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Proposal for the Revitalization of Small Libraries in the Residential Communities in Gyeonggi-do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4 no.3, 2020년, pp.71 - 95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최만호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윤정 (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  장로사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국내 작은도서관이 가장 많이 소재하고 있는 경기도에는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의 비율이 42%에 이르고 있으나, 법적 의무에 의해 설립된 도서관들이 자발적 의지에 의존하여 관리·운영됨에 따라 휴관·폐관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단지 내 마을 공동체의 구심점 역할을 통해 활성화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작은도서관의 현황 조사, 경기도 및 31개 시군의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운영자 및 관계자 대상의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공동주택단지내 작은도서관 운영의 실제적인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작은도서관에 대한 공동체 인식 개선, 자체 운영 능력 배양, 법·제도 개선, 지자체의 지원 강화의 4가지 목표를 설정하여 실천방안을 도출하였다. 사회의 변화에 따른 경기도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뿐 아니라 타 사립작은도서관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연구도 수행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Gyeonggi-do(province), where the largest number of small libraries are located in Korea, 42% of small libraries are located in apartment complexes. However, as libraries established under legal obligations are managed and operated on voluntary will, there have been numerous ongoing cases of tempo...

주제어

표/그림 (2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도서관의 전반적인 운영에 관련된 의사 결정은 도서관운영위원회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그 구성을 의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서관운영위원회의 구성은 최소 5인 이상으로 하며, 입주자대표회의 대표, 관리소장, 도서관 관장(입대의 임원 중 1인), 실무운영자, 봉사자 대표 등으로 구성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에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해 운영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설립 유형의 특성에 적합한 구체적인 정책 제안을 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의 특성에 적합한 활성화 정책 방안 연구를 도출하기 위하여 작은도서관의 운영자 및 관계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신도시 개발에 따라 급증하는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의 건립과 활성화 유도 정책 방안을 마련하고, 이미 설립되어 운영 중인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운영의 실제적인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2019년 12월 말 기준의 경기도 내 공동주택단지 작은도서관 관계자 및 운영자를 대상으로 작은도서관 운영 현황과 문제점, 운영의 만족도, 지자체 지원에 대한 의견 등의 설문조사와 경기도 작은도서관 관계자를 대상으로 도서관 활성화 방안 조사와 현장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작은도서관 운영자의 의견을 기반으로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활성화 유도 정책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지역 공동체 대상의 원활한 홍보활동을 위한 전용홈페이지를 구축하여 아파트 게시판이나 인터넷 카페를 통해서는 제공할 수 없는 상세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경기도 작은도서관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특히 사립 작은도서관은 개별 전용홈페이지를 구축하여 운영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에 대한 제도적 보완책과 정책 개발을 통해 지역주민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제공되는 작은도서관 건립과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의 운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도출된 문제점과 의견을 분석하여 활성화를 위한 정책 개선안을 정리하였다( 참조).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신도시 개발에 따라 급증하는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의 건립과 활성화 유도 정책 방안을 마련하고, 이미 설립되어 운영 중인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운영의 실제적인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2019년 12월 말 기준의 경기도 내 공동주택단지 작은도서관 관계자 및 운영자를 대상으로 작은도서관 운영 현황과 문제점, 운영의 만족도, 지자체 지원에 대한 의견 등의 설문조사와 경기도 작은도서관 관계자를 대상으로 도서관 활성화 방안 조사와 현장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 이에 2019년 12월 말 기준의 경기도 내 공동주택단지 작은도서관 관계자 및 운영자를 대상으로 작은도서관 운영 현황과 문제점, 운영의 만족도, 지자체 지원에 대한 의견 등의 설문조사와 경기도 작은도서관 관계자를 대상으로 도서관 활성화 방안 조사와 현장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작은도서관 운영자의 의견을 기반으로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활성화 유도 정책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국 작은도서관의 수가 2018년 몇 개인가? 국내 작은도서관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5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잔지에 작은도서관 설치를 의무화하는 규정이 제정된 2013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작은도서관의 수는 해마다 계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13년에는 총 4,686개관이었던 전국 작은도서관의 수가 2018년에는 총 6,330개관으로서 35.1% 증가하였다(김홍렬 2018; 문화체육관광부 2019).
전국 작은도서관의 수가 2013년 몇 개인가? 국내 작은도서관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5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잔지에 작은도서관 설치를 의무화하는 규정이 제정된 2013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작은도서관의 수는 해마다 계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13년에는 총 4,686개관이었던 전국 작은도서관의 수가 2018년에는 총 6,330개관으로서 35.1% 증가하였다(김홍렬 2018; 문화체육관광부 2019).
국내 작은도서관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그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국내 작은도서관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5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잔지에 작은도서관 설치를 의무화하는 규정이 제정된 2013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작은도서관의 수는 해마다 계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13년에는 총 4,686개관이었던 전국 작은도서관의 수가 2018년에는 총 6,330개관으로서 35.1% 증가하였다(김홍렬 2018; 문화체육관광부 20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im, B. I., Cho, M. A. and Byeon, H. J. 2015. "A Study on Promotion of Small Libraries through an Analysi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ir Op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4): 31-52. 

  2. Kim, J. S., Sung, J. U. and Yang, W. H. 2018. "Supply and Operation of Small Libraries inside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9(1): 71-78. 

  3. Kim, H. R. et al. 2018. A Study on VItalization of the Small Library in Gyeonggi Province. Gyeonggi: Gyeonggi Do Provincial Institute for Lifelong Learning. 

  4. Na, G. Y. 2016. A study on Current state analysis and Improvement in Small Libraries focused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Gwangju: Gwangju Jeinnam Research Institue. Policy Research 2016-05. 

  5. Noh, Y. H. et al. 2017.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and Developmental Direction for Small Libraries in Seoul by Autonomous Distric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2): 121-158. 

  6.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9. 2018 Small library operation status report.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7. Lee, J. M. 2016. A Study on the Operation Situation and Invigoration Plan of Small Libraries in Daegu. Daegu: Daegu Gyeongbuk Development Institute. 

  8. Han, M. S. et al. 2017.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mall Library Operation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8(2): 185-217. 

  9. Han, M. S. et al. 2016. Comparison and development plan of library operation method in Seoul autonomous district. Seoul: Seoul Metropolitan Council. 

  10. Jochumsen, H., Skot-Hansen, D., and Hvenegaard, C. 2010. "A new model for the public library in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society." [online], Available: 

  11. Noh, Y. 2019.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Job Seeking College Degree Candidates and the Librarians Concerning Library Specialized Serv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9(1): 81-108. 

  12. Noh, Y., Kwak, W., and Shin, Y. 2019.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brarian and Users' Perception of the Specialized Library Ope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9(4): 69-93. 

  13.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online] [cited 2020. 4. 21.] 

  14. Gyeonggi Statistics. [online] [cited 2020. 3. 18.] 

  15. Korea Law Information Center. [online] [cited 2020. 3. 18.] 

  16. Small Library. [online] [cited 2020. 3. 19.] 

  17.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Enhanced Local laws and regulations Information System. [online] [cited 2020. 4. 20.] 

  18. Library Design. [online] [cited 2020. 4. 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