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개방을 위한 학교도서관의 역할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Model of Joint School-Public Libraries for Rural Communiti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7 no.2, 2013년, pp.25 - 43  

이미영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남영준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는 공공도서관의 수가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으로부터 소외된 지역의 학교도서관이 학교구성원에 대한 서비스와 함께 마을공동체의 문화커뮤니티로서 지역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현재 네이버 문화재단 등의 민간단체에서 정보소외지역을 대상으로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서 학교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의 확대를 위한 '우리학교마을도서관'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학교마을도서관들이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서 지역주민들에게 도서관 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고,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필요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네이버 문화재단에서 지원하고 있는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을 대상으로 교장, 운영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이 정보소외지역에서 실질적인 정보격차 해소에 충분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이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의 역할과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 등으로부터 외부지원의 확보, 운영자들의 직무 교육 실시, 지역주민들의 적극적 참여, 다양한 도서관서비스의 마련 등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uth Korea has fewer public libraries than other developed nations of OECD. This calls for a more diverse role of school libraries in the geographically isolated areas. School libraries should provides services for not only its students and faculty, but also the surrounding neighborhood as a part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의 발전 및 활성화를 위한 요인에 대해 교장과 운영자들에게 조사를 하였다. 우선 교장에 있어서는 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필요요인으로 ‘지역주민의 관심과 참여’(4.
  • 본 연구에서는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서의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을 확인하였고,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이 지속적인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서 기능하기 위해서 필요한 요구사항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네이버문화재단에서 지원하는 237개의 읍면동 소재지의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의 교장, 운영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여기서는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이 마을공동체 도서관으로서 역할과 기능을 확인하고자 하였고,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이 지속적인 마을공동체 도서관으로서 기능하기 위해서 필요한 요구사항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네이버문화재단에서 지원하는 237개의 읍면동 소재지의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의 교장, 운영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 필요한 의견을 교장과 운영자에게 확인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서의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을 확인하고자 하였고,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이 지속적인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서 기능하기 위해서 필요한 요구사항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네이버문화재단에서 지원하는 237개의 읍면동 소재지의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의 교장, 운영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한편,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을 이용한 이용자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도서관 자산의 부문별 만족도와 관련 요인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네이버문화재단을 비롯하여 국민은행 등과 같은 민간단체에서 어떤 사업을 통해여 학교도서관의 개관시간을 연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역학교도서관을 지역주민들의 마을공동체의 문화커뮤니티로 육성하고 있는가? 한편 네이버문화재단을 비롯하여 국민은행 등과 같은 민간단체에서 우리학교마을도서관 지원사업을 통해 학교도서관의 개관시간을 연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역학교도서관을 지역주민들의 마을공동체의 문화커뮤니티로 육성하고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민간단체에서 지원하는 우리학교마을도서관 지원사업의 한계점은 지속성 확보의 한계를 갖고 있다.
실제적으로 공공도서관의 양적인 부족으로 인해 지역의 주민들에게 어떠한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 하고 있는가? 이러한 상황에 따라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의 문화적 서비스와 교육적 서비스 중심으로 도서관 서비스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공공도서관 서비스 정책에 따라 지역주민들은 공공도서관을 통한 자료대출과 열람, 문화프로그램의 참여함으로써 민주시민이 누려야 할 것과 갖춰야 할 지식과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서비스 받고 있다. 하지만 실제적으로는 공공도서관의 양적인 부족으로 인해 지역의 주민들에게 이러한 서비스가 제공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우리학교마을도서관 지원사업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한편 네이버문화재단을 비롯하여 국민은행 등과 같은 민간단체에서 우리학교마을도서관 지원사업을 통해 학교도서관의 개관시간을 연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역학교도서관을 지역주민들의 마을공동체의 문화커뮤니티로 육성하고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민간단체에서 지원하는 우리학교마을도서관 지원사업의 한계점은 지속성 확보의 한계를 갖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단체에서 지역 학교도서관에 대한 지금까지의 지원을 줄이거나 더 이상 지원하지 않을 경우 기존에 학교도서관을 통해 제공되었던 도서관 서비스는 축소되거나 폐지될 수밖에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강경원. 2011. 학교도서관 개방에 대한 학교도서관 담당자의 인식 연구. 디지틀도서관, 61: 86-120. (Gang, Gyeongwon. 2011. "A Study on Awareness of School Library Staff about School Libraries Opening." Digital Library, 61: 86-120.) 

  2. 곽철완. 2007. 통합도서관의 발전과 그 효과.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2): 337-352. (Kwak, Chul-Wan. 2007. "Joint-Use Libraries: Development and Effect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2): 337-352.) 

  3. 권은경, 김종성. 2010. 학교도서관지원센터의 현장 지원 과제와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3): 225-248. (Kwon, Eun-Kying, & Kim, Jong-Sung. 2010. "An Analysis on the Tasks of a School Library Support Center: A Case Study of JungBu Public Library of Ul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3): 225-248.) 

  4. 김종성. 2010. 학교도서관 지역사회 개방의 문제와 발전적 원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4): 17-31. (Kim, Jong-Sung. 2010. "A Study on the Problems and Principles of the School Library Opening Polic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4): 17-31.) 

  5. 김하정. 2012. 지역문화센터로서의 학교도서관 개방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디지틀도서관, 67:19-39. (Kim, Hajung. 2012. "A Study on the State of the Art and Improvement of Open School Library as Community Cultural Center." Digital Library, 67: 19-39.) 

  6. 남영준, 최성은, 김규환. 2009. 학교도서관의 리모델링 이후 이용자 만족도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4): 31-60. (Nam, Young-Joon, Choi, Sung-Eun, & Kim, Gyu-Hwan. 2009. "A Case Study on the Users Satisfaction in School Library after Remodeling."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4): 31-60.) 

  7. 송기호. 2009. 학교도서관 컨설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2):335-353. (Song, Gi-Ho. 2009.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School Library Consulting: Based on the Schools not Employing a Teacher Libraria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2): 335-353.) 

  8. 신지연, 김유승. 2012.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1):277-297. (Shin, Ji-Yeon, & Kim, You-Seung. 2012. "A Study on School Library Opening to Local Community: Focused on School Libraries in Gang-Nam Gu, Seoul."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1): 277-297.) 

  9. 이경민. 2004. 초등학생 독서교육을 위한 도서관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공공도서관의 학교도서관 지원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3): 95-117. (Lee, Kyung-Min. 2004. "Public Library as the Main Supporter for School Library A Study on the Library Cooperation for the Read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5(3): 95-117.) 

  10. 이병기. 2009.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구조와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203-223. (Lee, Byeong-Ki. 2009. "Study on the Structure and Contents Analysis of America New School Library Standards Sets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3): 203-223.) 

  11. 이지연. 2009. 학교도서관이 학교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4): 353-380. (Lee, Jee-Yeon. 2009. "A Study on the Effects of School Libraries in Schoo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4): 353-380.) 

  12. 정동열, 김성진. 2002.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3(2): 5-28. (Jeong, Dong-Youl, & Kim, Sung-Jin. 2002. "A Policy Study on the Public and School Library Coop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3(2): 5-28.) 

  13. 조미아. 2009. 학교도서관 환경변화에 따른 학교도서관 운영 전문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493-516. (Cho, Mi-Ah. 2009. "A Study on the Roles of School Librarhy Professionals Followed by Environment Changes of School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1): 493-516.) 

  14. 한상완. 2006. NGO-Government Partnership for the Dynamic Development of Korean Libraries and the Promotion of Reading.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4): 21-31. (Han, Sang-Wan. 2006. "NGO-Government Partnership for the Dynamic Development of Korean Libraries and the Promotion of Read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4): 21-31.) 

  15. 한국도서관협회. 2012. 우리학교마을도서관 중장기 발전방안 구축. 한국도서관협회. (KLA. 2012. A Study on the Mid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 for Uri school-community libraries. Korea Library Association.) 

  16. e나라지표. 공공도서관현황. 2013년 4월 1일. [online] [cited 2013.4.30]. . (e-Nara Index. Current Status of Public Library in South Korea. April 1, 2013. [online] [cited 2013.4.30]. .) 

  17. Auld, H. 2002a. "Combined school-public library facilities: Opinions, case studies, and questions to consider, Part 1." Public Libraries, 41(5): 248-255. 

  18. Benstead, Kerry, Spacey, Rachel, & Goulding. Anne. 2004. "Changing public library service delivery to rural communities in England." New Library World, 105(11-12): 400-409. 

  19. Bundy Alan L., & Amey, L. J. 2006. "Libraries Like No Others: Evaluating the Performance and Progress of Joint Use Libraries." Library Trends, 54(4): 501-518. 

  20. Everhart, N. 2003. "Combined school-public libraries." Knowledge Quest, 32(1): 58-61. 

  21. Haggis, S., & Goulding, A. 2003. "Books to rural users: public library provision for remote communities." New Library World, 104(3): 80-93. 

  22. Kluever, Joanna, & Finley, Wayne. 2012. "Making Connections: Challenges and Benefits of Joint Use Libraries as Seen in One Community." School Libraries Worldwide, 18(1): 48-55. 

  23. Nichols, L. 2002. "Joint school-public librarie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Public Libraries, 41(6): 312-314. 

  24. McNicol, Sarah. 2006. "What Makes a Joint Use Library a Community Library?" Library Trends, 54(4): 519-534. 

  25. Pearlmutter, Jane, & Nelson, Paul. 2011. "When Small is All: The Successful Small Public Library Director Wears Many Hats Smartly." American Libraries, 42(1-2): 44-47. 

  26. QUEENSLAND GOVERNMENT Department of Education. 1996.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Joint-use School-Community Libraries, Queensland. 

  27. Special Library Association, Dual Use Libraries. [online] [cited 2013.4.30]. . 

  28. Village School Library Media Center. [online] [cited 2013.4.30].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