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의사소통능력 및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Factors Influencing Metacogni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Confidence in the Performa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on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Abstract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metacogni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confidence in the performa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on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158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two nursing colleges in B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December 3-31, 2018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SPSS 21.0. Results: Metacogni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confidence in the performa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were higher than norma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metacognition (r=.69, p=<.001), communication skills (r=.69, p=<.001), and confidence in the performa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r=.59, p=<.001) were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clinical performance. Factors influencing these three variables accounted for 64.4% of clinical competency. Conclusion: Furthe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and intervention program, and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 are needed.

본문요약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졸업시점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메타인지, 의사소통 능력, 핵심기본 간호술 수행자신감을 파악하여 이러한 역량이 궁극적으로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졸업시점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메타인지, 의사소통 능력,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을 파악하여 이러한 역량이 궁극적으로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다양한 간호현장에서 필요로 한 실무형 핵심역량을 갖춘 간호인력 양성을 위한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키워드에 따른 질의응답 제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수행능력
임상수행능력이란 무엇인가?
간호실무 상황에서 다양한 간호대상자의 요구에 맞춰 학습되어진 지식과 기술, 태도, 판단 등의 역량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간호역할을 유능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역량

임상수행능력은 간호실무 상황에서 다양한 간호대상자의 요구에 맞춰 학습되어진 지식과 기술, 태도, 판단 등의 역량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간호역할을 유능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한다(Do & Seo, 2014). 이러한 역량들이 향상될수록 간호의 전문성이 높아지고 이는 임상현장에서의 적응도를 높여 임상현장 부적응의 지표인 조기이직 또한 방지할 수 있으 므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중요하다 (Kim & Jeong, 2018).

간호교육과정
간호교육과정의 목적은 무엇인가?
대상자의 다양한 건강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지식, 태도, 기술을 고루 갖춘 간호사를 양성

간호 교육은 이론 교육과 임상실습교육을 통해 다양한 대상자들의 요구에 적절하게 부응하고, 질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직 간호사를 양성하는데 일차적 목표를 두며, 이를 위해 이론교육과 함께 실제적 행동으로 수행하는 단계인 임상실습이라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Kwon, 2002). 이에 맞춰 간호교육과정은 대상자의 다양한 건강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지식, 태도, 기술을 고루 갖춘 간호사를 양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있다(Kang, Kang, & Hong, 2015).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 과정에서 대상자와 직접 마주하는 실무 상황의 다양성, 복잡성, 불확실성, 갈등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배우고, 통합하여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임상수행능 력을 기르는 것이 필요하다(Yang & Park, 2004).

메타인지능력
간호대학생들에게 메타인지능력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스스로 문제해결 방안을 발견하고 적용시켜 그 효과를 확인하는 등, 문제해결과정의 중요 역할을 하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 들이 상호 간 의사소통에도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을 통해서 간호대학생들이 대상자의 다양한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할

기존의 선행 연구들 중 메타인지와 관련되는 다른 변수들을 찾아보면, 메타 인지는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몰입, 비판적 사고성향, 셀프리 더십 등과 연관되며, 임상수행능력과 문제해결력 및 정보탐색 행위 등의 변수들을 상당부분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Hwang, Park, & Chu, 2007; Oh & Kang, 2013). 메타인지는 스스로 문제해결 방안을 발견하고 적용시켜 그 효과를 확인하는 등, 문제해결과정의 중요 역할을 하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 들이 상호 간 의사소통에도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을 통해서 간호대학생들이 대상자의 다양한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급변하는 보건의료 환경에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서 메타인지는 앞으로의 간호교육과정에서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이 될 것이다(Jeong, Cho, & Seo,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참고문헌 (30)

  1. 1. Do, E. S., & Seo, Y. S. (2014).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1(3), 283-291. https://doi.org/10.7739/jkafn.2014.21.3.283 
  2. 2. Han, A. K., Cho, D. S., & Won, J. S. (2014). A study on learning experiences and self-confidence of core nursing skills in nursing practicum among final yea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1(2), 162-173. https://doi.org/10.7739/jkafn.2014.21.2.162 
  3. 3. Han, S. H. (2016). Th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communication skill, clinical competency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10), 217-227. https://doi.org/10.14257/AJMAHS.2016.10.51 
  4. 4. Hong, J. Y., & Park, J. A. (2017). Effect of basic nursing skills, problem solving process, communication skills on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0), 429-446. https://doi.org/10.22251/jlcci.2017.17.10.429 
  5. 5. Hur, G. H. (2003).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7(6), 380-408. 
  6. 6. Hwang, Y. Y., Park, M. S., & Chu, M. S. (2007). Correlations among meta 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studying through problem based learning(PB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1), 146-155. 
  7. 7. Jeong, C. Y., Cho, E. H., & Seo, Y. S. (2018). The relations of nursing students' metacognition and learning flow.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6(1), 1408-1415. https://doi.org/10.15205/kschs.2018.03.31.1048 
  8. 8. Jung, A. H., & Moon, M. Y. (2018). A study on the clinical competence,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frequency of fundamental nursing skill performance,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erformance during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18(9), 451-463. https://doi.org/10.21742/AJMAHS.2018.09.2018.09.30. 
  9. 9. Kang, H. S., Kang, Y. S., & Hong, H. H. (2015). Comparative study on the clinical competenc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f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3(4), 495-503. https://doi.org/10.15205/kschs.2015.3.4.495 
  10. 10. Kim, M. O. (2016). Study on self-efficacy, communication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6), 609-617. https://doi.org/10.5762/KAIS.2016.17.6.609 
  11. 11. Kim, Y. J., & Jeong, I. J. (2018). Influence of clinical practice stress,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s on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12(3), 297-307. https://doi.org/10.21184/jkeia.2018.4.12.3.297 
  12. 12. Kim, S. H., Choi, J. Y., & Kweon, Y. R. (2017). Correlations among learning self-efficacy, confidence in performance,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transfer intention for core basic nursing skill in nursing students at a nursing universit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9), 661-671.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661 
  13. 13. Kim, S. O., & Kang, B. H. (2016).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learning self-efficacy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on their self-confide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 172-182. https://doi.org/10.5762/KAIS.2016.17.8.172 
  14. 14.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2). Accreditation assessment standards for education of Korea (the course of the nursing bachelor's degree).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15. 15. Kwon, I. S. (2002). An analysis of research on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5), 706-715. 
  16. 16. Lee, I. S., & Park, C. S. (2015) Factors influencing confidence in performance compete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by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2(3), 297-307. 
  17. 17. Lee, S. H., & Chung, S. E. (2014). Influencing factor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steem on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2), 340-349. https://doi.org/10.5392/JKCA.2014.14.12.340 
  18. 18. Lee, S. J., Chang, Y. K., Lee, H. N., & Park, K. Y.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Retrieved from National Knowledge Information System webside: https://www.nkis.re.kr:4445/subject_view1.do?otpIdKEDI00018658#none 
  19. 19. Lee, W. H., Kim, C. J., Yoo, J. S., Hur, H. K., Kim, K. S., & Lim, S. M. (1990). Development of a clinical competency for nursing students. Yonsei Nursing, 13, 17-29. 
  20. 20. Oh, Y. J., & Kang, H. Y. (2013).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imulation learn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3), 239-247. https://doi.org/10.7739/jkafn.2013.20.3.239 
  21. 21. Park, J. H., & Chung, S. K. (2015). Th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empathy, communication skill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1), 7698-7707. https://doi.org/10.5762/KAIS.2015.16.11.7698 
  22. 22. Park, S. J., & Park, B. J. (2013). Relationship of clinical practice stress to clinical competence among one college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1(4), 313-322. 
  23. 23. Pintrich, P. R., Brown, D., & Weinstein, C. (1994). Student motivation cognition and learning. Hillsdale, Nj:Lawrence Erlbaum. 
  24. 24. Rubin, R. B., Martin, M. M., Bruning, S. S., & Power, D. E. (1993). Test of self-efficacy model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Quarterly, 41, 210-220. 
  25. 25. Schraw, G., & Dennison, R. S. (1994). Assessing metacognitive awarenes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9, 460-475. 
  26. 26. Seo, I. S., Park, H. E., & Kim, J. Y. (2016). Impact of self-leadership and metacognition on clinical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6), 3423-3436. 
  27. 27. Shin, J. H., & Choi, H. S. (2005). Comparisons of metacognition tests in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Self-report versus task-performance tes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9(3), 615-631. 
  28. 28. Wang, H. J., Jung, S. A., Park, H. E., Yoo, H. S., Bae, Y. H., & Kim, J. Y. (2016) The metacognition,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9), 619-627. https://doi.org/10.5762/KAIS.2016.17.9.619 
  29. 29. Yang, J. J., & Park, M. Y. (2004). The relationship of clinical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0(2), 271-277. 
  30. 30. Yang, Y. K. (2018). Influences of communication skill and interpersonal ability on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5(2), 99-108. https://doi.org/10.7739/jkafn.2018.25.2.99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 AccessON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오픈액세스(OA) 유형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