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스템의 회복성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의 적용
Considering the Concept of Resilience toward Applying to System Dynamics Approach 원문보기

한국 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 =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v.14 no.2, 2013년, pp.5 - 30  

전대욱 (한국지방행정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cept of resilience in complex and adaptive socio-economic systems, has been a buzz word in international societies and academies related to policy maker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ince some years ago. This paper deals with an application of the resilient concept, which has been told sin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회복성(resilience)의 개념과 발전과정을 리뷰하고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관점에서의 적용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에 소속된 연구자들이 회복성의 개념을 응용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도로 추진되었다. 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자들은 복잡계와 적응적 진화과정에 대한 이해는 물론 동시에 사회과학적이며 정책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융합적 관점의 연구자들로서, 경제, 사회, 정치, 환경, 도시, 정책 등이 링크된 복잡계의 회복성에 대한 ‘시스템 사고(system thinking)’를 통해 회복성을 증가시키는 기제와 정책을 탐구할 수 있다.
  • 또한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관점에서선형 및 비선형 시스템에서의 균형회복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안정성(stability)에 초점을 둔회복성에 대해 논의하였고, 아울러 특정 생태계 모델을 예시로 제시하며 다중안정성(multi-stability)이 관찰되는 보다 복잡한 비선형 시스템에서의 균형레짐의 변화와 회복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위계를 포함한 적응적 복잡계에서의 휴리스틱 모델로서 재생주기론을 검토하면서 회복성에 대한 적응적 복잡계의 속성과 정책적 방향에 대해서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은 시스템의 중요한 속성으로 회복성에 대하여 단순한 시스템부터 적응적 복잡계까지 다양한 대상에 따라 달라지는 개념과 이론들을 정리하였다. 단일기능을 수행하는단순한 시스템에 관한 협의의 회복성에 대한 개념으로서 회복속도 중심의 공학적 회복성(engineering resilience)에 대해 우선적으로 검토하였다.
  •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시스템 구조에 대한 탐색과 시스템 행태에 대한 시스템 사고의 일환으로서,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경제 및 생태적 시스템에 대한 ‘회복가능한 사고(resilient thinking)’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를 위한 리뷰 페이퍼로서의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시스템 이론과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이론적 측면에서의 회복성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 아울러 생태학자와 시스템론자, 사회과학자들의 최신 융합적 논의의 결과물들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융합론자들은 회복성을 설명하는 새로운 모델로서 ‘적응적 재생주기 (adaptive renewal cycles)’를 주창하고 있으며, 적응적 복잡계의 내외부의 위계간 통합적 모델로서 ‘범계성(Panarchy: pan+hierarchy)’을 설명하고 있다(Berkes et al.
  • 그러나, 복수의 균형이 존재하는 시스템에서는 균형의 안정성에 따라 시스템의 회복성에 대한 측정은 복잡해진다. 우선 [그림 3a] 및 [그림 3b]와 같이 분기현상(bifurcation)을 야기시키는 단순한 형태의 시스템에서 분기된 복수균형들의 안정성을 논함으로써 회복성에 대해 논해보자.
  •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회복성(resilience)의 개념을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이론적 관점에서 정의하고 실제적인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시도를 우선적인 목적으로 한다. 회복성의 개념은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응용되고 발전되어 왔지만, 본 연구에서는 그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시스템 이론과 융합학적인 관점에서 개념적 발전과정을 소개하고,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관점에서 이러한 개념과 논의를 해석하고자 한다.
  •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회복성(resilience)의 개념을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이론적 관점에서 정의하고 실제적인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시도를 우선적인 목적으로 한다. 회복성의 개념은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응용되고 발전되어 왔지만, 본 연구에서는 그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시스템 이론과 융합학적인 관점에서 개념적 발전과정을 소개하고,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관점에서 이러한 개념과 논의를 해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은 융합학의한 분야에 자리잡고 있는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이론적인 진보와 학제간 연구에서 제시된 최신 이론의 적용, 아울러 실제적이며 정책적인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활용 측면에서도 매우 유용하다.

가설 설정

  • [그림 5]와 같이 균형레짐의 변화(5a→5b)를 설명하는 안정성 경관지도(stability landscape)5)를 가정해보자.
  • 우선 [그림 2a]의 목표값 접근행태를 볼 때, 균형점 X = a 에 도달해 있는 시스템이 외부충격을 받아 목표값에 미달된 X < a 로 되었다고 가정해 보자.
  • 이 안정적 균형점에 시스템이 머물다가, 미세한 외부충격으로 인해 시스템 변수 X가 개구간 (–a, a) 범위 내에서 균형을 이탈했다고 가정해 보자.
  • 이러한 비선형 시스템에서의 회복성을 논하기 위해 보다 넓은 시스템 총합적 관점에서 변화를 가정해 보자. 위 모델은 싹벌레의 개체밀도 변화에 대한 시스템이었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싹벌레와 나무를 동시에 고려한 시스템 사고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는 가문비 나무가 증감하는 상황을 가정한 결과이다. 즉, 숲이 우거지면서 싹벌레의 먹이인 나뭇잎이 증가함에 따라 한계용량 K와 함께 반포화율 a가 점차로 증가하는 상황, 즉 Q는 고정되었으나, R은 증가한다는 가정이다. 경관도에는 반포화율의 증가와 관련된 R의 변화에 따른 세 종류의 싹벌레의 개체밀도 X의 동적 균형점이 제시되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균형루프란? 우선, 시스템이 어떤 동적 균형상태(dynamic equilibrium 혹은 an attractor)에 머물 때, 이는 시스템 내의 균형 피드백루프(balancing feedback loop)가 작용한 결과이다. 균형루프는 시스템이 항상 일정수준(steady-states)에 머무르게 하는 항상성(homeostasis)의 근원이 되는 역학작용이다. 상기 생태계의 예에서 산불은 먹이사슬 상의 종들의 개체수를 줄이는 충격을 통해 개체수를 일정수준으로 유지시켜주는 동적 균형상태를 이탈하게 한다.
공학적 회복성인 회복속도(return time)를 결정하는 요인은? 우선, 공학적 회복성인 회복속도(return time)는 [그림 5a]에서는 세 가지 요인으로 제시된다. 균형레짐 변화 전의 회복성은 결국 기존의 균형으로 복귀하는 것으로서, 이를 결정하는 요인은1) 융통성(Latitude: 임계점, 즉 수렴영역의 경계를 벗어나 회복불가능 직전까지의 시스템 변화범위), 2) 저항성(Resistence: 시스템 변화가능성, 충격으로부터 현 상태가 요동칠 가능성), 3) 불안정성(Precariousness: 수렴영역의 경계를 벗어날 개연성, 경계로부터의 거리)이다(Walker et al., 2004).
시스템 이론에서 동적 균형의 안정성이란? 본질적으로 회복성(resilience)은 동적 균형(dynamic equilibrium or steady states)을 형성하는 동역학 작용이나, 혹은 외부교란(disturbances)에 의해 일시적으로 균형에서 이탈한 시스템이 균형으로 회복 혹은 목표값으로 접근하는 행태 (goal-seeking behavior)를 의미한다(Senge, 1990; Sternman, 2000: 111-114). 또한 시스템 이론에서 동적 균형의 안정성은 시스템 다이내믹스에서 풍부한 음의 피드백 루프(balancing loops)로 이루어진 시스템 구조를 의미한다(전대욱, 정회성, 2010). 따라서 회복성은 시스템의 동태적 행태에 대한 구조적 탐색에 관한 접근체계로서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연구자들에게 일차적인 관심사일 수 밖에 없고, 시스템이 균형상태(steady state)에 도달하는 본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시스템 다이내믹스는 회복성을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는 우선적인 접근 방법이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