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기기와 SNS 활용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mart Device and SNS on Social Capital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7 no.2, 2013년, pp.161 - 180  

이승민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 및 SNS의 활용이 사회자본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기기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교량적 사회자본을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고 있다. SNS는 오프라인에서 형성된 사회적 관계를 온라인으로 확장시킴으로써 결속적 사회자본을 강화하고 있으며,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을 통한 사회적 관계의 확장을 이끌어내어 교량적 사회자본을 증대시키고 있다. 반면,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SNS의 활용은 사회자본의 증대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람들의 사회활동의 참여를 활발하게 함으로써 복합적인 사회자본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nalyzed how smart devices and Social Network Service (SNS) change the construction of social capital. The results show that smart devices provide the foundation of expending 'bridging social capital' by offering various communication tools. SNS reinforces 'bonding social capital'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는 개인적인 수준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이며, 이것이 사람들의 사회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지는 않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목적 및 이용장소가 사람들의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는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스마트기기의 이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사회적 이점과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도 분석을 수행하였다(<표 7> 참조).
  • 본 연구에서는 ICT 및 SNS의 활용이 전반적인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 및 SNS의 활용과 사회자본 사이의 상호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대상은 서울 및 대전 지역에서 스마트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4년제 주간대학 학부 재학생으로 한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 및 SNS의 활용이 전반적인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기기의 활용과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사이의 상관관계 및 SNS가 사회적 네트워크 구축에 가져오는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SNS의 활용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 및 SNS의 활용이 전반적인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기기의 활용과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사이의 상관관계 및 SNS가 사회적 네트워크 구축에 가져오는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SNS의 활용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 이와 함께, SNS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일부 수행되어 왔지만, 고정기기 환경에서 특정 SNS 이용자들의 이용행태에 대한 연구로 그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활용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기기를 중심으로, 스마트기기를 통한 SNS의 활용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이, 스마트기기의 활용과 SNS의 활용은 모두 사회자본을 전반적으로 강화하거나 증대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으나, 이는 스마트기기와 SNS의 활용이 각각 독립적으로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에 그치고 있다. 이에 스마트기기를 통한 SNS의 활용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우선 스마트기기의 활용이 SNS를 통한 사회적 관계의 확장이나 사회적 신뢰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사회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과거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커뮤니티 형성이나 사회적 참여가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기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지만, 무선 네트워크의 발전과 함께 등장한 스마트기기(smart device)는 고정기기가 갖지 못한 이동성과 휴대성을 통해 사회구성원 사이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특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의 활용은 온라인 커뮤니티의 형성을 가속화함으로써 사회적 관계의 형성이나 사회활동에의 참여를 확장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전반적인 사회자본의 증대로 이어지고 있다.
사회 자본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사회적 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과정을 통해서 사람들은 사회자본(social capital)을 형성하게 된다. 사회 자본은 사람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를 통해 얻어지는 무형의 자본을 의미하며, 경제적자본, 물적자본, 인적자본 등과 함께 사회를 구성하는 주요 자본으로 인식되고 있다. 사회자본의 개념은 오프라인 커뮤니티로부터 시작되었으나, 인터넷의 광범위한 보급 및 활용으로 인해 온라인상에서도 사회적 관계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는 전통적인 방식과는 다른 형태의 사회자본을 형성하고 있다.
사회자본의 특성은 무엇인가?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회자본은 사회적 신뢰, 규범, 호혜, 사회적 네트워크 등을 통해 형성되는 커뮤니티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사회자본을 통해 사회구성원들은 유형․무형의 상호이익을 얻게 된다. 따라서, 공동의 커뮤니티에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수록 더 많은 사회자본이 생성되며, 적은 사람들이 참여할수록 사회자본은 감소한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Cooper et al.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금희조, 조재호. 2010.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격차, 그리고 정치참여. 한국언론학보, 54(5):348-371. (Keum, Heejo, & Cho, Jaeho. 2010. "Smartphone, communication gap, and political participation."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54(5): 348-371.) 

  2. 서문기, 오주현. 2010. 사회 네트워크 서비스가 사회자본의 형성과 유지에 미친 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 13: 111-138. (Suh, Moon-Gi, & Oh, Joo-Hyun. 2010.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service on social capital." Journal of Social Science, 13: 111-138.) 

  3. Bourdieu, P. 1983. Forms of capital. In J. C. Richards (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New York: Greenwood Press. 

  4. Boyd, D. M., & Ellison, N. B. 2007.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3(1). [online]. [cited 2013.4.4]. . 

  5. Castells, M. 2004. The Power of Identity. 2nd ed. Oxford: Blackwell. 

  6. Coleman, J.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95-121. 

  7. Coleman, J. 1990.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Cambridge: Belknap Press. 

  8. Cooper, H. et al. 1999. Social Capital and Health. London: Health Education Authority. 

  9. Ellison, N. B., Steinfield, C., & Lampe, C. 2011. "Connection strategies: Social capital implications of Facebook-enabled communication practices." New Media & Society, 13(6): 873-892. 

  10. Granovetter, M. S. 1973. "The stre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8(6): 1360-1380. 

  11. Granovetter, M. S. 1983. "The strength of weak ties: A network theory revisited." Sociological Theory, 1: 201-233. 

  12. Hamton, K. 2002. "Place-based and IT mediated community." Planning Theory and Practice, 3(2): 228-231. 

  13. Ishii, K. 2006. "Implications of mobility: The uses of personal communication media in everyday life." Journal of Communication, 56: 346-365. 

  14. Moran, P. 2005. "Structural vs. relational embeddedness: Social capital and managerial performanc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6: 1129-1151. 

  15. Putnam, R. D. 1995.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6: 65-78. 

  16. Putnam, R. D. 2000. Bowling Alone. New York: Simon & Schuster. 

  17. Quan-Haase, A., & Wellman, B. 2004. "How does the Internet affect social capital?" In Huysman, M., & Wulfk, V. (Eds.), Social Capital and Information Technology (113-135). Cambridge, MA: MIT Press. 

  18. Rosen, L. D. 2011. "Poke me: How social networks can both help and harm our kids." Presentation in 119th Annual Convention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 August 4-7, 2011. 

  19. Turkle, S. 2008. "Always-on/Always-on-you: The tethered self." In Katz, J. E. (ed.), Handbook of Mobile Communication Studies. MA: MIT Press. 

  20. Vergeer, M., & Pelzer, B. 2009. "Consequences of media and Internet use for offline and online network capital and well-being: A causal model approach."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5: 189-210. 

  21. Williams, D. 2006. "On and off the 'net': Scales for social capital in an online era."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1(2). [online]. [cited 2013.3.5]. . 

  22. Woolcock, M. 1998.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Toward a theoretical Synthesis and policy framework." Theory and Society, 27(2): 151-2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