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외 문헌정보학 주요교과목 강의계획서분석을 통한 수업내용 및 방법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urriculum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Syllabi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and Foreign Universiti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7 no.2, 2013년, pp.223 - 245  

최상기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안인자 (동원대학교 아동문헌정보과)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주섭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외 대학 문헌정보학 주요 교과목의 강의계획서 내의 수업내용, 수업방법 및 평가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징과 차이점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는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내용 및 방법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국외 문헌정보학과의 정보조직론, 정보서비스론, 정보검색론, 도서관경영론의 강의계획서를 수집하여 수업내용과 방법 및 평가방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과목별로 교과내용과 수업방법, 평가방법에 있어서 국외대학과 국내대학 간에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수업방식에서 국내대학에서는 강의, 발표, 시험이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것과는 달리 외국의 경우 워크숍, 프로젝트, 시스템모델개발, 시뮬레이션, 사례연구, 전문가인터뷰 등 다양하게 시행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urriculum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for the core courses i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t focuses on syllabi both of Korean and foreign universities, and compares them to figure out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The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차 단계에서는 국외대학 수업내용, 수업방법 및 평가방법의 분석결과와 국내대학의 수업 내용, 수업방법 및 평가방법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국내대학 자료는 ‘국내 문헌 정보학 주요 교과목 강의계획서 분석 및 개발 연구’(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3)에서 개발된 학부 강의계획서의 내용 중 강의 일정과, 수업방법 및 평가방법에서 추출된 것이다.
  • 그러나 국내와 국외에서 교육되는 수업내용을 비교함으로써 정보조직론의 강의 핵심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나름대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먼저 국외대학의 정보조직론의 수업내용을 분석한 후 국내의 분류학과 목록학의 분석내용을 통합하여 비교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교과목 중 주요 과목인 정보조직론, 정보서비스론, 정보검색론, 도서관 경영론에 대한 국외대학의 교과내용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국내 문헌정보학 과목들과 비교하여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물론 문헌정보학 교육이 대학원과정에서 진행되는 미국과 캐나다의 국외 대학과 학부과정에서 교육되는 국내 문헌정보학의 수업내용이나 수업방법 등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비교의 완전함에서는 제약이 있지만, 국내외 비교를 통해 북미에서 교육되는 내용과 방법의 차이를 밝혀보는 것도 나름대로 의의가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이들 중 비교적 관련성이 높은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표준화에 대한 연구와 교육과정에서 교과목의 강의내용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만 살펴보고자 한다. 문헌정보학 교과목 표준화에 관한 연구를 보면, 곽동철, 심경, 윤정옥(2009)은 ‘사서직원 자격요건 개정을 위한 기초연구’에서 국내 33개 대학의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미국과 일본의 문헌정보학 관련 대학의 교과과정을 참조한 후 설문조사를 거쳐 문헌정보학 표준교과 과정안을 제시하였다.
  • 이를 통해 미래지향적이고 실제적인 교과목의 내용이 개발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을 기반으로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6개의 핵심 교과목에 대한 표준교과내용 중 『정보조직론』, 『정보서비스론』, 『도서관경영론』, 『정보검색론』의 국외대학 수업 내용과 수업방법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교과목 중 주요 과목인 정보조직론, 정보서비스론, 정보검색론, 도서관경영론에 대한 국외대학의 교과내용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국내 문헌정보학 과목들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살펴본 후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참고할 만한 내용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영희, 안인자, 최상기(2013)의 연구에서 강의계획서 개발대상과목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국내 39개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된 핵심 전공과목의 강의계획서를 조사․분석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내용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주요 교과목의 교과내용인 강의계획서 개발대상과목은 2011년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핵심 교과목으로,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조직론』, 『정보서비스론』, 『도서관경영론』, 『정보검색론』, 『도서관실습』 6개 과목이었다. 강의계획서는 강의개요(목표 및 목적), 교수법, 평가방법, 주요 교재, 15주 또는 16주의 강의일정 및 내용을 포함하였다.
국내외 대학 문헌정보학 주요 교과목의 강의계획서 내의 수업내용, 수업방법 및 평가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징과 차이점을 파악한 결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국외 문헌정보학과의 정보조직론, 정보서비스론, 정보검색론, 도서관경영론의 강의계획서를 수집하여 수업내용과 방법 및 평가방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과목별로 교과내용과 수업방법, 평가방법에 있어서 국외대학과 국내대학 간에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수업방식에서 국내대학에서는 강의, 발표, 시험이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것과는 달리 외국의 경우 워크숍, 프로젝트, 시스템모델개발, 시뮬레이션, 사례연구, 전문가인터뷰 등 다양하게 시행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문헌정보학 교과목과 관련된 연구 경향은 어떻게 나누어질 수 있는가? 현재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문헌정보학 교과목과 관련된 연구 경향은 크게 5개의 범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첫째, 환경변화에 따른 문헌정보학 교과목 변화의 필요성을 주장한 연구, 둘째,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발전현황을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한 연구, 셋째, 학부제 하의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넷째, 주제전문사서를 비롯한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교과 방향성을 제시한 연구, 다섯째,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표준화를 다룬 연구가 그것이다(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곽동철, 심경, 윤정옥. 2009. 사서자격제도 개선 방안 도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2): 193-213. (Kwak, Dong Chuk, Shim, Kyung, & Yoon, Cheong-Ok. 200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Librarian Certification Syste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2): 193-213.) 

  2. 김종성. 2006.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내용과 교육의 전략적 강조점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1): 135-159. (Kim, Jong-Sung. 2006.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Contents and Strategies for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7(1): 135-159.) 

  3. 김태경. 2007. 한국문헌정보학 교육에서 정보이용자교육 교과과정 모형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2): 382-412. (Kim, Tae-Kyung. 2007. "A Study on the Curricular Model Development for Information User Instruction i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2): 382-412.) 

  4. 노동조. 2009. 한국의 문헌정보학 교육을 위한 표준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4): 451-468. (Noh, Dong-Jo.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Cuniculum for Educa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4): 451-468.) 

  5. 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1a. 전문사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문헌정보학 전공과목 정비방안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Noh, Younghee, Ahn, In-Ja, & Choi, Sang-Ki. 2011a. A study on developing the curriculu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intenance plan for improving professional librarians' competitiveness. Seoul: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6. 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1b.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실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5-29. (Noh, Younghee, Ahn, In-Ja, & Choi, Sang-Ki. 2011b. "A Study on Evaluating the Practicalness of Library and Information Co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4): 5-29.) 

  7. 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2.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모형 및 표준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2): 55-82. (Noh, Younghee, Ahn, In-Ja, & Choi, Sang-Ki. 2012. "A Study of the Curriculum Operating Model and Standard Courses for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2): 55-82.) 

  8. 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3. 국내 문헌정보학 주요 교과목 강의계획서 분석 및 개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1): 143-175. (Noh, Younghee, Ahn, In-Ja, & Choi, Sang-Ki. 2013. "A Study on Analyzing and Developing th Syllabus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re Cours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1): 143-175.) 

  9. 박소연. 2001. 미국 문헌정보학 교육과정 내 연구방법론 교육의 특성과 현황. 한국정보관리학회 제8회 학술대회 논문집, 8: 249-252. (Park, Soyeon. 2001. Research Methods as a Core Competency in the U.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gram.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8: 249-252.) 

  10. 엄영애. 2002. 문헌정보학과의 정보기술 교과목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3(3):415-430. (Um, Young-Ai. 2002. "Information Technology Courses in the Departm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3(3): 415-430.) 

  11. 이명희. 2007. 독서교육 교과목의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문헌정보학과에서 제공되는 독서교육 과목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8(1): 23-44. (Lee, Myeong-Hee. 2007. "A Study on the Content Construction of "Reading Education" Course in LI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8(1): 23-44.) 

  12. 이삼형, 박희찬, 정옥년. 2001. 독서교육 전문가 역할과 양성. 독서연구, 6: 163-189. (Lee, Sam Hyoung, Park, Hee Chan, & Jung, Ok Ryun. 2001. "Roles. Qualifications. and Training Program of Reading Specialists." Journal of Reading Research, 6: 163-189.) 

  13. 장덕현, 최고운. 2008. 대학도서관 정보활용교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1): 37-60. (Chang, Durk-Hyun, & Choi, Go-Un.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for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9(1): 37-60.) 

  14. 정연경. 2002. 미국 문헌정보학 대학원의 기록관리학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4): 101-122. (Chung, Yeon-Kyoung. 2002. "Study on the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rograms in the School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he U.S.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6(4): 101-122.) 

  15. 정재영. 2008. 대학도서관의 웹기반 정보활용교육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195-217. Chung, Jae-Young. 2008. "A Study on the Web-based Information Literacy Model Development for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1): 195-217. 

  16. Drexel University, College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ited 2013.3.12]. . 

  17. Indiana University-Bloomington, Schoo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ited 2013. 3.11]. . 

  18. Noh, Younghee, Ahn, In-Ja, & Choi, Sang-Ki. 2012. "A Study of Changes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with Evaluation of Its Practicality."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8(6): 348-364. 

  19.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gy, Schoo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Science, [cited 2013.3.11]. . 

  20. Simmons College, Graduate Schoo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ited 2013.3.12]. . 

  21. Syracuse University, School of Information Studies. [cited 2013.3.11]. . 

  22.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School of Library, Archival & Information Studies. [cited 2013.3.13]. . 

  23. The University of Tennessee, School of Information Science. [cited 2013.3.13]. , 

  24. The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Faculty of Information & Media Studies. [cited 2013.3.13]. . 

  25.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of Information Studies. [cited 2013.3.12]. . 

  26.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School of Information and Library Science. [cited 2013.3.11]. . 

  27.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School of Information. [cited 2013.3.12].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