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정보기술정책연구: 시나리오플래닝 적용을 통한 플랫폼 구축 중심으로
A Study on Technology Policy with Spatial Information System of S. Korea Analysed by the Application of Scenario Planning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16 no.1, 2013년, pp.130 - 155  

이상윤 (국립부경대학교 공간정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분야에 있어서, 2000년대 중반부터 기존의 PC기반에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반으로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라는 스마트사회에 있어, 공간정보기술정책의 바람직한 미래전략 설정을 위한 정책추진의 전략방향을 고찰하고 그 방안을 모색하여 본다. 또한 이를 통해, 형성초기단계인 공간정보기술정책의 미래전략프레임을 설정하고 바람직한 안을 제시한다. 곧 본 논문은 공간정보기술정책 추진의 미래상을 시나리오플래닝을 통하여 고찰하여 보고 향후 추진방향을 제시하며, 형성초기단계인 공간정보기술정책의 바람직한 미래전략을 제시하고 그 정책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본고에서 제시된 쌍방향 거버넌스를 지향하는 플랫폼 구축은 그러한 점에서 큰 함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societ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has been developed rapidly, because of changing from web environment to ubiquitous environment, a lot of countries across the world as well as S. Korea have come to search out new technology policy with spatial information system for smart society as ubiqu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이를 통해, 형성초기단계인 공간정보기술정책의 미래전략프레임을 설정하고 바람직한 안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공간정보기술정책 추진의 미래상을 시나리오플래닝을 통하여 고찰하여 보고 향후 추진방향을 제시하며, 형성초기단계인 공간정보기술정책의 바람직한 미래전략을 제시하고 그 정책을 모색한다.
  • 따라서 본고에서는 쌍방향소통이 강조되는 앞으로의 거버넌스 중심의 공간정보정책의 정립방안으로서 이에 합당한 공간정보 부문 기술정책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 국가경쟁력강화 차원에서 한국의 미래를 대비하는 앞으로의 관련 공간정보기술정책 전략방향을 고찰한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해서 정책의 추진에 있어서의 미래상을 시나리오플래닝을 통하여 고찰하여 보고 바람직한 공간정보기술정책 마련을 위한 그 추진방향성을 고찰한다.
  • <표 11>처럼, 시나리오플래닝은 미래예측(foresight)의 한 방법이다(이상윤 2012b: 301).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 시나리오플래닝 방법론을 활용하여 공간정보기술정책 추진에 있어서의 미래상을 도출한다. 시나리오플래닝은 미래가 어떤 모습일지에 대한 정합성 있는 견해를 만든다(마이클 포터, 1995).
  •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에서, 쌍방향이며 개별사업을 총괄하여 추진할 수 있는 공간정보정책에서의 향후 구축방향을 마련하고 그 기반을 조성하고자, 공간정보기술정책에 대한 기본적인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국가정책으로서 공간정보기술정책은 플랫폼 사고에 기반을 두고 구축되어야 하고, 따라서 이 분야 정책구축은 앞으로의 스마트사회에 적합한 수평적 네트워크가 강조되는 거버넌스 중심으로 만들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가 일방향에서 쌍방향으로의 스마트사회에 적합한 플랫폼사고에 기반을 둔 공간정보기술정책을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향후 어떠한 방법으로 진행할 것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방안과 함께, 보다 구체적인 논의를 전개하지 못한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 시나리오플래닝은 미래가 어떤 모습일지에 대한 정합성 있는 견해를 만든다(마이클 포터, 1995).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나리오플래닝 방법론을 준용하여 다음의 순서로 공간정보기술정책 미래상을 도출하고 바람직한 정책을 제시한다.
  • 본고에서 도출한 공간정보기술정책 플랫폼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곧 사회가 보유한 여러 가치를 구축하고 연결하기 위한 환경으로서 이 공간정보기술정책 플랫폼이라는 개념아래에서 정책을 구축하고 추진하면, 공개된 사회의 지식이나 정보 등을 여러 이해관계자 모두가 공유 하게 되고, 네트워크효과를 통해 사회전체의 가치가 증대되는데, 이를 미래예측방법론인 시나리오 플래닝 방법론을 통하여 고찰하였던 것이다.
  • 따라서 본고에서는 쌍방향소통이 강조되는 앞으로의 거버넌스 중심의 공간정보정책의 정립방안으로서 이에 합당한 공간정보 부문 기술정책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 국가경쟁력강화 차원에서 한국의 미래를 대비하는 앞으로의 관련 공간정보기술정책 전략방향을 고찰한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해서 정책의 추진에 있어서의 미래상을 시나리오플래닝을 통하여 고찰하여 보고 바람직한 공간정보기술정책 마련을 위한 그 추진방향성을 고찰한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00년대 중반부터 기존의 PC기반에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반으로의새로운 패러다임 변화라는 현재의 스마트사회에 있어, 한국의 미래국가경쟁력을 좌우할 공간정보기술정책의 바람직한 미래전략설정을 위한 그 추진의 전략방향을 고찰하고 그 방안을 모색하여 본다. 또한 이를 통해, 형성초기단계인 공간정보기술정책의 미래전략프레임을 설정하고 바람직한 안을 제시한다.
  • 향후 한국의 공간정보기술정책 추진에 있어, 바람직한 시나리오1을 달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공간정보기술정책 플랫폼’을 그 주요한 전략으로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비쿼터스 스마트사회란 무엇인가? 1990년대 후반부터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정보통신기술(ICT)이 급속히 확산되었다. 그리고 2000년대 중반부터는 이러한 ICT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스마트폰과 아이패드의 등장으로 대표되는 스마트기술의 발전으로 이제는 언제 어디서나 지식정보를 접하고 활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스마트사회로 진입하였다. 이제 시민들 스스로가 생산자와 소비자가 되어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과 같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기를 통해 서로 간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고 생산, 공급, 유통할 수 있게 되었다.
유비쿼터스 공간에서는 무엇이 실현되는가? 이제 시민들 스스로가 생산자와 소비자가 되어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과 같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기를 통해 서로 간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고 생산, 공급, 유통할 수 있게 되었다. 곧 이러한 스마트사회의 시작은 정보통신기술에 직접적으로 연계되는 유비쿼터스 환경과 밀접하게 관련되는데 인터넷, 통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관련 기술들은 정보통신기술에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제3의 공간이라는 ‘유비쿼터스 공간’에서 실현되고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기는 증강현실을 구현한다(이상윤, 2012a: 616). 그리고 여기에는 공간정보기술이 있기에 가능하다.
국내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만드는 공간정보기술의 개발과 투자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현재 세계 각국은 국가경쟁력 강화차원에서 유비쿼터스 환경을 만드는 공간정보기술의 개발과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다1). 곧 2000년대 중반이후 스마트폰 등장으로 대표되는 ICT기술의 급속한 변화와 함께, 공간을 매개로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대두되면서 국가공간정보체계에 있어서 새로운 정책과 전략이 요구되었고, 이에 한국정부 역시 국가경쟁력 강화차원에서, 국가공간정보체계의 효율적 구축과 활용 및 관리를 위해 2010년 3월에 ‘제4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이러한 추진을 뒷받침하고 전략방향을 제시하는 공간정보정책에 관한 학문적인 연구는 이제 걸음마 수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