Cheetham, G, & Chivers, G. (1996). Towards a holistic model of professional competence.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20, 20-30. 

  26. Gysbers, N.C., Heppner, M. J., & Johnston, J. A. (1998). Career counseling: process, issues, and techniques. 김봉환 역(2003). 진로상담의 실제. 학지사. 

  27. Gysbers, N.C., & Moore, E. J.(1987). Career counseling skills and techniques for practitioners. Allyn and Bacon. 김충기, 김병숙 공역(1995). 진로상담: 기술과 기법. (주)현민시스템. 

  28. McClelland, D. C.(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 1-14. 

  29. Rychen, D. S., & Salganik, L. H. (2003). A holistic model of competence. In D.S. Rychen & L. H. Salganik, (Eds.).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 Cambridge, MA:Hogrefe & Huber Publisher, 41-62. 

  30. Spencer, L., & Spencer, S.(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민병모, 박동건, 박종구, 정재창 역(1998). 핵심역량모델의 개발과 활용. 서울: PSI.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