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구제역 방역대책의 동태적 분석: 2010년 11월 구제역 감염을 중심으로
A Dynamic Analysis of Control Measures Against Foot-and-Mouth Disease Epidemic in Korea, November 2010 원문보기

한국 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 =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v.14 no.4, 2013년, pp.37 - 62  

전재호 (한국교통대학교 행정정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some clues about effectiveness and implementing timing of the control measures against Foot-and-Mouth Disease (FMD) in Korea. To do that, the case of FMD, which broke out during November 2010 in Korea, is examined and constructed as a system dynamics simul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2010 하반기 구제역 감염 사례’에서도 나타났었던 바와 같이, 신속하고도 정확한 초동 대처가 부족하였다(김정호 외,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제역 확진이후 신속한 이동제한조치의 효과성을 일차적으로 시뮬레이션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Rich(2008)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시행되는 사후적 대책의 현실적 효과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 범위에는 2010년 11월에 안동에서 발생하여 전국으로 확산된 구제역 확산과정과 사후적 방역활동 전반이 포함된다.

가설 설정

  • (가정 1) 우제류 가축들을 축종별로 구분하지 않고 단일 집단으로 모형에 반영한다.
  • (가정 2) 구제역은 감염축(또는 감염지역)을 중심으로 가까운 지역부터 원형으로 확산이 진행된다.
  • (가정 2)는 기본적으로 전염병 확산 행태를 반영한 것이다. 동시에, 현재 시점에서 우리 나라 우제류 사육농장 자료(농장별 위치, 면적, 사육두수 등)가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지 못하다는 현실적 한계로 인해 불가피하게 설정한 가정이기도 하다.
  • (가정 3) 구제역 감염가능성을 근거리 감염가능성과 원거리 감염가능성으로 이원화하여 고려한다.
  • 물론, 이러한 우제류 사육농장 자료가 활용가능하다면 보다 세분화된 모형수립을 고려할 수는 있겠지만 이는 ‘위치정보를 함께 사용하는 시뮬레이션 모델수립’이라는 새로운 연구과제로써 상당한 추가 연구를 필요로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정 3)은 본 연구 모델링에서 핵심적인 부분에 해당한다. 즉, (가정 2)에서 구제역이 감염축(감염지점)을 중심으로 원형의 형태를 띠면서 점진적으로 확산된다고 보았기 때문에 감염지역과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감염이 발생하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 즉, 대규모 집적사육이 이루어지는 하나의 농장에 감염축이 한마리라도 발생하면, 이는 전체 가축이 감염되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급격한 감염확산이 실제 데이터에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시뮬레이션 모델에서는 농장 위치 및 농장별 사육두수 자료의 부재로 인해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전체 우제류 가축들이 고르게 산재된 것을 묵시적으로 가정하고 있다. 또한, 현실에서 구제역 확진은 농장주의 신고와 방역당국의 확인에 의해 일정한 시차를 두고 감염축수 자료가 수집되게 되므로 확진시점은 실제 감염 시점보다는 시간지연이 개입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
  • 하지만, 분명한 것은 원거리 감염의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정리해보면 (가정 2)는 특정 지역에 감염축이 발생하면 그로부터 인근 지역으로 원형으로 확산이 이루어진다는 근거리 감염방식에 대한 가정이고, (가정 3)은 구제역이 감염축과 일정거리내에서만 감염이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매개체에 의해 원거리 감염도 발생한다는 사실을 반영한 가정이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원거리 감염’에 의해 감염이 발생한 감염축도 감염 직후부터는 다시 인근의 비감염축들을 대상으로 근거리 감염을 발생시킨다는 사실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제역 바이러스가 보균 상태로 대부분의 감염축이 생존하는 문제로 인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 구제역에 감염된 성우나 성돈이 폐사하는 비율은 높지 않지만, 치료약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바이러스 보균 상태로 대부분의 감염축이 생존하게 된다. 이러한 바이러스 보균성과 고전염성으로 인해 구제역 감염국의 축산물 해외수출이 금지되게 되고, 결과적으로 구제역 감염국가는 치명적인 경제적 손실을 피할 수 없게 된다(Rich, 2008). 따라서, 축산물 수출을 희망하는 구제역 감염국가는 감염축(감염 의심축 포함)을 살처분하고, 일정기간동안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인증받음으로써 수출가능 국가로의 지위회복에 국가적인 노력을 투입할 수 밖에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구제역이란 무엇인가? 구제역은 소, 돼지 등과 같이 발굽이 둘로 갈라진 우제류(偶蹄類) 동물들에서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구제역에 감염된 성우나 성돈이 폐사하는 비율은 높지 않지만, 치료약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바이러스 보균 상태로 대부분의 감염축이 생존하게 된다.
구제역의 특징은 무엇인가? 구제역은 소, 돼지 등과 같이 발굽이 둘로 갈라진 우제류(偶蹄類) 동물들에서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구제역에 감염된 성우나 성돈이 폐사하는 비율은 높지 않지만, 치료약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바이러스 보균 상태로 대부분의 감염축이 생존하게 된다. 이러한 바이러스 보균성과 고전염성으로 인해 구제역 감염국의 축산물 해외수출이 금지되게 되고, 결과적으로 구제역 감염국가는 치명적인 경제적 손실을 피할 수 없게 된다(Rich,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