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한 박막 형성 기술
Technology of thin Film Formation by Using the Micro Gravure Coater 원문보기

한국정밀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v.30 no.6, 2013년, pp.596 - 600  

김동수 (한밭대학교 글로벌융합학부) ,  김정수 (주식회사 펨스 인쇄전자연구팀) ,  배성우 (동국대학교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report here on the processing and manufacturing of thin film for printed electronics by micro-gravure coating system. The micro-gravure coating systems are consisted of various modules such as web and system tension controller, micro-gravure coating units, dispenser and hybrid dry units (UV, N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팅 장비를 디자인, 설계 및 제작하여 각각의 요소기술들에 대해 소개하고, 실제 코팅 공정을 통해 코팅 속도, 코팅 표면 물성 등을 측정하여 연속공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한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한 최적의 코팅 공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OLED, OPV같은 인쇄전자소자의 구조를 살펴보면 전면 코팅이 필요한 투명 전극층과 부분면 코팅이 요구되는 반도체잉크 및 접촉 전극층으로 구성되며, 전면 코팅이 필요한 투명 전극층의 두께는 40nm 이하, 부분면 코팅이 요구되는 활성층 또는 발광층은 50-200nm, 버퍼층은 50nm 이하, 접촉 전극층은 1um 이상의 두께를 코팅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들 소자를 제작하기 위한 멀티 코터의 공정기술과 개발된 장비를 소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배치 타입 코팅 방식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산업화에 이르기에 다소 문제점이 있었던 코팅 속도 및 코팅에 따른 표면거칠기 등을 개선하고 대량생 산이 가능할 수 있도록 연속 공정 방식의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터를 개발하고 이에 따른 공정 연구를 수행하였다. 코팅 결과를 비교했을 때 코팅 두께는 기존 코팅 방식에 비해 더 넓은 범위의 코팅 두께를 형성 할 수 있었으며, 코팅 후 표면거칠기는 보다 안정된 거칠기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코팅 방식 대신 연속, 대량생산이 가능한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팅 장비를 설계 및 제작하고 이에 따른 코팅 공정 실험을 수행하여 본 연구 범위 안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팅 장비를 디자인, 설계 및 제작하여 각각의 요소기술들에 대해 소개하고, 실제 코팅 공정을 통해 코팅 속도, 코팅 표면 물성 등을 측정하여 연속공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한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한 최적의 코팅 공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한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한 최적의 코팅 공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OLED, OPV같은 인쇄전자소자의 구조를 살펴보면 전면 코팅이 필요한 투명 전극층과 부분면 코팅이 요구되는 반도체잉크 및 접촉 전극층으로 구성되며, 전면 코팅이 필요한 투명 전극층의 두께는 40nm 이하, 부분면 코팅이 요구되는 활성층 또는 발광층은 50-200nm, 버퍼층은 50nm 이하, 접촉 전극층은 1um 이상의 두께를 코팅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들 소자를 제작하기 위한 멀티 코터의 공정기술과 개발된 장비를 소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전자소자에는 무엇이 있는가?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Organic photovoltaics (OPV),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OTFT),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printed battery, Touch screen panel (TSP) 등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다양한 전자소자들은 대부분 진공증착 공정에 의해 제작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진공 증착 공정은 연속적인 공정, 예를 들어 롤투롤 공정과 같은 연속적인 공정에 적용이 어려워 제조단가의 상승을 야기시켰다.
진공 증착 공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Organic photovoltaics (OPV),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OTFT),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printed battery, Touch screen panel (TSP) 등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다양한 전자소자들은 대부분 진공증착 공정에 의해 제작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진공 증착 공정은 연속적인 공정, 예를 들어 롤투롤 공정과 같은 연속적인 공정에 적용이 어려워 제조단가의 상승을 야기시켰다. 따라서 최근의 많은 연구자들은 이러한 배치 타입의 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연속 코팅 및 프린팅 공정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ESD, Aerosol jet 등의 코팅 기술 방식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기존의 코팅 방식에는 정전기력을 이용한 ESD (Electro Static Deposition), 공압을 이용한 Aerosol jet 등의 코팅 방식이 주를 이루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코팅 방식은 연속적인 공정이 어려워 대량생산 측면에서의 한계가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이들 코팅 방식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공통적인 문제점은 코팅 공정 후 표면 거칠기가 불안정하여 이를 이용한 전자 소자 제작 시 전체적인 효율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Kim2등은 정전기력과 공압을 Hybrid 방식으로 이용하여 코팅 두께 97~360nm, 표면거칠기 3~12nm, 코팅 속도 1~2min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연태양전지를 제작하여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

  1. Kim, D. S., "Ultra Precision Continuous Manufacturing System for Printed Electronics," Printed Electronics in USA, 2012. 

  2. Kim, J. S., "A Thin Film Forming Technique base on a Hybrid Spray Coating using Electro Static Force and Air Pressure," Ph.D.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