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에서 탈억제 효과로 인한 부정적 행위의 실태 및 예방 대책
Status and Prevention of Negative Behavior due to Disinhibition Effect in SNS(Social Network Service) 원문보기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20 no.12, 2016년, pp.2370 - 2378  

강문설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Gwangju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 이용자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속에서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등과 같은 SNS 공간에서 타인의 인격과 명예를 훼손하고 사생활을 침해하는 'SNS 저격' 피해자가 속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환경에서 다양한 SNS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탈억제 효과로 인한 부정적 행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SNS 저격의 피해자와 가해자를 줄이기 위한 예방 대책을 고찰하였다. 대학생들의 SNS 공간에서 타인의 인격과 명예훼손, 사생활 침해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고, SNS 저격에 대한 죄의식도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안한 예방 대책을 통해 SNS 시대에 걸맞은 인식과 규범을 갖춤으로써 탈억제 효과로 인한 부정적 행위의 예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cial Network Service(SNS) users are increasing globally. Within that trend, 'SNS attacking' victims are increasing in social network service space like KakaoStory, facebook, or Instargram as people damage others' personality or reputation. In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awareness of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NS를 이용하는 학생들의 단톡방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내용들에 대한 부정적 행위의 실태와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질문을 실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SNS를 가장 활발하게 이용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SNS의 이용 형태와 인식, 탈억제 효과의 개념과 이로 인한 부정적 행위들에 대한 인식과 처벌 기준, SNS 저격의 피해자와 가해자를 줄이기 위한 예방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2016학년도 1학기 기말고사 직전인 15주차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교양교과목으로 개설된 “인터넷 윤리”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 102명과 수강하지 않은 학생 8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SNS에 대한 대학생들의 생각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부정적 행위에 대한 예방 대책을 도출하기 위한 설문지를 만들어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SNS의 이용 형태와 인식, 탈억제 효과의 개념과 이로 인한 부정적 행위에 대한 사례들을 조사하여 연구 목적에 적합하도록 작성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단톡방에서 탈 억제 효과로 인한 부정적 행위의 실태와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이러한 부정적 행위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부정적 행위에 따른 인식이 매우 낮고, 많은 대학생들이 부정적 행위의 성립요건 및 처벌기준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단톡방을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단톡방에서 부정적 행위를 예방하기 위한 대응 방안을 도출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검증한 결과를 그림 1과 같이 도식화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SNS에서 탈억제 효과로 인한 부정적 행위를 예방 하기 위한 교육체계를 마련하여 시급하게 시행해야 한다는 것으로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 체계가 구축되어 환경의 변화에 따른 교육 목표와 내용을 재설정하고,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적용하여 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교육 결과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개선 방향을 도출하여 피드백을 실시하는 등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운영하면 단톡방에서 발생하는 부정적 행위에 따르는 문제를 예방하는 교육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환경에서 다양한 종류의 SNS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탈억제 효과의 개념과 이로 인한 부정적 행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SNS 저격의 피해자와 가해자를 줄이기 위한 예방 대책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SNS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생각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 하여 SNS의 이용 형태와 추이, 탈억제 효과의 개념과 이로 인한 부정적 행위들에 대한 인식과 처벌 규정, SNS 저격의 피해자와 가해자를 줄이기 위한 예방 대책들에 대한 생각들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NS의 부작용은 무엇인가? 이는 기존 인맥과의 원활한 관계유지와 소통뿐만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로 일상생활에 활력을 주고 새로운 인간관계의 형성에 도움이 되고, 다른 사람들과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공유할 기회가 많아지고 정보의 빠른 확산으로 대중들의 영향력이 증대되며,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는 의견들이 많아 정보의 공유와 접근 측면에서 SNS의 활용도가 높게 평가를 받고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이다. 그러나 SNS는 일상생활의 모든 분야에서 다양한 활용 가치에도 불구하고, 사생활의 침해, 개인정보의 유출과 악용, 그리고 믿을 수 있는 정보를 찾기 어렵고 정확하지 못한 정보로 사회적 갈등 및 일상생활의 방해 등 여러 가지 부작용이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3,4].
SNS 이용의 증가로 인한 영향은? SNS 이용의 증가로 인해 개인 간 정보전달이 용이해졌고, 기업에서도 마케팅 전략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정책 홍보나 대국민 알리미 서비스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는 기존 인맥과의 원활한 관계유지와 소통뿐만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로 일상생활에 활력을 주고 새로운 인간관계의 형성에 도움이 되고, 다른 사람들과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공유할 기회가 많아지고 정보의 빠른 확산으로 대중들의 영향력이 증대되며,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는 의견들이 많아 정보의 공유와 접근 측면에서 SNS의 활용도가 높게 평가를 받고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이다.
한국미디어패널조사에 따른 SNS 이용자의 성별 간 선호도 차이는? 8%] 대비 5년 만에 2배 가까운 성장세를 보였고, 20대의 10명 중 7명이 SNS를 이용하고 있을 정도로 20대의 SNS 이용률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용하는 서비스도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등 개방형과 폐쇄형 SNS를 고루 활용하고 있다. 여성의 SNS 이용률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면서 성별 SNS 이용률 격차는 줄어드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남성은 페이스북, 트위터 등 개방형 SNS를 선호하는 반면, 여성은 카카오스토리, 인스타그램 등 폐쇄형, 시각형 SNS를 상대적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이용자의 하루 평균 서비스 이용시간은 1시간 5분, 최대 SNS 이용 세대는 20대로 하루 평균 1시간 20분 정도 이용하는 것으로 타나났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MSIP, IT Statistics of Korea,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Internet]. Available: http://www.itstat.go.kr/home.it. 

  2. KISA, "2015 Mobile Internet Use Survey,"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2015) [Internet]. Available: http://isis.kisa.or.kr/board/index.jsp?pageId040100&bbsId7&itemId809&pageIndex1. 

  3. Digieco & DMC Media, "The Present and Future of Social Media 2015," DIGIECO REPORT. [Internet]. Available: http://www.digieco.co.kr/KTFront/report/report_issue_trend_view.action?board_seq10143&board_idissue_trend. 

  4. Y. H. Kim, "SNS(Social Network Service) utilization trends and analyze usage patterns," KISDISTAT REPORT, Vol-16-07, 2016. 

  5. S. H. Hong, "Ordinary People was a Monster, just missing the dilemma Wide talk room," Kukminilbo(2016. 07. 14). [Internet]. Available: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0779081&code61121111&sid1hea_1. 

  6. Y. H. Yoon, "Past 'black history' drifting on SNS, 'Please delete'," SBS News : Report Plus (2016.08.04.) [Internet]. Available: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714969. 

  7. J. Y, Park, "Court, SNS Dialogue 'Criminal Punishment' ${\cdots}$ Want to Strengthened Collective impact on MBC Wide talk room case?" Mediawatch(2016.07.17.) [Internet]. Available: http://www.mediaw atch.kr/news/article.html?no250408. 

  8. K. Maaria, (2013) "The Psychology of Online Comments," [Internet]. Available: http://www.newyorker.com/tech/elements/the-psychology-of-online-comments. 

  9. M. S. Yun, Internet ethics of Digital Society, Seoul, NICOMS, 2016. 

  10. S. H. Lee, "A Study on the Policy Implication on the Addiction of Social Media Service User : Focusing on the Proposal of Korean Addiction Index(KSAI),"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1, pp. 255-265, Jan. 2013. 

  11. J. U. Kim, S. C. Park, D. Y. Jeon,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Factors Influencing SNS Addi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2, pp. 179-185, Dec. 2015. 

  12. G. C. Jeong, J. H. Moon, " Influence of Covert Narcissism on 12the SNS Addiction Proneness in University Student: Mediating Effect of Anger Express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6, no. 9, pp. 146-156, Oct. 2015. 

  13. B. S. Kim, D. K. Kim, "A Study on Antecedents of SNS User's Addiction in the Age of Convergence: The Role of SNS Habi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8, pp.161-168, Aug. 2015. 

  14. M. J. Kang, "The Factors Motivating Empathic Responses of Women in their 30s and 40s: Focusing on KakaoStor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6, no. 3, pp. 125-136, Mar. 2015. 

  15. Y. K. Cho, "The Effect of Self-Disclosure on the Intention to Use of SNS in the Digital Convergence Environ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5, pp.139-150, May 2015. 

  16. Y. J. Kim, J. Y. Kim, J. M. Ha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user citizenship behavior, aberrant user behavior, social connectedness, privacy concern, and user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11, pp. 4994-5004, Nov. 2012. 

  17. B. S. Chon, "Perceived Homophily by the Degree of Self Disclosure among SNS User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2, no. 12, pp. 170-178, Dec. 2012. 

  18. M. J. Kim, "A Study on SNS Usage Behavior using Correspondence Analysi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6, pp. 395-403, Jun. 2016. 

  19. W. S. Moon, S. S. Kim, "A Post-Management System of Digital Assets on Social network Servic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3, pp. 209-214, Mar. 2015. 

  20. NATEQ, Is SNS a personal space? What do you think? [Internet]. Available: http://comm.news.nate.com/nateq.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