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한 한국의 논 토양 미생물 다양성 분석 방법
Korean Paddy Soil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Method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6 no.2, 2013년, pp.95 - 100  

최명은 (Gumi Flo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Gyeongsa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  홍성준 (School of Applied Bio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임종희 (School of Applied Bio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곽윤영 (School of Applied Bio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백창기 (School of Applied Bio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정희영 (School of Applied Bio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인중 (School of Applied Bio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신재호 (School of Applied Bio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토양 생태에서 토양미생물은 유기물 분해, 질소 순환, 식물의 질소 이용 등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토양 내 미생물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논 토양의 미생물 생태 다양성을 조사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를 적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논 토양 미생물의 DNA를 분리하기 위하여 lysis buffer method, skim milk bead method, sodium phosphate buffer method, Epicentre SoilMaster DNA extraction kit (Epicentre, USA), Mo Bio PowerSoil kit (Mo Bio, USA)를 이용하여 토양 내 gDNA 최적 추출방법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Mo Bio PowerSoil kit를 사용하였을 때 Shannon 다양성지수가 세균 3.3870, 진균 3.6254으로 미생물 다양성 분석시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DGGE 분석을 위한 조건은 세균의 경우 6% polyacylamide gel, 45-60% denaturing gradient였고, 진균의 경우 6% polyacrylamide gel, 45-80% denaturing gradient에서 최적 분석조건을 보였다. 위의 분석법을 적용하여 논 토양내의 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살펴보면 시간의 변화 요인에 의해 미생물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DGGE 분석법을 통해 논토양 미생물의 분석 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il microbes are important integral components of soil ecosystem which have significant and diverse role in organic matter decomposition, nitrogen cycling, and nitrogen fixation. In this study an effective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method was employed for paddy soil microbial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의 분석법을 적용하여 논 토양내의 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살펴보면 시간의 변화 요인에 의해 미생물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DGGE 분석법을 통해 논 토양 미생물의 분석 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었다
  • 현재 토양 생태에서 토양미생물은 유기물 분해, 질소 순환, 식물의 질소 이용 등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토양 내 미생물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논 토양의 미생물 생태 다양성을 조사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를 적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논 토양 미생물의 DNA를 분리하기 위하여 lysis buffer method, skim milk bead method, sodium phosphate buffer method, Epicentre SoilMaster DNA extraction kit (Epicentre, USA), Mo Bio PowerSoil kit (Mo Bio, USA)를 이용하여 토양 내 gDNA 최적 추출방법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논 토양의 미생물 분포 관찰에 DGGE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몇 가지 토양 DNA 추출법을 시행하고 이들 시료로 행해진 DGGE 결과를 분석하여 가장 안정적인 핵산 추출 방법을 탐구하였고 실제로 이 방법을 이용하여 논 토양 미생물의 군집을 DGGE 방법으로 관찰, 분석하였다
  • . 실제 논 토양에 적용하여 시간별, 농법별 차이 구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세균의 DGGE band 유형을 비교한 결과 각 band의 두께, 즉 우점종의 우점도를 기초로 유사성을 나타내는 Pearson 분석법에서는 6월, 7월, 9월의 시간에 따라 그룹을 확연하게 이루었고, 각 band의 위치를 기초로 우점종의 구성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Jaccard 분석법에서 역시 영천 우렁이 7월, 영천 관행 6월 과 군위 무처리 7월을 제외하고는 시간에 따라 높은 유사성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 미생물이란? 다양하고 복잡한 토양 생태계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인 토양 미생물은 지구의 유기물이나 무기물의 순환에 없어서는 안 되는 매우 중요한 존재이다. 토양 미생물들 간의 상호작용이나 토양미생물과 식물, 토양 미생물과 토양 간의 상호작용은 토양의 생물, 물리, 화학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토양 미생물의 군집 연구를 위한 배양의 단점은? 이러한 토양 미생물의 군집을 이해하는 것은 토양 생태 및 농업 환경의 이해와 관리에 필수적이다(Paul과 Clark, 1989; Hawksworth, 2001; Straatsma 등, 2001; Torsvik 등, 2002). 토양 미생물의 군집 연구를 위해 과거에는 배양 의존적인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배양 가능한 미생물을 실험 대상으로 할 경우에는 배양에 오랜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인공 조건에서의 배양으로는 온도 변화, 습도 변화, pH 변화, 생물 상호작용과 같은 토양의 배양 환경 요인을 충분히 반영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근래에는 토양 환경에 존재하는 세균 중 1% 이하 만이 배양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인공적인 배양 과정을 거치지 않고 시료에서 토양미생물의 핵산을 바로 분석하여 토양 미생물의 군집을 분석하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Schabereiter-Gurtner 등, 2001).
토양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핵산을 직접 탐구하는 방법 인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방법이란? 이렇게 토양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핵산을 직접 탐구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제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genetic fingerprinting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방법은 미생물의 16S RNA 유전자 가닥 간의 염기서열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고유한 Tm 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미생물의 16S RNA 유전자를 이중 가닥을 단일가닥으로 풀어주는 변성제가 연속되는 농도 차이로 함유된 DNA 전기영동 gel 상에서 분리하고 관찰하는 방법이다 (Muyzer 등, 1993). 이 방법은 높은 효율로 많은 시료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일반적으로 미생물 다양성 연구에 많이 쓰이는 분자생물학적 기술로서 토양 뿐만 아니라 (Wang 등, 2004), 하천(Araya 등, 2003), 곤충(Reeson 등, 2003), 식물(Boon 등, 2002), 음식(Ercolini, 2004)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환경 시료로부터의 미생물 분석에 적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raya R, Tani K, Takagi T, Yamaguchi N, and Nasu M (2003) Bacterial activity and community composition in stream water and biofilm from an urban river determined by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and DGGE analysis. FEMS Microbiol Ecol 43, 111-9. 

  2. Boon N, Windt W, Verstraete W, and Top EM (2002) Evaluation of nested PCR-DGGE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with groupspecific 16S rRNA primers for the analysis of bacterial communities from different wastewater treatment plants. FEMS Microbiol Ecol 39, 101-12. 

  3. Ercolini D (2004) PCR-DGGE fingerprinting: novel strategies for detection of microbes in food. J Microbiol Methods 56, 297-314. 

  4. Grosskopf R, Janssen PH, and Liesack W (1998) Diversity and structure of the methanogenic community in anoxic rice paddy soil microcosms as examined by cultivation and direct 16S rRNA gene sequence retrieval. Appl Environ Microbiol 64, 960-9. 

  5. Hawksworth DL (2001) The magnitude of fungal diversity: the 1.5 million species estimate revisited. Mycol Res 105, 1422-32. 

  6. Jiang H, Liao B, Ren X, Lei Y, Mace E, Fu T et al. (2007) Comparative assessment of genetic diversity of peanut (Arachis hypogaea L.) genotypes with various levels of resistance to bacterial wilt through SSR and AFLP analyses. J Genet Genomics 34, 544-54. 

  7. Ludwig JA and Reynolds JF (1988) Statical ecology : A primer on methods and computing, p.96, J Wiley & Sons, New York 

  8. Mills DK, Fitzgerald K, Litchfield CD, and Gillevet PM (2003) A comparison of DNA profiling techniques for monitoring nutrient impact on microbial community composition during bioremediation of petroleumcontaminated soils. J Microbiol Methods 54, 57-74. 

  9. Muyzer G, de Waal EC, and Uitterlinden AG (1993) Profiling of complex microbial populations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of polymerase chain reaction-amplified genes coding for 16S rRNA. Appl Environ Microbiol 59, 695-700. 

  10. NIAST (2000) In Method of soil and plant analysis. pp.103-47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NIAST), Suwan, Korea. 

  11. Paul EA and Clark FE (1989) In Soil Microbiology and Biochemistry. Academic Press, San Diego, CA. 

  12. Reeson AF, Jankovic T, Kasper ML, Rogers S, and Austin AD (2003) Application of 16S rDNA-DGGE to examine the microbial ecology associated with a social wasp Vespula germanica. Insect Mol Biol 12, 85-91. 

  13. Schabereiter-Gurtner C, Pinar G, Lubitz W, and Rolleke S (2001) An advanced molecular strategy to identify bacterial communities on art objects. J Microbiol Methods 45, 77-87. 

  14. Schollenberger CJ (1927) A Rapid Approximate Method for Determining Soil Organic Matter. Soil Sci 24, 65-8. 

  15. Straatsma G, Ayer F, and Egli S (2001) Species richness, abundance, and phenology of fungal fruit bodies over 21 years in a Swiss forest plot. Mycoll Res 105, 515-23. 

  16. Torsvik V, Ovreas L, and Thingstad TF (2002) Prokaryotic diversity-Magnitude, dynamics, and controlling factors. Science 296, 1064-6. 

  17. Vainio EJ and Hantula J (2000) Direct analysis of wood-inhabiting fungi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of amplified ribosomal DNA. Mycol Res 104, 927-36. 

  18. Vazquez-Marrufo G, Vazquez-Garciduenas MS, Gomez-Luna BE, and Olalde-Portugal V (2002) DNA isolation from forest soil suitable for PCR assays of fungal and plant rRNA genes. Plant Mol Biol Rep 20, 379-90. 

  19. Wang YS, Wen CY, Chiu TC, and Yen JH (2004) Effect of fungicide iprodione on soil bacterial community. Ecotoxicol Environ Saf 59, 127-32. 

  20. Williamson KE, Kan J, Polson SW, and Williamson SJ (2011) Optimizing the indirect extraction of prokaryotic DNA from soils. Soil Biol Biochem 43, 736-48. 

  21. Yeates C, Gillings MR, Davison AD, Altavilla N, and Veal DA (1998) Methods for microbial DNA extraction from soil for PCR amplification. Biol Proced Online 1, 4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