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metacogni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confidence in the performa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on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158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two nursing colleges in B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December 3-31, 2018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SPSS 21.0. Results: Metacogni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confidence in the performa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were higher than norma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metacognition (r=.69, p=<.001), communication skills (r=.69, p=<.001), and confidence in the performa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r=.59, p=<.001) were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clinical performance. Factors influencing these three variables accounted for 64.4% of clinical competency. Conclusion: Furthe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and intervention program, and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 are needed.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졸업시점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메타인지, 의사소통 능력,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을 파악하여 이러한 역량이 궁극적으로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다양한 간호현장에서 필요로 한 실무형 핵심역량을 갖춘 간호인력 양성을 위한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임상수행능력 | 임상수행능력이란 무엇인가? |
간호실무 상황에서 다양한 간호대상자의 요구에 맞춰 학습되어진 지식과 기술, 태도, 판단 등의 역량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간호역할을 유능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역량
임상수행능력은 간호실무 상황에서 다양한 간호대상자의 요구에 맞춰 학습되어진 지식과 기술, 태도, 판단 등의 역량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간호역할을 유능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한다(Do & Seo, 2014). 이러한 역량들이 향상될수록 간호의 전문성이 높아지고 이는 임상현장에서의 적응도를 높여 임상현장 부적응의 지표인 조기이직 또한 방지할 수 있으 므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중요하다 (Kim & Jeong, 2018). |
간호교육과정 | 간호교육과정의 목적은 무엇인가? |
대상자의 다양한 건강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지식, 태도, 기술을 고루 갖춘 간호사를 양성
간호 교육은 이론 교육과 임상실습교육을 통해 다양한 대상자들의 요구에 적절하게 부응하고, 질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직 간호사를 양성하는데 일차적 목표를 두며, 이를 위해 이론교육과 함께 실제적 행동으로 수행하는 단계인 임상실습이라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Kwon, 2002). 이에 맞춰 간호교육과정은 대상자의 다양한 건강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지식, 태도, 기술을 고루 갖춘 간호사를 양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있다(Kang, Kang, & Hong, 2015).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 과정에서 대상자와 직접 마주하는 실무 상황의 다양성, 복잡성, 불확실성, 갈등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배우고, 통합하여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임상수행능 력을 기르는 것이 필요하다(Yang & Park, 2004). |
메타인지능력 | 간호대학생들에게 메타인지능력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
스스로 문제해결 방안을 발견하고 적용시켜 그 효과를 확인하는 등, 문제해결과정의 중요 역할을 하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 들이 상호 간 의사소통에도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을 통해서 간호대학생들이 대상자의 다양한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할
기존의 선행 연구들 중 메타인지와 관련되는 다른 변수들을 찾아보면, 메타 인지는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습몰입, 비판적 사고성향, 셀프리 더십 등과 연관되며, 임상수행능력과 문제해결력 및 정보탐색 행위 등의 변수들을 상당부분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Hwang, Park, & Chu, 2007; Oh & Kang, 2013). 메타인지는 스스로 문제해결 방안을 발견하고 적용시켜 그 효과를 확인하는 등, 문제해결과정의 중요 역할을 하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 들이 상호 간 의사소통에도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을 통해서 간호대학생들이 대상자의 다양한 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급변하는 보건의료 환경에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서 메타인지는 앞으로의 간호교육과정에서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이 될 것이다(Jeong, Cho, & Seo, 2018).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