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타인지가 대학생의 정보탐색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Metacognition to the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7 no.2, 2013년, pp.75 - 101  

최문정 (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  정동열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메타인지가 정보탐색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메타인지는 서울대학교 인지학습연구회에서 2005년에 개발한 검사 양식지를 사용하여 검사하였으며, 정보탐색행위는 정보탐색 수행평가와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메타인지는 한 항목을 제외하고는 전부 정보탐색행위 설문조사의 항목에 유의했다. 이로써 메타인지는 인지 과정 이후에 작용하는 인지적 특성이므로 자신의 정보탐색행위를 두뇌로 생각하면서 결론을 내리는 사고적인 행위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메타인지는 탐색과정, 탐색결과와 일반적인 정보탐색행위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탐색과정, 탐색결과, 일반적인 정보탐색행위를 포함한 정보탐색행위 전반적 측면에서는 메타인지 연구가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metacognition to the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of 250 undergraduate students. For this, metacognition was examined by the inspection form that the Educational Psychology Programs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eveloped in 2005. T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타인지 구성요소의 가장 보편적인 구분방식은 무엇인가? 메타인지 구성요소의 가장 보편적인 구분방식은 ‘메타인지적 지식(metacognitive knowledge)’ 과 ‘메타인지적 기능(metacognitive function)’ 으로 양분하는 것이다(Garofalo & Lester 1985; Brown 1987; Cross & Paris 1988; 김수미 1996;신혜은, 최경숙 2002; 이은주 2010).
메타인지란? 인간은 정보요구를 느끼고 정보원을 선정하여 정보탐색을 진행하고, 그 결과물 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선별하여 실제 이용하는 정보탐색 행위에서 인지에 의한 과정을 거치면서 인지의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인지란 인간이 지각하고 기억하며 사고하는 기능을 말하며, 메타인지란 인지의 상위개념으로 자신의 인지 과정에 관한 인지를 말한다. 메타인지는 학습과 문제해결과정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구실을 하는 것으로 선행연구(Ghiasvand 2010; Bayat & Tarmizi 2010; Temur et al.
메타인지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자 하는 노력에 대한 대표적인 예에는 무엇이 있는가? Flavell(1976)은 인지는 지적 활동이며, 메타 인지는 인지적 활동을 통제하는 기능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Garofalo와 Lester(1985)는 인지는 일차적인 지적 행위이며, 메타인지는 어떤 행동을 할 것인가를 선택하고, 계획하거나 진행 되고 있는 인지적 행위를 감시하는 활동이라고 하였다. Brown(1980, 453)은 지식의 단순한 이해는 인지이며, 그 지식을 활용하는 방법이 메타인지라고 하였다. 그리고 김수미(1996)는 단순한 행동을 인지라 하였고, 인지적 진행을 위해 채택된 행동을 모니터하기 위한 행동을 메타 인지라고 하였으며, 김현진(2007)은 일차적인 지적행위를 인지라고 하였고, 어떤 인지 활동을 할 것인가를 선택하고 계획하거나 진행되고 있는 인지적 행위를 감시하는 활동을 메타인지라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김수미. 1996. 메타인지 개념의 수학교육적 고찰.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수학교육과. (Kim, Soo-Mi. 1996. A study on the concept of metacogni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Ph.D. diss., Seoul National University.) 

  2. 김현진. 2007. 인지와 메타인지전략교수가 경도장애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 수행능력.태도.귀인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im, Hyun-Jin. 2007. Effects of cognitive and meta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on the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attitudes?attribution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Ph.D. diss., EWHA Womans University.) 

  3. 신종호, 최효식. 2007. 메타인지의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 비교. 교육심리연구, 21(1): 89-104. (Shin, Jong-Ho, & Choi, Hyo-Sik. 2007. "Comparative study on domain generality and specificity of metacognition." Journal of the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21(1): 89-104.) 

  4. 신혜은, 최경숙. 2002. 아동의 메타인지 조절의 미시 발생적 변화. 한국심리학회, 15(2): 33-53. (Shin, Hye-Eun, & Choi, Kyoung-Sook. 2002. "Microgenetic changes in children's metacognitive regulation."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 Psychology, 15(2): 33-53.) 

  5. 이은주. 2010. 메타인지를 활용한 직접적 탐구기능 수업전략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Lee, Eun-Ju. 2010. A study of direct teaching strategy of inquiry skills applying meta-cognition. Ph.D. diss., EWHA Womans University.) 

  6. 이지혜. 2009.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메타인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몰입과 학업 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박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Lee, Ji-Hye. 2009.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o learn, metacogni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flow, and school achievement. Ph.D. dis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7. 장인남. 2006. 고등학생의 학교도서관 이용행태와 메타인지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사서교육계열. (Chang, In-Nam. 2006.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using habits of school library and metacognition of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8. 조연. 2010.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메타인지가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Juan, Zhao. 2010. The effects of cognitive style and metacognition on problem solving in problem-based learning. Ph.D. dis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9. 황희숙. 1994. 초인지적 학습전략 훈련이 학습전략 사용 및 독해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Hwang, Hee-Sook. 1994. The effects of metacognitive strategies training on the use of strategies and reading comprehension. Ph.D. diss., Pusan National University.) 

  10. Bayat, S., & Tarmizi, R. A. 2010. "Accessing cognitive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during algebra problem solv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8: 403-410. 

  11. Bowler, L. 2010a. "A taxonomy of adolescent metacognition knowledge during the information search proces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2(1): 27-42. 

  12. Bowler, L. 2010b. "The self-regulation of curiosity and interest during the information search process of adolescent students." JASIST, 61(7): 1332-1344. 

  13. Braten, I., Stromso, H. I., & Samuelstuen, M. S.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specific epistemological beliefs and learning within internet technologie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33(2): 141-171. 

  14. Brown, A. L. 1980. "Metacognitive development and reading." In R. J. Spiro, B. Bruce, & W. F. Brewer(eds.), Theoretical issues in reading comprehension: Perspectives from cognitive psychology, linguistic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ducation. Hillsdale, NJ: LEA. 

  15. Brown, A. L. 1987. "Metacognition, executive control, self-regulation and other more mysterious mechanisms." In F. E. Weinert & R. H. Kluwe(eds.), Metacognition, motivation, and understanding. Hillsdale, NJ: LEA. 

  16. Brown, A. L., Bransford, J. D., Ferrara, R. A., & Campione, J. C. 1983. "Learning, remembering, and understanding." In P. H. Mussen(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3. NY: John Wiley & Sons Inc. 

  17. Cross, D. R., & Paris, S. G. 1988. "Developmental and instructional analyses of children's meta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2): 131-142. 

  18. Flavell, J. H. 1976. "Meta-cognitive aspects of problem solving." In L. Resnick(ed.), The nature of expertise. Hillsdale, NJ: LEA. 

  19. Gagniere, L., Betrancourt, M., & Detienne, F. 2012. "When metacognitive prompts help information search in collaborative setting." Revue europeenne de psychologie appliquee, 62(2): 73-81. 

  20. Garofalo, J., & Lester, F. K. 1985. "Metacognition, cognitive monitoring and mathematical performanc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6(3): 163-176. 

  21. Ghiasvand, M. Y. 2010.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5: 1033-1036. 

  22. Gorrell, G., Eaglestone, B., Ford, N., Holdridge, P., & Madden, A. 2009. "Towards 'metacognitively aware' IR systems: An initial user study." Journal of Documentation, 65(3): 446-469. 

  23. Hjorland, B. 2002. "Epistemology and the socio-cognitive perspective in information science." JASIST, 53(4): 257-270. 

  24. Hofer, B. K. 2004.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as a metacognitive process: Thinking aloud during online searching." Educational Psychologist, 39(1): 43-55. 

  25. Julien, H., & Duggan, L. J. 2000.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Information Needs and Uses Literatur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2(3): 291-309. 

  26. Killpatrick, J. 1985. "Reflection and recurs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6(1): 1-26. 

  27. Kroll, D. L. 1988. Cooperativ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metacognition: A case study of three pairs of women. Ph.D. diss., Indiana University. 

  28. Kuhn, D. 2000. "Metacognitive development."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9(5): 178-181. 

  29. Liu, G. Z., & Chong, S. S. 2011. "Metacognition & conceptual drifting in interactive information retrieval: An exploratory field study." ASIST, October: 9-13. 

  30. Mason, L., Ariasi, N., & Boldrin, A. 2011. "Epistemic beliefs in action: Spontaneous reflection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during online information searching and their influence on learning." Learning and Instruction, 21(1): 137-151. 

  31. Moore, P. A. 1995. "Information problem solving: A wider view of library skill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0(1): 1-31. 

  32. Musholt, K. 2012. "Concepts of metacognition - What is the issue? Commentary on Stephane Savanah's the concept possession hypothesis of self-consciousness." Consciousness and Cognition, 21(2): 721-722. 

  33. Osman, M. E., & Hannafin, M. J. 1992. "Metacognition research and theory: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desig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0(2): 83-99. 

  34. Paris, S. G., & Winograd, P. 1990. "How metacognition can promote academic learning and instruction." In B. A. Jones, & L. Idol(eds.), Dimensions of thinking and cognitive instruction. Hillsdale, NJ: LEA. 

  35. Pieschl, S., Stahl, E., & Bromme, R. 2008. "Epistemological beliefs and self-regulated learning with hypertext." Metacognition Learning, 3(1): 17-37. 

  36. Quintana, C., Zhang, M., & Krajcik, J. 2005. "A framework for supporting metacognitive aspects of online inquiry through software-based scaffolding." Educational Psychologist, 40(4): 235-244. 

  37. Schoenfeld, A. H. 1987. "What's all the fuss about metacognition?" In A. H. Schoenfeld(ed.), Cognitive science of mathematics education. Hillsdale, NJ: LEA. 

  38. Schommer, M. 1990. "Effects of beliefs about the nature of knowledge on comprehens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3): 498-504. 

  39. Song, C., Kanai, R., Fleming, S. M., Weil, R. S., Schwarzkopf, D. S., & Rees, G. 2011. "Relating inter-individual differences in metacognitive performance on different perceptual tasks." Consciousness and Cognition, 20(4): 1787-1792. 

  40. Spada, M. M., Langston, B., Nikcevic, A. V., & Moneta, G. B. 2008. "The role of metacognitions in problematic internet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4(5): 2325-2335. 

  41. Stadtler, M., & Bromme, R. 2007. "Dealing with multiple documents on the WWW: The role of metacognition in the formation of documents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2(2/3): 191-210. 

  42. Temur, T., Kargin, T., Bayar, S. A., & Bayar, V. 2010. "Metacognitive awareness of grades 6, 7 and 9 students in reading process."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2): 4193-4199. 

  43. Wellman, H. M. 1985. "The origins of metacognition." In D. L. Forrest-Pressley, G. E. Mackinnon, & T. G. Waller(eds.), Metacognition, cognition, and human performance. Orlando: Academic Press. 

  44. Whitmire, E. 2003. "Epistemological beliefs and the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undergraduate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5(2): 127-1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